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동 품질관리

Search Result 199, Processing Time 0.092 seconds

Study of Automated Quality Check of Hydrological Water Level Data (수위자료 이상치 자동점검 기법 개선에 대한 연구)

  • Park, Heeseong;Kim, Hyung 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92-192
    • /
    • 2019
  • 수위자료는 기초수문자료의 하나로서 자료 수집시 이에 대한 품질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우리나라 환경부에서는 국가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을 개발하여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수위자료의 품질을 관리하고 있다. 국가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수위자료의 품질을 수작업으로 검토하기 이전에 편의를 위해 수문자료의 품질(오류가 있는 자료인지 아닌지)을 자동으로 구분하는 프로세스를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점검 기법은 실무자에 의한 수문자료의 검토 및 보완 작업을 돕기 위한 것으로 실무자가 집중해서 관리해야할 것과 아닌 것을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간단한 통계에 의한 기준을 적용하여 활용하고 있는 수준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위자료 이상치를 자동으로 점검할 수 있는 기법을 개선하기 위하여 10분단위로 관측된 수위자료에 대해 다양한 통계적인 기법을 적용하여 이상치를 찾을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하고, 기존의 방법과 결과 등을 비교하여 보았다. 이를 통해 향후 국가수문자료의 품질관리업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교한 이상치 자동점검기법을 개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Development of Automated Calibration Algorithm for Reference Values of Hydrological Data Quality Management (수문자료 자동점검기준의 보정 자동화 알고리즘 개발)

  • Park, Hee-Seong;Cho, Herin;Kim, Hyou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06-506
    • /
    • 2015
  • 수문자료는 국가적으로 중요한 자료로서 이에 대한 품질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우리나라 국토교통부에서는 국가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수문자료의 품질을 관리하고 있다. 국가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수문자료 자동점검기준은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수문자료의 상태를 구분하기 위한 점검방법에서 설정한 기준 값을 말하며, 특히 수문자료의 오류 추출을 자동화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값이다. 해당 값은 점검 방법에 따라 다른 형태를 갖고 있으며, 관측소의 관측특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어 실무에서는 기존 관측자료의 통계적인 특성을 이용해 초기값을 추정하고 이후 관측자료들에 대한 실제 품질 판정을 기준으로 실제 상황을 고려하여 주기적으로 관리자가 수작업에 의해 시행착오법으로 보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가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에서 활용하고 있는 수문자료 자동점검기준을 대상으로 기존에 수작업으로 진행되던 자동점검기준의 보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평가지표와 평가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실제 자료에 적용하였다. 개발된 알고리즘은 그림1과 같은 추정 이상치 집합과 실제 이상치 집합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두 집합의 교집합인 A를 증가시키는 구조이다. 이를 이용해 자동점검기준의 적중률을 향상시킬 수 있었으며, 향후 실무에 적용될 경우 수문자료 자동점검기준을 신속하고 적절하게 보정함으로써 수문자료 품질관리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stablishment of National Quality Control System for the Hydrologic Data (국가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 구축)

  • Kim, Chung-Soo;Kim, Hyoung-Seop;Cho, Hyo-Seob;Kim, Hwi-R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823-1827
    • /
    • 2008
  • 신뢰성 있는 수문자료는 홍수와 가뭄의 피해를 경감하기 위한 각종 수공구조물의 설계 및 기준 수립에 필요한 기초적인 자료이다. 또한, 국내 수문특성을 대변할 수 있는 고품질 수문자료의 확보는 경제 산업적으로도 필수적이고 기본적인 사항이다. 이러한 여건들과 사회적인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품질관리를 통해 신뢰성 있는 수문자료를 제공해야 한다. 수문자료의 중요성과 수문자료 품질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사회적인 요구를 반영하고자 국가 수문자료 품질관리 기준을 제시하고 현업에 적용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여 수문자료 관리 체계를 확고히 함으로써 수문자료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한강홍수통제소 관할 수문관측소의 실시간 수문자료(우량, 수위)에 대해 기왕자료 분석을 통해 지점별 이상치 자동점검 기준을 설정하였고 이에 따른 자동 품질관리를 거친 후 이상 및 결측치를 수동으로 수정, 보완할 수 있는 기법을 적용하여 수동 품질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C/S(Client/Server) 방식의 전산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국가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에 의해 수행된 품질관리 과정을 통해 수정, 보완된 자료는 원시자료, 자동품질등급, 수정자료, 수동품질등급의 자료 품질 표지가 이루어지고, 자료의 현황을 자세히 알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국가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을 통해 수문자료 품질관리업무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수문자료의 신뢰도를 높이는 수단으로 활용될 것이다.

  • PDF

Improving Performance of National Quality Control System for the Hydrological Data (국가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 개선)

  • Kim, Hyoung-Seop;Cho, Cha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33-633
    • /
    • 2012
  • 우리나라는 지형학적, 수문학적 특성상 연중 편차가 심한 수문순환 특성을 보이고 있고, 최근에는 지구온난화와 기상 이변 등으로 인해 수문현상의 변동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따라서 수자원을 효율적으로 계획, 관리하기 위해 수문현상을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정보화하는 일은 국가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다. 국토해양부에서는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2007년부터 국가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을 구축하여 적극적인 품질관리의 일상화를 지원하고 신뢰성 있는 강수량, 수위 수문자료를 축척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 구축된 국가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에 수위관측소 지점별 현장 및 수문자료 특성을 반영하였고 유량자료 품질관리를 도입하고, 레이더 강수량자료를 활용한 강수량자료의 정성적 분석, 이상치자료의 자동보정 기능 추가 등 개선내용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구축된 국가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을 4대강 홍수통제소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지원함으로써 국가 수문자료의 전반적인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수문자료의 손실을 최소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Quality Control Plan of Water Level in Agricultural Reservoirs using a Deep-Learning Based LSTM Model (딥러닝 기반 LSTM 모형을 이용한 농업용 저수지 수위자료 품질관리 방안)

  • Yang, Mi-Hye;Nam, Won-Ho;Shin, An-Kook;Kang, Mun-Sung;Kim, Taeg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28-128
    • /
    • 2020
  • 최근 농업환경의 변화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농업용수 관리 정보화 및 과학화의 필요성이 증대되어 실시간으로 저수지 저수량과 농업용수 공급량을 파악하기 위해 자동 수위계측시설이 도입되었다. 농림축산식품부의 저수지 자동수위측정기 설치 및 운영지침에 따라 현재 농어촌공사 관리 저수지 1,734개소 및 수로부 1,880개소에 자동수위계가 설치되어 있으며, 저수지와 수로에서 10분 간격으로 수위자료가 생성되고 있다. 농업용 저수지 수문자료의 공인지점은 2016년 6개소에서 2019년 49개소로 증대되고 있으며, 데이터 품질 저하의 최소화 및 신뢰성 있는 수문자료 생성의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농업용 저수지의 특성을 반영한 저수지 수위 오결측 데이터 보정 방안 및 수문 자료 품질관리 방안이 요구된다. 농업용 저수지의 수위 변화 및 강우-유출 현상은 물리적 모형을 구축하여 기상, 지형 등 영향 인자와 수위(또는 유출)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것은 무적으로 불가능하였지만, 최근 인공신경망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등과 같이 black-box 형태의 모형을 이용하여 비선형적인 수문해석이 가능해졌다.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와 인공신경망을 결합시킨 알고리즘인 딥러닝 (Deep Learning) 기반의 LSTM (Long Short-Term Memory) 모형을 활용하여 농업용 저수지 수위자료를 검토하여 자동계측기에서 발생하는 오류 보정을 위해 품질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자동공정관리에서 최적의 관리모수 선정

  • 이재헌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5 no.2
    • /
    • pp.361-371
    • /
    • 1998
  • 공정수정을 목적으로 하는 자동공정관리는 품질특성 치를 목표치에 가능한한 일치하도록 공정을 조정하고 관리한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공정관리에서 정의되는 비용함수를 최소화하는 관리모수를 선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Lee(1997)가 제안한 비용함수의 추정식을 사용하며, Kramer(1989)와 Box와 framer(1992)에 의해 연구된 방법과 비교한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이 계산하기 간편하면서도 충분히 좋은 정확성을 갖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Application of ISMN method for quality control of soil moisture data (토양수분 측정자료의 품질관리를 위한 ISMN 방식 적용)

  • Shin, Hyung Jin;Lee, Jae Nam;Hwang, Seon Ah;Ok, Jung hun;Lee, Ki Won;Park, Chan Gi;Lim, Kyoung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54-254
    • /
    • 2022
  • 밭 용수관리 및 가뭄 대응을 위한 토양수분 실측자료의 품질관리가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토양수분 자료의 체계적인 유지관리를 위해 국제 토양수분 네트워크(International Soil Moisture Network; ISMN)가 설립되었고, 전세계 1,400여개 지점의 토양수분량 자료의 품질관리하고 있다. ISMN 품질관리 방식은 토양특성, 강우에 대한 반응, 토양온도, 시계열특성을 이용한다. 지표면 최상 토층에 저장되어있는 수분인 토양수분은 기후 예측, 홍수 예보, 농업가뭄평가, 수자원 관리, 온실가스 산정, 인프라 보전, 수인성 전염병 모델링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Dorigo et al., 2011). 본 연구에서는 FDR(Frequency Domain Reflectometry) 기기를 이용한 토양수분 측정자료의 품질관리를 위해 ISMN에서 제시한 총6개의 단계별 품질관리 체계를 적용하였다. 단계는 1) 토양수분이 0 m3m-3보다 작은지, 2) 또는 0.6 m3m-3보다 큰지, 3) 토양수분값이 공극률보다 큰지, 4) 토양온도가 영하인지, 5) 토양수분이 강우 이벤트 없이 증가하는지, 그리고 5) 토양수분 시계열 자료에 spike 가 있는지 6) break나 plateau가 있는지를 검사하여 Quality Flag를 설정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토양수분 데이터 자동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상치를 보정하였다. 향후, ISMN의 Quality Flag (QF1-QF10)를 적용하여 모니터링 자료의 품질관리 자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

Assessment of National Quality Control System for the Hydrological Data (국가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 운영성과)

  • Kim, Hyoung-Seop;Cho, Cha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34-634
    • /
    • 2012
  • 국가 차원에서 일관된 수문자료 품질관리기준을 제시하고, 현업에서 활용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개발된 국가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은 2007년부터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홍수통제소에서 적극 활용하여 수문자료 신뢰도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 구축된 국가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을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홍수통제소에서 관할하는 수문관측소 및 수문자료에 적용, 운영 실적을 지속적으로 분석하고 수문자료의 이상률, 결측률 등의 통계분석을 통해 수문자료 품질 및 신뢰도를 정량적, 정성적으로 나타내고 품질관리 업무 실시 후의 개선 효과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국가 수자원을 적극적으로 관리하여 신뢰성 있는 수문자료를 확보하고 품질 수준 향상을 위한 개선작업을 꾸준히 수행함으로써 수문자료의 신뢰도 제고와 국가 수문자료 관리업무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자 한다.

  • PDF

정보공간 - 이슈 및 알림

  • 대한타이어공업협회
    • The tire
    • /
    • s.246
    • /
    • pp.24-29
    • /
    • 2011
  •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에서는 2011.3.11일자로 자율안전확인대상 자동차용 타이어 안전기준 개정(안)을 입안 예고하였으며, 본고는 동 개정(안)의 취지 및 주요내용과 아울러 자동차용타이어가 품질관련 법규 "품질경영 및 공산품안전관리법" 상에서 어떻게 관리되는지에 대하여 요약한 것이다. 한편, 우리협회는 그간 국내타이어업계와 함께 기준치 이하의 저품질 타이어 유통 근절을 통한 타이어 사용자의 안전성 향상과 관련법규의 실효성 제고 차원에서 금번 타이어 안전기준 개정(안) 마련에 있어 적극 참여하여 왔다.

  • PDF

Implementation of National Quality Control System for the Hydrological Data (국가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 구축(II))

  • Kim, Hwi-Rin;Yoo, Chul-Sang;Cho, Hyo-Seob;Kim, Chung-Soo;Kim, Hyoung-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84-187
    • /
    • 2009
  • 현재 국내에는 수문자료 품질등급 및 품질관리 방법에 대한 기준과 인력 예산 시스템의 부재로 인해 수문자료 품질관리에 대한 지속적인 수행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국토해양부에서는 국가 차원에서의 일관성 있는 수문자료 품질관리 기준을 제시하고, 현업에서 활용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2007년 한강 수계를 대상으로 관측소별 품질관리 기준을 설정하고, 국가 수문자료 품질관리시스템 구축(I)을 추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그 두 번째 단계인 낙동강 수계를 대상으로 하여 수문관측소의 기존 수문자료를 수집하여 자료 특성을 분석하고 지점별 자동 품질관리 기준을 설정하였다. 또한, 1차에서 구축한 우량 및 수위 자료의 품질관리에서 유량자료 품질관리를 추가하여 유량자료 품질관리의 절차와 자료 생성단계별 품질관리 수행에 대한방안을 수립하였다. 또한, 현업에서 적용이 가능하도록 수위 일치성 검토, 수위-유량관계곡선식 검토 및 유량환산 후의 상 하류 유량 비교 분석을 하여 과정의 적절성 등을 판단할 수 있는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수문자료에 대한 일상적인 품질관리가 가능하고 신뢰도 높은 수문자료 제공으로 인해 관련 분야의 정확도를 제고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