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료관리시스템

Search Result 3,469,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ssessment of National Quality Control System for the Hydrological Data (국가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 운영성과)

  • Kim, Hyoung-Seop;Cho, Cha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34-634
    • /
    • 2012
  • 국가 차원에서 일관된 수문자료 품질관리기준을 제시하고, 현업에서 활용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개발된 국가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은 2007년부터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홍수통제소에서 적극 활용하여 수문자료 신뢰도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 구축된 국가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을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홍수통제소에서 관할하는 수문관측소 및 수문자료에 적용, 운영 실적을 지속적으로 분석하고 수문자료의 이상률, 결측률 등의 통계분석을 통해 수문자료 품질 및 신뢰도를 정량적, 정성적으로 나타내고 품질관리 업무 실시 후의 개선 효과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국가 수자원을 적극적으로 관리하여 신뢰성 있는 수문자료를 확보하고 품질 수준 향상을 위한 개선작업을 꾸준히 수행함으로써 수문자료의 신뢰도 제고와 국가 수문자료 관리업무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자 한다.

  • PDF

Improving Performance of National Quality Control System for the Hydrological Data (국가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 개선)

  • Kim, Hyoung-Seop;Cho, Cha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33-633
    • /
    • 2012
  • 우리나라는 지형학적, 수문학적 특성상 연중 편차가 심한 수문순환 특성을 보이고 있고, 최근에는 지구온난화와 기상 이변 등으로 인해 수문현상의 변동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따라서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계획, 관리하기 위해 수문현상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정보화하는 일은 국가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다. 국토해양부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2007년부터 국가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적극적인 품질관리의 일상화를 지원하고 신뢰성 있는 강수량, 수위 수문자료를 축척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 구축된 국가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에 수위관측소 지점별 현장 및 수문자료 특성을 반영하였고 유량자료 품질관리를 도입하고, 레이더 강수량자료를 활용한 강수량자료의 정성적 분석, 이상치자료의 자동보정 기능 추가 등 개선내용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구축된 국가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을 4대강 홍수통제소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지원함으로써 국가 수문자료의 전반적인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수문자료의 손실을 최소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 Efficient Structure of The Integrated Solution to the Management of Technical Information (기술정보관리를 위한 통합솔루션의 효율적 구조)

  • Choo, S.W.;Kim, B.H.;Lee, H.K.;Shin, Y.G.
    • IE interfaces
    • /
    • v.8 no.3
    • /
    • pp.197-202
    • /
    • 1995
  • 생산성 제고를 위하여 생산 현장에서 사용되는 여러 가지의 자료 즉, 다양한 형식의 화상(Image), CAD 자료, 도면, 표, 수식, 각종 문서 양식 및 문안들을 관리해주는 시스템이 필수적이다[1]. 그러나 다양한 종류의 자료들이 격리되어 관리되고 있는 상황에서는 원하는 정보를 찾거나, 자료간의 관련성을 알아내는데 많은 어려움을 겪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생산과정에서 필요한 여러 가지 자료들을 생성, 편집할 수 있는 도구와 각 자료들간의 관련성을 생성, 편집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방안, 마지막으로 생성된 여러 자료를 쉽게 찾도록 도와 주는 기능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기술정보관리를 효율적이고 통합된 형태로 수행하기 위하여, 본연구에서는 기술정보관리시스템(TIMS : Techn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을 구축하였다. 기술정보관리시스템은 개별 자료의 생성, 편집 및 개별 자료의 공유를 통한 복합문서 작성 부분, 개별 자료들 간의 관련성을 자동관리해 주는 부분 그리고 개별 자료들 간의 관련성을 통한 자료검색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술정보의 효율적인 작성, 사용 및 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통합 시스템의 각 구성부분에 요구되는 기능들과 전체 시스템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을 논하였다. 격리되고 인력에 의존에 온 기술정보의 효율적인 작성, 사용 및 관리를 방대한 양의 자료들 속에서 통합적이며, 적합한 형태로 자동관리해줌으로써 생산성 제고에 기여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omplement Standard Outlier Detection of National Quality Control System Hydrological Data (국가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 이상치 점검 기법 보완)

  • Cho, Herin;Park, Heeseong;Kim, Hyoung 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470-470
    • /
    • 2017
  • 우리나라는 2007년부터 국토교통부 주도하에 관측소별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강수량, 수위 수문자료를 축척 및 유관기관에 제공하고 있다. 또한 관측소 장비의 오작동 및 주변환경의 영향으로 수문자료에서 이상치 자료가 발견되는 것에 대해서도 자동 및 수동 품질관리 기법을 활용하여 보정하고 있다. 수문자료에 대한 신뢰도와 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이상치 점검 기법에 대한 지속적인 보완 및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 구축된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에서 이상치 점검에 대한 추가 기법을 조사 및 현 시스템에 적용하여 품질관리의 신뢰도를 향상시키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각 수문자료 관측소에 맞는 품질관리시스템을 지원함으로써 수문자료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신뢰도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Implementation of KINITI's Library Automation System (산업기술정보원 자료관리시스템 구현)

  • Noh, Kyung-Ran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31 no.2
    • /
    • pp.11-30
    • /
    • 2000
  • KINITI developed integrated client/server-based library automation system. This system is a part of project which is implementation of national industry & technology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This paper describes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KINITI's library automation system. And It reviews briefly several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sub-systems which consist of new integrated library automation system.

  • PDF

Implementation of Distributed Data Manager(DDM) with Java and middleware (자바와 미들웨어를 이용한 분산형 자료 관리 시스템(DDM) 구현)

  • Yang, Eun-Saem;Kim, Hwa-Jong;Choi, Kyun;Jeong, Choong-Kyo;Lee, Goo-Yeon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0.06c
    • /
    • pp.89-92
    • /
    • 2000
  • 최근 인터넷 이용이 증가하면서 원격 교육자료, 전자상거래용 자료 등 여러 이용자가 사용하는 자료를 하나의 서버가 아니라 분산된 형태로 나누어 관리하는 것이 통신량을 줄이기 위해 점차 중요시되고 있다. 특히 멀티미디어 자료는 데이터 량이 많으므로 이용자에게 가까운 서버에 분산 관리하는 것이 더욱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CORBA 표준을 따르는 미들웨어를 사용하여 인터넷으로 상호 연결된 임의의 시스템에 자료를 분산 관리할 수 있는 분산형 자료 관리 시스템 DDM(Distributed Data Manager)을 구축하였다. DDM은 크게 나누어 사용자 관리, 데이터 관리, 시스템 상태 관리 기능을 제공하며 단순히 분산 자료의 위치만을 관리하는 것이 아니라, 자료를 종류별 또는 용도별로 통합된 category를 관리한다. DDM은 분산 자료의 통합관리와 시스템 상태 관리를 위해서 주 에이전트(Primary Agent, 이하 PA)와, 이용자에게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조 에이전트(Local Agent, 이하 LA)를 중심으로 구성된다. DDM은 모든 자료에 대한 현재 상태를 관리하는데, 자료의 등록, 수정, 삭제 등의 요구가 보조 에이전트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며 자료의 통합 관리와 백업 관리는 주 에이전트가 담당한다. 한편 DDM는 자바와 JDBC를 사용하여 구축함으로써 임의의 플랫폼과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였다.

  • PDF

Implementation of National Quality Control System for the Hydrological Data (국가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 구축(II))

  • Kim, Hwi-Rin;Yoo, Chul-Sang;Cho, Hyo-Seob;Kim, Chung-Soo;Kim, Hyou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84-187
    • /
    • 2009
  • 현재 국내에는 수문자료 품질등급 및 품질관리 방법에 대한 기준과 인력 예산 시스템의 부재로 인해 수문자료 품질관리에 대한 지속적인 수행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국토해양부에서는 국가 차원에서의 일관성 있는 수문자료 품질관리 기준을 제시하고, 현업에서 활용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2007년 한강 수계를 대상으로 관측소별 품질관리 기준을 설정하고, 국가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 구축(I)을 추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그 두 번째 단계인 낙동강 수계를 대상으로 하여 수문관측소의 기존 수문자료를 수집하여 자료 특성을 분석하고 지점별 자동 품질관리 기준을 설정하였다. 또한, 1차에서 구축한 우량 및 수위 자료의 품질관리에서 유량자료 품질관리를 추가하여 유량자료 품질관리의 절차와 자료 생성단계별 품질관리 수행에 대한방안을 수립하였다. 또한, 현업에서 적용이 가능하도록 수위 일치성 검토, 수위-유량관계곡선식 검토 및 유량환산 후의 상 하류 유량 비교 분석을 하여 과정의 적절성 등을 판단할 수 있는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수문자료에 대한 일상적인 품질관리가 가능하고 신뢰도 높은 수문자료 제공으로 인해 관련 분야의 정확도를 제고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Establishment of National Quality Control System for the Hydrologic Data (국가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 구축)

  • Kim, Chung-Soo;Kim, Hyoung-Seop;Cho, Hyo-Seob;Kim, Hwi-R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823-1827
    • /
    • 2008
  • 신뢰성 있는 수문자료는 홍수와 가뭄의 피해를 경감하기 위한 각종 수공구조물의 설계 및 기준 수립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이다. 또한, 국내 수문특성을 대변할 수 있는 고품질 수문자료의 확보는 경제 산업적으로도 필수적이고 기본적인 사항이다. 이러한 여건들과 사회적인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품질관리를 통해 신뢰성 있는 수문자료를 제공해야 한다. 수문자료의 중요성과 수문자료 품질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사회적인 요구를 반영하고자 국가 수문자료 품질관리 기준을 제시하고 현업에 적용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여 수문자료 관리 체계를 확고히 함으로써 수문자료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한강홍수통제소 관할 수문관측소의 실시간 수문자료(우량, 수위)에 대해 기왕자료 분석을 통해 지점별 이상치 자동점검 기준을 설정하였고 이에 따른 자동 품질관리를 거친 후 이상 및 결측치를 수동으로 수정, 보완할 수 있는 기법을 적용하여 수동 품질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C/S(Client/Server) 방식의 전산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국가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에 의해 수행된 품질관리 과정을 통해 수정, 보완된 자료는 원시자료, 자동품질등급, 수정자료, 수동품질등급의 자료 품질 표지가 이루어지고, 자료의 현황을 자세히 알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국가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을 통해 수문자료 품질관리업무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수문자료의 신뢰도를 높이는 수단으로 활용될 것이다.

  • PDF

Urban Runoff Management System Using Ubiquitous Floater (Ubiquitous Floater를 이용한 도시 배수 관리 시스템)

  • Yi, Jae-Eung;Choi, Ch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603-607
    • /
    • 2008
  • 최근 이상기후현상으로 인한 가뭄과 홍수의 빈번한 발생으로 인해 인명 및 재산피해가 증대되고 있다. 특히 도시지역에서의 홍수 피해가 심각한 상황이다. 도시지역에서는 불투수 면적의 증가로 우수 유출량의 대부분을 배수관망에 의존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배수관거에 대한 관리는 미흡한 실정으로 노후되거나 부실한 배수관을 통해 토양으로 누수되거나, 관로 내에 누적된 퇴적물로 인한 관경의 축소 등으로 인해 우수가 원활하게 배제되지 못하고 지체되면서 인근지역의 침수피해를 증가시키고 있다. 이러한 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해서 지속적이고 신뢰성 있는 배수관 내 유황자료의 획득이 시급한 상황이다. 그러나 현재 수집되고 있는 도시지역의 배수 자료는 하천유황자료에 편중되어있으며, 배수관망 자료는 배수관망 내 유황자료의 획득이 어렵고, 배수관망 내에서 흐름의 경로 파악이 불가능 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배수관망에 대한 지리정보시스템의 자료와 ubiquitous floater로부터 획득한 유황자료를 결합하여 도시 배수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도시 배수 관리 시스템에서는 bluetooth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한 ubiquitous floater를 사용하여 배수관망 내의 유속과 흐름 경로를 측정하고, 측정된 실시간 수문자료는 CDMA 무선통신모듈을 이용하여 server 컴퓨터에 전송된다. 수집된 자료는 대상유역의 지리정보시스템의 자료와 결합하여 도시 배수 관리 시스템으로 구축된다. 도시 배수 관리 시스템은 관리자가 배수관의 특성을 파악하고 문제발생시 신속하게 조치할 수 있게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누구나(whoever), 언제(whenever), 어디서(wherever)든 PC 앞에서 원거리에 위치한 도시 배수관망 내의 흐름 경로를 파악하고 관망 내 흐름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 PDF

An Establishment of Standard Hydrologic Databases for the Unified Hydrologic Data (일원화된 수문자료를 위한 표준수문 DB 구축)

  • Jeong, Hyeon-Gyo;Cho, Hyo-Seob;Baek, Chang-Hyun;Kim, Hwi-R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457-146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WAMIS), 물정보시스템, 통합홍수예보시스템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수문자료를 통합, 일원화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하였다. 각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는 수문자료 일부분 혹은 전체를 어느 한 시스템에서 다른 시스템으로 복사 및 이전하여 당시의 기관별 혹은 시스템별로 운영목적에 맞게 관리, 활용되어 왔는데 이들 데이터베이스에는 동일한 내용의 수문자료가 시스템별로 운영되고 있어 자료의 일치성과 관리의 일관성, 관련 시스템간의 연계성, 그리고 향후 정보의 확장성을 고려할 때 이들 개별 수문 데이터베이스 자료를 통합 및 일원화하고 관련된 응용시스템은 통합된 데이터베이스의 자료를 공유하는 형태로 구성할 필요성이 있었다. 그리하여 물관리정보 실무협의회에서 심의 확정된 물관리정보 표준을 기초로 하고 관계되는 물관련시스템과 공동활용 및 상호연계를 위해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과 물정보시스템, 통합홍수예보시스템의 수문자료를 통합 및 일원화하여 표준수문 DB 구조에 적용시킴으로써 자료의 일관성 및 확장성을 확보하고 물 관련 시스템과의 효율적인 연계 및 관리를 위한 수문종합정보 기반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