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료동화

Search Result 29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pplication of Hydrological Model for Nakdong River Basin Using Assimilation System (자료동화를 이용한 낙동강 유역에 대한 수문 모형 적용)

  • Kim, Da-Eun;Choi, Min-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84-87
    • /
    • 2012
  • 수자원 분야에서 지표와 대기 사이의 물과 에너지 교환에 대한 해석을 위하여 다양한 수문 모형이 이용되고 있다. 이 과정은 물 순환 과정을 이해하기 위한 한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Common Land Model (CLM)을 이용해 수문 기상학적 인자를 모의하였다. CLM은 Soil-Vegetation-Atmosphere Transfer (SVAT) 모형 중 하나이며, 본 모형을 이용한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한반도를 포함한 영역에서의 참고할만한 결과가 부족한 실정이며, 국내에서의 사용 가능한 기초자료도 부족하여 모형 구동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1 km의 높은 해상도의 강제입력자료를 Weather Research Forecast (WRF) 모형을 통하여 생산하여 사용하였다. 이 자료는 관측자료 및 위성 자료 등을 이용한 자료동화방법을 통하여 산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낙동강 유역에 대하여 CLM의 수문 기상학적 인자들을 산정하였다. 향후 보다 넓은 범위의 연구 지역을 설정하여 국내 관측 자료와의 비교를 통해 본 자료에 대한 사용 가능성을 검증할 계획이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수문 모형을 이용한 아시아 지역의 높은 해상도의 수문 기상학적 인자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 PDF

고층관측자료가 강수량 수치예측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흑산도와 호남지방을 중심으로)

  • Won, Hyo-Seong;Park, Geun-Yeong;Ryu, Chan-Su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10a
    • /
    • pp.125-128
    • /
    • 2003
  • 본 연구는 PC-cluster를 플랫폼으로 사용하는 호남지방 고해상도 기상예측시스템을 이용하여 기존에 광주의 고층자료만 사용했을 때와 흑산도의 고층자료를 추가하였을 때의 3차원 자료동화의 차이가 지리산을 중심으로 한 호남지방의 강수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치실험 결과와 호남지방의 관측결과를 통하여 모델을 통한 강수예측을 검증한 것이다. 광주와 흑산도의 자료로 강수예측 결과를 비교해 본 결과, 광주는 22일 12LST 이전부터 강수가 시작되었는데 광주의 고층자료만 사용한 EXP1에서는 강수가 나타나지 않는 반면에 흑산도가 추가된 EXP2에서는 강수예측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흑산도의 고층 데이터가 추가된 3차원 자료동화가 광주 예측능력을 향상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pplication of Soil-Vegetation-Atmosphere Transfer model in Haenam KoFlux site (해남 KoFlux 지점에서의 통합 수문 모형의 적용)

  • Choi, Minha;Kim, Daeun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08-108
    • /
    • 2011
  • 기후 변화로 인한 수문 환경의 변화에 따라 수문 모형을 이용한 정확한 예측이 필요하다. 수문 현상의 예측을 위하여 사용되고 있는 수문 모형인 Common Land Model(CLM)은 Soil-Vegetation-Atmosphere Transfer(SVAT) 모형 중 하나로 비교적 적은 변수를 이용하여 현실적인 결과를 도출하므로 세계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에 반해 국내에서는 모형의 구동을 위한 입력 자료의 미흡으로 인해 실질적인 연구 사례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해남의 KoFlux 지점을 대상으로 Korea Flux Network(KoFlux) 자료와 Korea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KLDAS) 자료를 CLM에 강제시켜 국내의 모형의 적용성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KoFlux는 에디 공분산 시스템을 기반으로 지표면과 대기 사이의 Flux에 대한 측정 시스템을 운영하며 SVAT 모형의 구동을 위한 수문학적 인자들을 제공하고 있으며, KLDAS는 한반도지표동화자료체계로 위성 및 현장기반 관측 자료들을 지면모형에 적용시켜 자료동화방법을 통하여 지표 변수들을 제공하고 있다. 모형의 산출 결과는 해남 지점의 관측 자료와 비교를 통하여 CLM 모형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였고 두 결과 모두 관측 데이터와의 경향성이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 모두 신뢰할 만한 값으로 추정되며, 이를 통하여 국내의 CLM 모형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국내에서의 지점 자료가 부족한 부분에 대한 KLDAS 자료의 이용 가능성 또한 확인하였다.

  • PDF

Evaluation of Evapotranspiration Estimation using Korea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 (실측 기반의 한반도지표자료동화체계를 이용하여 추정된 증발산 평가)

  • Lim, Yoon-Jin;Byun, Kun-Young;Lee, Tae-Young;Kim, Joon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2 no.4
    • /
    • pp.298-306
    • /
    • 2010
  •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Korea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 (KLDAS) for the estimation of evapotranspiration (ET) by comparing the modeled against the observed ET at Gwangneung deciduous forest of KoFlux site (GDK) from 2006 to 2008. Although the magnitudes of ET by KLDAS overestimated the observed ET, the seasonal patterns of KLDAS ET were comparable with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0.78. The difference between the KLDAS ET and the observed ET was larger in spring and summer due to rapid plant growth and frequent rainfalls with high cloud cover,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ET estimated by NASA Global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 (GLDAS) with $0.25^{\circ}$ and $1^{\circ}$ resolution, the ET by KLDAS with 10 km resolution showed better agreement with the observation at the GDK site. Albeit further improvement is necessary, our results suggest that KLADS can be used as a practical tool to map ET and to examine its spatiotemporal variability over the Korean Peninsula.

Estimation of Grid-Scale Common Land Model Using Assimilation System (자료동화기법에 근거한 격자 기반 Common Land Model의 적용성)

  • Kim, Da-Eun;Choi, Min-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50-353
    • /
    • 2011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가 빈번하게 발생함에 따라 수자원 분야에서 또한 환경의 변화에 대한 정확한 예측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를 위하여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 사용된 Common Land Model (CLM)은 국내에서의 실질적인 적용이 아직 부족하다. 이 모형은 Soil-Vegetation-Atmosphere Transfer 모형 중 대표적 모델로 Land Surface Model (LSM), Biosphere-Atmosphere Transfer Scheme (BATS), Chinese Academy of Sciences Institute of Atmospheric Physics LSM의 세 모형이 결합되어 발전하였다. CLM의 강제입력자료로는 위성, 지면모형 등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자료를 제공하는 Korea Land Data Assimilation Systme (KLDAS; 한반도지표자료동화체계)의 격자화 된 자료를 사용하여 모형에 강제시켰다. KLDAS는 기존의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 (LDAS)에서 발전한 형태로 동아시아 지역을 대상으로 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 자료를 사용하여 국내 전반에 걸쳐 격자에 대한 수문 기상학적 인자를 산출하였다.

  • PDF

Acculturation and the Mental Health Status of the Immigrants in South Korea : Convergence to the General Tendency? (이주민의 문화동화와 정신건강 : 일반적 경향으로의 융합인가?)

  • Kim, Min Jeong;Ra, Chaelin;Cho, Youngtae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8 no.9
    • /
    • pp.183-189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 of acculturation on the permanent resident and naturalized citizens' mental health status. The Survey Data of Foreign Residents in Korea 2012 was utilized. Independent variable was the acculturation level, measured by the duration of life spent in Korea and the level of Korean proficiency. The dependent variable was the mental health outcome. Initially, acculturation showed protective effect on mental health of immigrants. But after adjustment of control variables, the effect of acculturation disappeared. This result does not converge into the general trajectory of mental health status among immigrants regarding the level of acculturation. Th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had outstanding negative effect, which suggests policy inception point.

Uncertainty of the operational models in the Nakdong River mouth (낙동강 하구 환경변화 예측모형의 불확실성)

  • Cho, Hong Yeon;Lee, Gi 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4
    • /
    • 2022
  • 낙동강 하구 환경/생태 복원을 위하여 "해수유입"으로 하구환경을 조성하는 사업이 추진되고 있으며, 해수 유입 규모와 빈도에 따른 생태환경변화를 예측하는 연구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기간의 해수유입에 의한 흐름 및 염분 확산범위 예측과 더불어 보다 장기간의 지형변화, 수질환경 변화, 생태환경 변화 등에 대한 예측이 필요한 상황이다. 그리고 그 예측의 대부분을 수치모델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수치모형을 이용한 단기 예측은 가까운 미래에 대한 입력조건을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입력조건에 대한 불확실성이 포함되고, 환경생태모형의 불확실성에 따른 예측 한계 등으로 인하여 오차가 누적되기 때문에 직접적인 활용에 크게 제한이 따를 수 있다. 또한 운영과정에서 어떤 분산, 편향 오차 등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모델 예측 결과에 대한 신뢰수준이 크게 감소하기 때문에 모델의 적절한 운영기법이 요구된다. 모델은 관심을 가지는 자연현상에 대한 근사(approximation)이고, 예상하지 못한 오차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관측 자료를 이용한 자료동화(data assimilation) 과정이 운영모델에서는 필수적인 부분이다. 이론적인 기반이 탄탄한 유체역학 기반 기상예측의 경우에도, 가용한 모든 지점의 관측 자료를 이용한 자료 동화과정을 통하여 모델 예측 결과를 개선하여 나가는 과정을 포함하여 운영하고 있다. 이 과정이 포함하는 중요한 개념은 수치모델이 가지고 있는 (예측 수준의) 한계를 인정하고, 수치모델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그 한계를 저감하여 나가는 과정이다. 모니터링은 모델의 한계를 알려주는 지표이다. 모델링과 모니터링의 불가피한 상호의존 관계를 의미하는 이 개념은 단기간의 흐름, 염분 확산 예측으로 한정되지 않고, 장기적인 변화가 예상되는 생태환경변화 모델에도 적용이 된다. 즉각적인 변화보다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파악하여야 하는 생태학적인 변화는 보다 다양한 인자가 관여하기 때문에 어떤 측면에서는 모델보다는 적절한 빈도와 항목에 대한 관측계획 수립(monitoring design)이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론적인 질량보존(mass conservation) 방정식을 기반으로 하는 모델은 다양한 현실적인 인자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모델의 한계를 인정하고, 모니터링 자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불확실성을 저감하는 접근방식이 요구된다.

  • PDF

Parents' and Kindergarten Teachers' Evaluation of the Traditional Fairy Tales regarding Distributive Justice (공평성을 다룬 전래동화에 대한 부모와 유아교사의 평가)

  • Kong, In Sook
    •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
    • v.3 no.2
    • /
    • pp.1-21
    • /
    • 2007
  • This study aims to obtain the basic data in order to develop the distributive justice reasoning program for preschooler. To fulfill this aim,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arents' and kindergarten teachers' preference in the selection of the traditional fairy tale and the extent to which parents' and kindergarten teachers' evaluation of the traditional fairy tales dealing distributive justice are in agreement with each other. The subjects were 240 parents and 78 kindergarten teachers selected from five cities in Korea. The questionnaire with six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which deal with the sharing problem among the friends and the families was used. The data were analyzed in SPSS Win 10.0 program, by frequency, percentile, mean, standard deviation, ${\chi}^2$ and t-test. As a result, most important factor in selecting the traditional fairy tale was the title and the editing state of the book for the kindergarten teacher, while it was the good fame of the press for the parent. The congruence existed between parents' and kindergarten teachers' evaluation in knowledge, adaptability for modern times, amusement and empathy in the function of the traditional fairy tales regarding distributive justice. Meanwhile parents evaluated the traditional fairy tales are more adaptive for value formation and useful than teachers did.

  • PDF

A Bibliographical Analysis on the Folktale Studies in Korea (우리나라 전래동화연구의 서지적 고찰)

  • Yoo, So-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7 no.2
    • /
    • pp.253-268
    • /
    • 2003
  • A bibliographical analysis on folktale studies in Korea by Soyoung Yoo This study is aimed primarily at taking a view of the scope and depth of folktale studies in Korea and analysing their subjects study and directions. By doing so, the researcher hopes that this can be of help to users of those studies. The researcher collected all the studies in this field since 1945 and analysed them through SAS program. Thus, the researcher found the studies on Korean folktales started in late 1960's and flourished and diversified in the middle of the 1990s. The researcher divided the collected materials into two categories, i.e., the study materials which focused on folktales themselves and studies for the exploration of applications of folktales for other purposes. Former analytical study on folktales study themselves is shown to be composed of events, characters, themes and psychological as well as value analysis. there are some comparative studies with folktales of other countries. Latter studies show that the studies are mostly for language educational purpose. Furthermore, they are for illustration, animation, traditional design, costumes studies and theme parks. There are some other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