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동 업데이트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39초

블록형 Industrial IoT 디바이스 연동을 위한 온톨로지 시스템 (An Ontology System for Interworking between Block-type Industrial IoT Devices)

  • 김민창;박용수;권진만;김현식;서정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04-305
    • /
    • 2018
  • 최근 Industrial-IoT(IIoT) 솔루션은 2016년 기준 최대 55%를 차지하였고, 기술 혁신과 다양한 신규 비즈니스 모델이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IoT 디바이스를 다양한 환경에서 적용하고, 손쉽게 센서를 추가/변경/삭제하기 위해 블록형 IIoT 디바이스 연동이 가능한 온톨로지 시스템을 구현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IIoT 디바이스, 블록형 모듈과 온톨로지 서버로 구성되어있다. IIoT 디바이스에 블록형 모듈이 연결되면 온톨로지 서버를 통해 적합한 드라이버를 설치하고, 펌웨어를 다운로드한다. 블록이 추가/변경/삭제되어도 자동으로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실험을 통해 서버의 정상 구동과 소프트웨어의 업데이트 및 다운로드가 정상적으로 구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워드넷 신셋에 대한 사건구조 프레임 반자동 태깅 (Semi-automatic Event Structure Frame tagging of WordNet Synset)

  • 임서현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8년도 제30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101-105
    • /
    • 2018
  • 이 논문은 가장 잘 알려진 어휘부중 하나인 워드넷의 활용 범위 확장을 위해 워드넷 신셋에 "사건구조 프레임(Event Structure Frame)"을 주석하는 연구에 관한 것이다. 워드넷을 비롯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는 어휘부는 풍부한 어휘의미정보가 구조화되어 있지만, 사건구조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지는 않다. 이 연구의 가장 큰 기여는 워드넷에 사건구조 프레임을 추가함으로써 워드넷과의 연결만으로 핵심적인 어휘의미정보를 모두 추출할 수 있도록 해준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텍스트 추론, 자연어처리, 멀티 모달 태스크 등은 어휘의미정보와 배경지식(상식)을 이용하여 태스크를 수행한다. 워드넷에 대한 사건구조 주석은 자동사건구조 주석 시스템인 GESL을 이용하여 워드넷 신셋에 있는 예문에 먼저 자동 주석을 하고, 오류에 대해 수동 수정을 하는 반자동 방식이다. 사전 정의된 23개의 사건구조 프레임에 따라 예문에 출현하는 타겟 동사를 분류하고, 해당 프레임과 매핑한다. 현재 이 연구는 시작 단계이며, 이 논문에서는 빈도 순위가 가장 높은 100개의 동사와 각 사건구조 프레임별 대표 동사를 포함하여 총 106개의 동사 레마에 대해 실험을 진행하였다. 그 동사들에 대한 전체 워드넷 신셋의 수는 1337개이다. 예문이 없어서 GESL이 적용될 수 없는 신셋을 제외하면 1112개 신셋이다. 이 신셋들에 대해 GESL을 적용한 결과 F-Measure는 73.5%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워드넷-사건구조 링크를 계속 업데이트하면서 딥러닝을 이용해 GESL 성능을 향상 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할 것이다.

  • PDF

Network 모니터링을 위한 자동 노드 인식 기법 (A Network Monitoring System with Automatic Node Identification)

  • 손민호;정인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3)
    • /
    • pp.619-621
    • /
    • 2004
  • ARP는 IP 네트워크 상에서 IP 주소를 물리적 네트워크 주소로 대응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컴퓨터간의 물리적 주소를 이용하여 전승하는데 이 물리적 주소는 각각의 랜카드마다 고유하게 갖는 값으로 네트워크에서는 실제로 데이터를 전달할 때 네트워크 카드가 가진 물리적 주소를 이용하여 전달 하지만 소프트웨어 차원에서는 IP 주소라는 것을 사용한다. ARP 프로토콜은 IP 주소를 실질적인 네트워크 어댑터의 물리적 주소와 연관시킬 때 사용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ARP 동보 패킷을 이용한 네트워크 강시 대상 노드들의 정보를 자동적으로 구축하는 기능을 갖는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본 네트워크 모니터링 시스템은 ARP 동보 패킷을 분석하여 네트워크 감시 대상 노드들을 인식하고 NETBIOS 모듈을 이용한 노드 이름 확인과 Ping 모듈을 이용한 노드 상태 및 정보를 표시하며 주기적인 업데이트를 통해 노드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을 갖는다.

  • PDF

그래프 데이터베이스 기반 자동 PDDL Planning 시스템 (Automated PDDL Planning System using Graph Database)

  • 문지윤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709-714
    • /
    • 2023
  • 유연한 planning system은 로봇이 다양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서 중요한 요소이다. 본 논문에서는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automated planning system architecture를 소개한다. 심볼릭 기반의 task planning을 위해 PDDL을 활용하였으며 실시간 환경 정보 업데이트를 위해 그래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다. 제안한 구조는 시나리오 기반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가상환경에서 지형의 형태와 고도를 고려한 인터렉티브한 사운드 합성 (Interactive Synthesizing of Sound in Virtual Environments with considering Shape and Elevation of the Terrain)

  • 박소연;박성아;김종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1년도 제64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9권2호
    • /
    • pp.593-596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지형의 고도와 기울기를 고려하여 사운드의 확산과 회절을 인터렉티브하게 표현할 수 있는 사운드 합성 기법을 제안한다. 우리의 접근 방식은 광선 추적법(Raytracing)을 기반으로 소리의 크기를 보여줄 수 있는 사운드 강도 맵을 빠르게 계산한다. 지형의 고도와 기울기 값을 고려하여 소리의 강도 맵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결과적으로 지형의 지오메트리 분석인 큰 계산 과정을 피하고 지형을 고려한 소리의 크기를 인터렉티브하게 업데이트한다. 이 과정에서 소리의 근원지에 따른 고도 간의 격차를 계산하여 소리의 크기를 자동으로 감쇠시키며, 주변 지형의 공간 기울기를 기반으로 기울기의 차에 따라 소리의 크기를 자동으로 감쇠시킨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이용한 소리는 실제 높낮이가 있는 현실의 지형에서 듣는 소리의 전파 및 감쇠와 유사한 형태를 보여주며, 소리의 위치에 따라서 소리 감소 패턴이 변경되고, 또한, 지형에 따라서 소리의 크기가 제어되는 결과를 보여준다.

  • PDF

최신 네트워크 응용 분류를 위한 자동화 페이로드 시그니쳐 업데이트 시스템 (Automatic Payload Signature Update System for Classification of Recent Network Applications)

  • 심규석;구영훈;이성호;;김명섭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2권1호
    • /
    • pp.98-107
    • /
    • 2017
  • 오늘날 네트워크 자원을 사용하는 응용이 증대되면서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트래픽 분석에서 현재 연구 단계의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 그런 한계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연구인 시그니쳐 자동생성 연구는 응용 트래픽을 입력으로 트래픽의 공통된 패턴을 찾아 출력하는 과정이 자동화된 연구이다. 그러나 시그니쳐 자동생성 연구는 트래픽을 사용자가 수집해야 하는 반자동 시스템이기 때문에 트래픽 수집 단계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생성된 시그니쳐의 검증 과정이 포함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시그니쳐의 정확도를 신뢰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시그니쳐 자동생성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트래픽수집, 시그니쳐 생성, 시그니쳐 검증, 시그니쳐 관리까지 모든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을 학내 망의 실제트래픽에 적용하여 추출한 시그니쳐는 분석률을 유지하며, 오탐률을 0으로 만드는 효과를 보였다.

개념 기반 한국어 서답형 답안의 자동채점 시스템 (Concept-based Automatic Scoring System for Korean Free-text or Constructed Answers)

  • 박일남;노은희;심재호;김명화;강승식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2년도 제24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69-72
    • /
    • 2012
  • 본 논문은 한국어 서답형(단어, 구 수준) 문항 유형을 분석하고 실제 채점자가 채점 기준표를 보고 채점하는 방법을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정답 템플릿을 설계 및 개념 정의를 하여 한국어 서답형에 특화된 자동채점 시스템 방법을 제시한다. 본 시스템을 사용하여 1000개의 학생 답안지에 대한 유형 가지수 500개 이하의 2011년도 학업성취도 평가 과학 6개 문항에 대하여 채점 기준표 내용을 정답 템플릿으로 작성한 뒤 250개 학생 답안을 학습데이터로, 정답 템플릿을 업데이트로 사용, 750개 학생 답안에 대하여 자동채점한 결과, 평균 카파계수 0.84라는 수치로서 실제 사람 채점 결과와 거의 완벽히 일치라는 결과를 얻었다.

  • PDF

에이전트 시스템 기반 향상된 매쉬업 서비스 (Enhanced Mash-up Service using Agent-base System)

  • 오승천;양정진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D)
    • /
    • pp.456-458
    • /
    • 2012
  • 최근 스마트폰의 개발과 어플리케이션의 다양화로 인하여 OpenAPI을 사용한 'Mashup'의 기술이 많은 곳에서 이용되고 있다. 매쉬업은 2가지 이상의 서비스를 복합하여 사용하므로 요구 목적에 맞는 새로운 형태의 서비스를 만들어 낸다는 장점도 있지만, OpenAPI 정보 제공자에게 종속될 수밖에 없다는 점과, 서비스를 융합하는 과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매쉬업 프로그램 개발과 유지에 있어서 큰 장벽이 된다. 그래서 매쉬업 개발자에게는 자신의 서비스를 만들어 내기 위하여 손쉽게 OpenaAPI에 접근하는 방법과 매쉬업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서비스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매쉬업 서비스의 효율적 관리와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통합적 매쉬업 관리 모델에 대해서 다룬다. 통합적 매쉬업 관리 모델은 '선택적 매쉬업'과 '자가 복구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선택적 매쉬업은 사용자가 원하는 매쉬업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 여러 번 작업을 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을 간편화하여 효율적 작업처리가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자가 복구 시스템은 매쉬업의 단점인 종속적 정보 획득을 보완하고 방지하기 위해서 OpenAPI 수집 에이전트를 통하여 중복된 OpenAPI를 수집, 요구된 매쉬업 정보를 자동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통합적 매쉬업 관리 모델은 매쉬업 사용자에게 편리한 접근 인터페이스 제공하고 종속성이라는 문제점을 해결해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음식메뉴 개체명 인식을 위한 음식메뉴 사전 자동 구축 (Automatic Construction of Restaurant Menu Dictionary)

  • 구영현;유성준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13년도 제25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102-106
    • /
    • 2013
  • 레스토랑 리뷰 분석을 위해서는 음식메뉴 개체명 인식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의 개체명 사전을 이용하여 리뷰 분석을 할 경우 구체적이고 복잡한 음식메뉴명을 표현하는데 충분하지 않으며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힘들어 새로운 트렌드의 음식 메뉴명 등이 반영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레스토랑 전문 사이트와 레시피 제공 사이트에서 각 레스토랑의 메뉴 정보와 음식명 등을 래퍼기반 웹 크롤러로 수집하였다. 그런 다음 빈도수가 낮은 음식메뉴와 레스토랑 온라인 리뷰에서 쓰이지 않는 음식메뉴를 제거하여 레스토랑 음식 메뉴 사전을 자동으로 구축하였다. 그리고 레스토랑 온라인 리뷰 문서를 이용해 음식 메뉴 사전의 엔티티들이 어느 유형의 레스토랑 리뷰에서 발견되는지를 찾아 빈도수를 구하고 분류 정보에 따른 비율을 사전에 추가하였다. 이 정보를 이용해 여러 분류 유형에 해당되는 음식메뉴를 구분할 수 있다. 실험 결과 한국관광공사 외국어 용례사전의 음식 메뉴명은 1,104개의 메뉴가 실제 레스토랑 리뷰에서 쓰인데 비해 본 논문에서 구축한 사전은 1,602개의 메뉴가 실제 레스토랑 리뷰에서 쓰여 498개의 어휘가 더 구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와 아울러, 자동으로 수집한 메뉴의 정확도와 재현율을 분석한다. 실험 결과 정확률은 96.2였고 재현율은 78.4, F-Score는 86.4였다.

  • PDF

TFT Color LCD를 사용한 통합형 리모컨 개발 (Development of Universal Remote Control System using TFT Color LCD)

  • 김용표;윤동한;최운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1495-1501
    • /
    • 2006
  • 본 논문은 TFT 칼라 터치 LCD(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한 홈 자동화 원격 제어 시스템 개발을 제안한다. 이 혁신적이고 인간공학적인 디자인, LCD와 하드웨어 버튼의 올바른 조합을 가지고 원격 제어하며 또한 이것의 산업 선도적 기술을 홈 엔터테인먼트의 최첨단 부분을 수요자에게 공급한다. 일시적 사용자를 위한 원격제어는 다양하고 자유로운 매크로와 적외선 명령어를 가지고 자동적으로 프로그래밍 되어졌다. 라디오 주파수 명령은 50-100인치 정도의 벽 및 문을 통하여 조작되어진다. 편집기는 수많은 브랜드의 AV 관련 제품들에 대한 IR 코드에 맞게 방대한 라이브러리를 포함한다. 이 데이터베이스는 매달 새 장치 포함하여 지속적으로 추가된다. 라이브 업 데이트를 지원함으로 최신 버젼의 소프트웨어를 유지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제거 및 설치하는 것을 대신하여 인터넷에서 소프트웨어를 다운로드 및 업 데이트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