• Title/Summary/Keyword: 자생분포 및 생태

Search Result 144,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The Study on Identifying Key Biodiversity Areas(KBAs) based on the Flora of Demilitarized Zone(DMZ) and Transboundary in Korea (비무장지대(DMZ: Demilitarized Zone) 및 접경지역의 식물상을 기반으로 한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 설정방안 연구)

  • Kim, Sang-Jun;Park, Seon-Joo;Shin, Hyun-Tak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04a
    • /
    • pp.24-24
    • /
    • 2019
  • DMZ 및 접경지역은 지난 60여 년간 인간의 간섭을 받지 않아 세계적으로 우수한 생태계의 보고이며, 백두대간, 도서연안과 함께 한반도 3대 핵심생태축의 하나로서 한반도생태계보전을 위한 가장 중요한 지역이다. 이러한 DMZ 및 접경지역에 대하여 국내적 중요성 인식 제고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으로서의 가치인식을 위해 IUCN에서 제시하는 평가기준을 검토하고 이의 기준을 적용하여 DMZ의 생물다양성에 대한 국제적 가치정도 판단 및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으로서의 보전방안을 수립하고자 한다. 첫째, DMZ 일대를 대상으로 서식하는 자생식물의 분포지역을 파악하여 DMZ 및 접경지역의 식물상은 18과 139속 367종 1아종 44변종 10품종 422분류군으로, 총 138과 613속 1,517종 8아종 217변종 58품종으로 총 1,800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대상지의 동부지역에서 가장 많은 1,482분류군, 중부지역은 1,225분류군, 서부지역은 1,080분류군으로 가장 적은수의 식물이 확인되었다. 둘째, DMZ 및 접경지역을 대상으로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방법을 통한 DMZ 및 접경지역의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 지정기준을 적용하여 개느삼, 금강초롱, 모데미풀 3종을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 후보종으로 선정하였다. 후보종별로 분포예측 결과 전체 면적 $5,270.5km^2$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 지정을 제안하였다. 셋째, 지정기준을 통하여 선정된 DMZ 및 접경지역에 서식하는 주요 식물에 대한 국제적 가치를 판단하여 우리나라 상황에 맞는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을 적용함으로써 효과적인 관리방안으로 투명하고 체계화된 국제적 기준으로 해당 지역 내의 생물종 다양성을 지속가능하게 보호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향 설정 및 관리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 할 수 있다. 수집된 자료를 통하여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에 적합한 종을 중심으로 보호구역을 지정하고 국내적으로 중요한 지역적 멸종위기종에 대한 적용을 추가적으로 진행하여 식물다양성이 중요한 지역의 보호를 위한 우선순위 및 구체적 접근계획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가적인 차원에서 DMZ 및 접경지역의 지속적인 조사를 통하여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기준 적용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충분히 수집하고 국내 환경에 부합하는 중요생물다양성지역(KBAs)기준 적용을 통하여 꾸준히 재평가하여 후속연구의 발판을 마련하여야 한다.

  • PDF

Distribution, Habitat Characteristics and Assessment of the Conservation Status of a Rare Mistletoe Species, Loranthus tanakae(Loranthaceae) in Korea (희귀식물 꼬리겨우살이의 분포와 생태적 특성 및 보전지위 평가)

  • Lee, Su Gwang;Chung, Jae Min;Kim, Sung Sik;Woo, Su Young;Kang, Ho Duc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2 no.3
    • /
    • pp.428-436
    • /
    • 2013
  • To obtain biological basic data for the conservation strategies establishment of a rare mistletoe species, Loranthus tanakae(Loranthaceae) in Korea, the distribution range, habitat characteristics and an assessment of the conservation status on the natural populations of L. tanakae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the natural populations of L. tanakae were distributed in Bakdudaegan from Mt. Chiri to Mt Seorak in Korea penninsula, and 97.8% of surveyed individuals of the mistletoe species were found in Gangwon province. In natural populations, 1,385 individuals of L. tanakae were parasitic on 480 host trees, and distributed in sunshiny ridges of mountains of altitude range of 353 m to 1,250 m. The range of host trees of L. tanakae were composed of 5 families, 6 genera, 9 species, 1 subspecies, and of these, Quercus mongolica was preferred with 81.5% (389 trees among 480 host trees). As a result of assessing the conservation status through IUCN, L. tanakae was evaluated as Vulnerable (VU). It was considered that Mt. Seorak, Mt. Taegi and Mt. Odae population as habitats with the highest density of distribution of natural populations of L. tanakae should be designated as the protected areas. Thus, conservation strategies and related methods of the natural populations of L. tanakae were also discussed for the sustainable conservation.

거머리말속 (Zostera Linne, 잘피) 식물의 중금속 함량 및 분포

  • Lee, Sang-Yong;Heo, Seung;Choi, Ch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275-276
    • /
    • 2001
  • 한반도에 자생하는 해산현화식물인 거머리말속 (Zostera, 잘피)의 거머리말 (Zostsra marina), 애기거머리말 (Z. japonica), 수거머리말(Z. caulescens)과 포기거머리말 (Z. caespitosa)들은 연안의 사질과 사니질에 생육하며 생태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들 식물의 군집들은 조간대와 조하대에 침수 또는 노출되어 생육하면서 영양염과 중금속 순환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식물체는 유기쇄설물을 먹이연쇄에 공급하는 기능을 하며, 중금속을 고등 영양단계로 수송하는 역할을 한다. (중략)

  • PDF

Natural Habitats' Characteristics of Allium grayi in Korea (한국 산달래의 자생 특성)

  • Kim, Kyung-Min;Kim, Chang-Kil;Oh, Jung-Youl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0 no.2
    • /
    • pp.219-224
    • /
    • 201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the breeding and cultivation of Allium grayi by investigating its natural habitats in Korea. The number of sunny, half-shady, and shady natural habitats were 194 (64.0%), 96 (31.7%), and 13 (4.3%), respectively. Natural habitats included upland (51.2%), Buddhist temple (18.8%), mountain (11.6%), roadside (7.9%), river (5.9%), paddy field (2.3%), and seashore (2.3%). Natural habitats ranged widely in all areas between $33^{\circ}N{\sim}38^{\circ}N$ and $126^{\circ}E{\sim}130^{\circ}E$. Self-generation patterns included growing spontaneously with a 1~10m distance between plants, and there were 3~5 bulbils around each bulb. The sprout stage began in September and continued until March of next year in natural habitats. The bolting period was May, with the following three patterns: tuber (59.2%), flower and tuber (24.7%), and flower (16.1%).

A Study on the Actual Vegetation of Nanji-do for Restoration of Ecosystem after Stabilization Construction (난지도 안정화공사 이후 생태계 복원을 위한 현존식생에 관한 연구)

  • 이경재;오충현;김지석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1 no.1
    • /
    • pp.126-132
    • /
    • 1997
  • Nanji-do is an island in Seoul, the area is 272ha, and in which gad was piled up waste discharged from Seoul metropolitan for 15 years(form March 1978 to March 1993). The volume of waste is 92, 000, 000m$^{2}$. The actual vegetation area of Nanji-do is 191ha, and the area of woody plant is 31ha. The rest area is covered by herbaceaus plant. In actual vegetation area of woody plant,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and Salix pseudo-lasiogyne community are 83%. The soil pH is alkaline, though general soil pH is acid in Seoul. There is no relation with soil condition and actual veget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actual vegetation of Nanji-do don't help the establishment of vegetation restoration after soil stabilization construction. And so following a countermeasure is proposed. 1) Selection of adequate species by an experiment of planting pioneer species, native species, and dietary species 2) Establishment of an adequate planting plan and development of slope stabilization method by planting of native species 3) Establishment of a restoration plan of animal ecosystem by survey for animal ecosystem

  • PDF

Floristic Study on Chuwangsan National Park (주왕산국립공원지역의 관속식물상)

  • 김용식;강기호;박달곤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8 no.2
    • /
    • pp.81-92
    • /
    • 1995
  • The flora of the Chuwangsan National Park was surveyed. The field works was done for three times from February to October, 1994. The total number of vascular plants in this area were surveyed as 433 taxa ; 94 families, 260 genera, 365 species, 60 varieties, 2 subspecies, 5 formas, and 1 cultivars. The twenty seven taxa which were artificially planted could be found at the temple and abandoned cultivated areas. The population of Jeffersonia dubia Benth, one of the rare and endangered plants in Korea, were surveyed and mapped for an ecological monitorings in the future. Since this population is restrictly located in the vicinity of the mountain trails, the protection measures should be urgently needed in the future.

  • PDF

Vulpia octoflora (Walter) Rydb. (Poaceae), a New Invasive Alien Plant in Korea (미기록 침입외래식물: 좀들묵새(벼과))

  • Young-Soo Kim;Ju Eun Jang;Ji Eun Kim;Hyeon Jin Jeong;Eun Su Kang;Dong Chan So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59-59
    • /
    • 2022
  • Vulpia octoflora (Walter) Rydb.가 경기도 여주시 강천리 일대에서 발견되었다. 본 종은 북아메리카 원산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 호주와 일본, 우크라이나에서 침입외래식물로 보고된 바 있다. V. octoflora는 주로 건조한 건조한 모래나 자갈 모래밭에 자라는 잡초성 식물로, 도로변을 따라 개방된 지역이나 인위적 교란 지역에서 빈번하게 발견된다. 학자에 따라 북아메리카 지역에 분포하는 개체들의 지리적 분포와 형태 변이를 근거로 종하분류군으로 세분화하기도 하지만, 형태 변이의 일관성 부족으로 인해 종내 변이로 인식하여 통합하여 처리하는 것이 타당하게 여겨진다. 본 종은 최근에 국내에 보고된 침입외래식물인 들묵새아재비와 유사하나, 소수당 달리는 소화의 수가 더 많고, 호영 정단부의 까락의 길이가 짧은 것으로 명확히 구분된다. 좀들묵새에 대한 생태계 위해성 연구는 진행된 바 없으나, 최초 발견지인 여주시 강천섬 일대는 멸종위기 2등급종인 단양쑥부쟁이의 자생지이기 때문에, 새롭게 유입된 외래식물의 잠재적 생태 교란에 따른 위해성 평가 및 확산 방지를 위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 형질에 대한 기재와, 지리적 분포, 도해도, 화상자료와 국내에 분포하는 동속 분류군과의 검색표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Vegetation Structure and Population Dynamics of Berchemia racemosa Habitats (청사조(Berchemia racemosa) 자생지의 식생구조 및 개체군 동태 분석)

  • Beon, Mu-Sup;Kim, Young-Ha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2 no.6
    • /
    • pp.679-690
    • /
    • 2008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population dynamics of Berchemia racemosa habitats in the Weolmyung park in Gunsan city, and base on that to seek the ecological habitat conservation plan for the Berchemia racemosa. In results, the Berchemia racemosa habitats are located at $81{\sim}93$ meters above the sea level, in steep seaside slope of a mountain. The soil texture are silt loam mainly and soil pH were $4.1{\sim}5$. The vascular plants in the Berchemia racemosa habitats has been analyzed as 61 taxa; 33 families, 51 genera, 54 species, 6 varieties, and 1 forms. Berchemia racemosa as a Specific plant species by floral region was the class V. Berchemia racemosa habitats were classified into 7 vegetation communities of Quercus serrata community(A1), Alnus firm a community(A2), Platycarya strobilacea community(A3),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A4) and 3 Pinus densiflora communities(B1, B2, B3). The importance value of Berchemia racemosa were 30%(A1), 15%(A2), 27%(A3), 65%(A4), 18%(B1), 45%(B2) and 35%(B3) on shrubs layer and 12, 27, 20, 18, 11, 18, 21 % on herb layer. The constant companion species with Berchemia racemosa were Stephanandra incisa and Ligustrum obtusifolium. Total 103 populations appear in the 7 Berchemia racemosa habitats. Their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were clumped for the most part. The average height was 133cm, the root color diameter was 4.4cm and the ramification branch number was 9.4.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e continued monitoring and the active protection measures for the Berchemia racemosa habitats.

Industrialization of Jeju Plant Resources (제주 자원식물의 산업소재화)

  • Jung, Yong-Hwa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4-4
    • /
    • 2019
  •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국민의 생활수준 향상과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 등으로 인해 화장품을 비롯한 향장품산업, 기능성식품 및 천연물 신약 등에 대한 자원식물 유래 천연물질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자원식물을 활용한 기능성 제품의 개발은 국민의 건강증진 뿐만 아니라 국제경쟁력 강화나 윤택한 삶의 추구에도 절대적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으며, 이러한 수요에 따라 제주의 특산 또는 우수 자원식물을 활용한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은 총 4,500여 종으로 국가생물종목록에 작성되어 있으며 제주의 생물자원 중 관속식물은 해발 1,950m 한라산의 영향으로 2,200여 종이 분포한다고 최근 기록되고 있다. 이 중 식용 및 약용으로 활용 가능성을 갖고 있는 식물자원들도 약 800여 종이 분포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이들 자원은 대한약전, 생약규격집, 중약본초, 중약대사전 등 문헌에 근거한 자원으로 공정서에 수록된 약용식물 약 500여 종 중 제주 분포 약용식물도 217종으로 조사되고 있다. 이러한 제주의 약용식물 자원은 다양한 한의약재로 활용되고 있으며 민간약으로 활용되는 약용식물도 170여 종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최근에는 나고야의정서 발효에 따른 자원전쟁이 시작되어 자원식물을 포함한 생물자원 관리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부각되고 있어 각 지역마다 자생 생물자원에 대한 주권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들이 많이 추진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지자체연구소인 생물종다양성연구소에서도 제주에 분포하는 자원식물들에 대한 주권 확립을 위한 생태사진 900여 종, 표본 1,400여 종, 유전자 정보 800여 종 등을 확보하고 있으며 추출물 2,000점을 확보하여 산업소재화 연구를 추진하고 있다. 저자는 여기에 제주의 자원식물을 활용하여 화장품 원료등재, 건강기능식품개별인증 소재 및 천연의약품 소재 등 산업소재화 연구를 수행했었던 생물종다양성연구소의 연구 결과를 소개함으로써 유사한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는 대학, 연구소 및 기업으로의 정보를 제공하여 제주의 자원식물을 활용한 산업소재화 분야에 작은 도움이나마 제공하고자 한다.

  • PDF

Taxonomic entity of Saussurea taquetii (Asteraceae) compared with S. japonica and S. pulchella (해변취의 실체: 큰각시취/각시취와의 관계)

  • SUN, Eun-Mi;YUN, Seon A;KIM, Seung-Chul;IM, Hyoung-Tak
    •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 /
    • v.51 no.4
    • /
    • pp.378-385
    • /
    • 2021
  • Saussurea taquetii reported from Jejudo Island is either treated as a synonym of S. japonica or is recognized as a distinct taxon. Saussurea japonica and S. pulchella belong to the sect. Theodorea by having peculiar outer phyllaries with pale purplish scarious apical appendages; they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morphologically and are known to occur widely throughout the Korean Peninsula. To assess the taxonomic status of S. taquetii, we investigated representative populations of S. taquetii from jejudo Island, Korea, and S. japonica from Kyushu in Japan. We conducted a comparative study morphologically using specimens of three species from KH, CNU, and TI. Saussurea taquetii is very similar morphologically and ecologically to S. japonica in Kyushu. Unlike previous floristic treatments, we concluded that the two taxa, S. pulchella and S. taquetii, occur on the Korean Peninsula and on jejudo Island,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