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동측정시스템

Search Result 1,035,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컴퓨터를 이용한 금형 자동측정 시스템 개발

  • 박희재;황상욱;강무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1.10a
    • /
    • pp.258-262
    • /
    • 2001
  • 금형공장 CIM을 구현하기 위한 3차원 자동측정 모듈이 개발되었다. 자동측정모듈은 CAD로 부터 도면정보를 넘겨받아 측정계획을 수행하며 시뮬레이션을 거친후 CNC 3차원 측정기 에서 자동으로 측정이 수행된다. 또한 측정된 결과는 측정 해석모듈을 통하여 CAD 데이터와의 비교가 가능하다.

Development of Real-time Automatic Discharge Acquisition & Remote-control System (실시간 자동유량관측 시스템 개발)

  • Kim, Chang-Wan;Lee, Min-Ho;Cheong, Sang-Hwa;Kim, Ki-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551-555
    • /
    • 2007
  • 하구 감조부에서의 유량측정은 수문관측매뉴얼에 의하면 일반하천의 유량측정과 같은 원칙으로 실시하며, 일반 유량측정보다 신속하게 측정하고 유속과 유량을 연속적으로 측정해야 하고 조석을 잘 고려하여 관측계획을 수립하여야 하고 측정장비는 가급적 유향, 유속계의 기록부가 내장된 장비를 이용하도록 제안하고 있으며, 현실적으로 감조하천에서 유량측정은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하천유량의 효율적인 측정을 위해 초음파유속계나 지표유속법과 같은 실시간 하천유량측정 방법이 도입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자동유량관측이 감조하천에 가능하도록 실시간 유량관측 시스템을 개발하여 운영하였다. 조석의 영향을 받는 한강대교지점에 도플러방식 초음파유량계를 회전체에 탑재한 자동유량측정장치를 남 북단 하천에 각각 1대씩 설치하였다. 본 시스템을 운영한 결과 무인 자동 연속 정밀관측이 가능하였으며, 1회 유속측정에 소요되는 $2{\sim}3$시간을 $5{\sim}6$분으로 단축시켰다. 이를 기반으로 감조하천에서의 자동유량관측이 가능하고 지표유속법을 도입하여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유량산정기술을 개발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energy saving rotary blade for tractor (II) -Development of automatic system connected tractor for measuring soil hardness- (에너지 절감형 트랙터 로타리날 개발 (II) -트랙터 부착형 자동 토양경도 측정 시스템 개발-)

  • 이현동;김기대;박우풍;김성환;김찬수;서동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3-8
    • /
    • 2002
  • 본 연구는 트랙터 부착형 자동 토양경도 측정 시스템의 개발에 관한 연구로서, 우리나라 토양조건이나 작업형태에 맞는 에너지 절감형 트랙터 로타리날을 개발하기 위한 전단계 연구로서, 기존에 개발된 로타리날과 개량, 보완되어 개발될 로타리날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수동 토양경도 측정기의 부정확성을 개량하여 측정의 정확성을 통한 동일 실험조건에서의 실험을 실시하고자 자동으로 작동되며 토양경도측정을 할 수 있는 트랙터 부착형 자동 토양경도 측정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그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스템은 토양경도 측정부, 측정장치 구동부, 그리고 트랙터와의 연결부로 구성되었다. (2) 시스템 작동에 필요한 전원공급을 트랙터 배터리에서 공급하였다. (3) 토양경도 측정시 토양속에 돌이나 이물질 층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콘 페니트로메타가 관입하다가 큰 관입저항 때문에 관입저항 한계설정치까지 가기전 더이상 관입을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5) 성능실험시 관입심이 깊을수록 시험포장 전체에서 대체적으로 토양경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토양속의 돌이나 이물질 등에의해 경도가 급격히 증가하는 부분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에서 살펴보면 본 시스템은 토양경도 측정에 적절하다고 사료된다.

  • PDF

Development of real-time continuous suspended sediment concentration measurement system using acoustic backscatter of H-ADCP (실시간 부유사농도 측정을 위한 횡방향 초음파도플러유속계의 초음파산란도를 활용한 부유사농도 측정 시스템 개발)

  • Son, Geunsoo;Roh, Youngsin;Kim, Dongsu;Choi, Kwangtae;Chung, Hok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3-23
    • /
    • 2022
  • 하천의 유량 및 유사량 자료는 하천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를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한 측정자료의 생산이 필요하다. 따라서, 국내에서는 지속적인 유량 측정을 목적으로 전국의 주요 국가하천을 대상으로 약 62개소에서 H-ADCP를 활용하여 지속적인 유량측정을 수행하고 있다. 이때, H-ADCP는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유속자료와 함께 초음파산란도 자료를 부가적으로 제공하고 있어 초음파산란도를 부유사농도의 지표로 활용하여 지속적인 부유사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기존에 설치된 자동유량관측소의 H-ADCP를 통해서 실시간의 유량자료와 함께 유사량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동유량관측소를 대상으로 과거 유사량 측정을 수행한 5개 지점을 선정하여 초음파산란도를 활용한 부유사농도 측정 기술의 적용성을 검토하였고, 이를 통해 제시한 부유사농도 측정 방법을 통해 실시간 부유사농도 측정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실시간 부유사농도 측정 시스템의 적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나주시(남평교) 자동유량관측소 지점에 시스템을 구축하여 초음파기반의 부유사농도 측정 기술을 통한 실시간 부유사농도 산정 방법에 대한 보완 사항과 개선방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for Storage of Horticultural Crops on the Web (웹을 이용한 원예작물의 저장을 위한 환경관리 시스템)

  • 박병수;양용준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2.05a
    • /
    • pp.203-205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원예작물의 저장고 내 정확한 품질판정을 위하여 관련된 여러 환경요인들을 일차적으로 센서에서 감지하고 그 정보를 컴퓨터에 자동 입력하여 이러한 환경을 자동으로 관리한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측정된 데이터를 언제 어디서나 볼 수 있도록 웹 페이지로 구축하고 인터넷을 통하여 저장고의 상태를 설정을 할 수 있는 원격 시스템을 구현함으로 효율적인 관리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성한다. 따라서 신뢰성 있는 센서 제어기를 이용하여 원예작물의 저장환경을 관리할 수 있도록 시스템 하드페어 및 응용 소프트웨어를 구축하여 자동 측정된 데이터의 분석 및 환경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자동화 시스템을 구성한다.

A Development of Automatic Measuring System for Acoustic Wave Velocity for the Unconsolidate Marine Sediment (미고결 해저퇴적물의 음파전달속도 자동측정시스템 개발)

  • 하인철;서영교;윤영석;하덕호;김대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1999.05a
    • /
    • pp.29-32
    • /
    • 1999
  • 해양퇴적물의 음파전달속도는 퇴적물의 주요한 물성중의 하나로 Mercury Delay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해 왔다. 하지만 이 방법은 사람의 육안으로 측정하기 때문에 측정자에 따라 측정값이 달라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컴퓨터를 이용하여 측정자에 상관없이 거의 동일한 측정 결과를 얻어 낼 수 있는 퇴적물 음파전달속도 자동측정시스템과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또한 그 측정결과를 Data Base화하고 실제 Mercury Delay 방법을 이용한 방법과 비교 분석하여 그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 PDF

Uncertainty of Online TOC Analyzer in Water Quality Monitoring System (수질자동측정시스템에서 온라인 TOC 자동측정장치의 불확도 산출)

  • Lee, Chung-Yul;Lee, Yong-Woon;Lee, Jun-Hung;Lim, Boung-Jin;Kwon, Young-Jin;Khang, Bum-Ju;Hong, Young-Min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0 no.2
    • /
    • pp.193-200
    • /
    • 2007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uncertainty of online TOC analyzer in water quality monitoring system. A procedure for the estimation of measurement uncertainty of total organic compounds (TOC) based on the ISO approach is presented. It is based on a mathematical model that involves 4 input parameters (standardization, sensitivity, solute effect and representativeness). In this study, a major problem in estimating the uncertainty of online TOC analyzer was the solute effect. It was strongly depends on organic materials. So homogeneity of the sample is the most important consideration. Modified concentration and combined standard uncertainty was $4.71{\pm}0.36$ mg $L^{-1}$ by model modified in this study.

Development of water supply system for efficient water management (효율적 물관리를 위한 용수공급시스템 개발)

  • Chung, Kwang-Kun;Lee, Kwang-Ya;Kim, Hae-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135-2139
    • /
    • 2007
  • 현재 한국농촌공사에서는 농업용수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물관리자동화사업을 시행하고 약 8만ha를 대상으로 418개의 수리시설을 전동화하였다. 물관리자동화사업에서의 물관리는 공급자 위주로서 이미 결정되어진 물의 양을 시기에 따라 적절하게 공급하여 주며 이를 계측하고 제어하기 위한 시설이다. 그러나 현재 실제로 물관리가 일어나는 곳을 말단포장으로서 급수물꼬의 개폐에 따라 농업용수의 공급과 단절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사실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급수물꼬를 논의 담수심에 따라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자동물꼬, 논의 담수심과 수로의 유황상황을 체크하여 정보전달을 수행하는 수로수위측정 및 담수심 측정장치, 상기의 논과 수로의 유황정보에 의하여 논에 물을 공급하는 태양광 전동수문, 수로의 수위증감에 따라서 수로의 수압을 일정하게 형성시켜 용수공급을 원활하게 해주며 또 기존의 제수문과는 다르게 항상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도 하류방향으로 물을 공급해주는 무동력 자동수문을 개발하여 시스템으로서 구성하여 설치하였다. 현재 담수심 측정 및 수로수위측정장치로부터의 정보전달은 무선으로 하며 이 정보를 기초로 하여 태양광 전동수문의 모터제어부에서 판단을 하여 수문의 개폐를 지시한다. 또한 무동력 자동수문의 경우에는 부력부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어서 주수부를 통하여 수로내 수위와 같은 레벨로 물이 유입되고 이를 플로트가 감지하여 수문비 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밸런스 웨이트를 제어하여 수문을 개폐한다. 본 무동력 자동수문은 수위를 유지하는 설정수심을 자유로이 변경할 수 있도록 주수부를 개량하였으며 부력부에 오물유입이 되지 않도록 스크린을 주수부의 물유입장소에 설치하였다. 현재까지 시스템의 작동상황에 대한 성능은 양호하다. 다만 향후의 문제점으로서 시스템이 설치된 지역과 설치되지 않은 지역과의 용수사용량을 비교분석하는 작업으로 본 시스템의 경제적 효과 및 효율성을 증명할 필요가 있으며 본 시스템의 실용화시 시스템 사용방안에 대해서는 대규모 평야부와 저수지 지구의 물공급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이를 감안한 시스템 구성을 할필요가 있다.

  • PDF

Development of Autonomous navigation of Drones and Automatic measurement system for Surface velocity doppler radar (드론의 자율운항 및 전자파표면유속계 자동 측정 시스템 개발)

  • Lee, Tae Hee;Kang, Jong Wan;Jeong, Seung Gyo;Kim, Geon Woo;Lee, Ki Sung;Lee, Sin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90-90
    • /
    • 2022
  • 전자파표면유속계를 이용한 유량측정은 전자파를 발사한 후 수표면에 반사되는 전자파의 도플러효과를 이용하여 표면유속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국제적으로 1980년대부터 홍수유량측정의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전자파표면유속계를 개발하여 하천 유량측정 업무에 활용하였다. 미국의 경우U.S. Geological Survey (USGS)에서 교량, 케이블웨이, 제방, 헬리콥터, 비행기 등 전자파표면유속계의 측정 위치에 따라 주파수 범위를 달리하며 유속을 측정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국내의 경우 Lee et al.(2021)은 드론을 이용한 전자파표면유속계 측정을 위해 드론으로부터 전자파표면유속계로 전달되는 진동을 제거하고 전자파표면유속계의 흔들림 방지를 위한 댐퍼플레이트를 개발하여 드론과 전자파표면유속계를 결합한 DSVM(Dron and Surface Veloctity Meter using doppler radar) 측정방법에 대한 실용성을 확인하였다. 기존 연구에서 DSVM 방법은 드론의 각 측선 이동을 위한 조종 및 전자파표면유속계 측정의제어를 측정자가 수행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자동 측정 시스템 개발을 통해 측정자의 조종 의존도를 줄임과 동시에 안전하고 정확한 유량측정을 위해 노력하였다. 측정지점의 위치정보를 DB화하여 각 측선별 이동하는 자율운항 기능과 전자파표면유속계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측정을 실시하는 기능을 개발하였다. 또한 전자파표면유속계 컨트롤 시스템과 GCS(Ground Control System)를 통합하여 한 시스템에서 측정의 모든 상황을 컨트롤 할 수 있게 하였다. 현재까지는 DSVM 방법의 자율운항 기능과 자동 측정 시스템의 테스트를 완료하였고 2022년 홍수기 유량측정에 도입하여 홍수기 유량측정의 실용성을 판단할 계획이다.

  • PDF

A Semi-Automatic Rapid System for In-Field Soil Phosphorus Measurement (현장 토양의 인 분석을 위한 반자동 신속 측정 시스템)

  • Lee, Sang-Yoon;Park, Hyo-Je;Han, Cheol-Woo;Lee, Seung-Yun;Kweon, G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120-120
    • /
    • 2017
  • 최근 국내 소비자들의 안전한 음식과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재배작물과 경작지 토양의 물리 화학적 특성 등에 맞추어 적정 시비 및 재배관리를 적용하는 정밀농업이 시도되고 있다. 정밀농업은 농약 및 비료 등의 양을 적절하게 사용하여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과다사용을 막아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현재 토양의 수분, EC, pH등과 같은 항목은 신속하고 간단하게 분석이 가능하지만 토양의 필수 원소인 N, P, K 성분을 분석하는 제품은 상용화 되지 않았거나 가격이 비싸 일반 농가에서는 사용이 어렵다. 특히, 토양의 인을 현장에서 분석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고 있으나 실제로 현장에서 사용되는 경우 또한 없는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토양에 포함되어 있는 인을 측정하기 위해서 많은 실험실에서는 이화학적 분석법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 분석법은 오랜 시간과 전문적인 인력이 필요하며 주변 환경변화에 민감하여 실시간으로 분석하기에는 어렵다고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토양의 인을 분석하기 위해 반자동 분석시스템을 제작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전 연구에서 현장 토양을 이용한 신속측정법의 가능성($R^2>0.7$)을 확인하여 이 분석법을 바탕으로 반자동 분석시스템을 제작하였고 표준결과 값의 약 70% 이상의 수준을 목표로 하였다. 진주 지역의 현장 토양 20개 샘플과 반자동 침출 장치, 여과 장치, 발색 장치 그리고 통합 반자동 시스템을 이용하여 분석한 후 표준 분석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R^2$ 값이 각각 0.985, 0.817, 0.893, 0.837로 약 70% 이상의 수준을 달성하였다. 추후, 반자동 토양 인 신속측정시스템을 완전 자동화 시스템으로 개발하고 주행 장치를 부착시켜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원하는 위치의 인을 측정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