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동차-이동성

Search Result 26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애드혹을 이용한 자동차 네트워크에서 이동성에 따른 네트워크 성능 분석

  • Kim Jaehyun;Choi Woohyuk;Hwang Yunil;Kim Taehwan;Han Woojin;Jang Juwook;Um Jaeyong;Lim Junch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544-546
    • /
    • 2005
  • 본 논문은 애드혹을 이용한 자동차간 네트워크에서 도심 및 고속도로에서 소규모로 그룹을 지어 이동할 때의 네트워크 성능을 분석한다. 자동차를 위한 무선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하여 IEEE 802.11b를 이용한 애드혹 네트워크를 사용한다. 그리고 이러한 네트워크에서 다양한 이동성 환경에서 IEEE 802.11b를 이용한 네트워크의 성능을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네트워크 시뮬레이터인 OPNET을 이용하여 실제 자동차가 이동하는 이동성 모델을 적용한 후 TCP와 UDP를 이용하여 대용량의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네트워크 성능을 측정한다. 또한 실제 자동차에 애드혹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TCP와 UDP를 이용한 대용량의 자료를 주고받을 때의 네트워크 성능을 측정합니다.

  • PDF

Seamless and Robust Vehicular MIPv6: VMIPv6 for Vehicular Ad hoc Network (자동차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연속적이고 견고한 IPv6기반의 이동성 프로토콜)

  • Oh, Ha-Young;Kim, Chong-Kwon
    • Journal of KIISE:Information Networking
    • /
    • v.37 no.2
    • /
    • pp.122-134
    • /
    • 2010
  • With the rapidly increasing demand of traffic applications, the need to support seamless and robust multimedia services in the Vehicular Ad hoc Network is growing. Fast handover for the MIPv6 (FMIPv6) developed to solve the MIPv6's problem as well as Mobile IPv6 (MIPv6) for basic mobility protocol have been developed to support seamless handover in mobile environment. However, MIPv6 and FMIPv6 are useless for Quality-of-Service (QoS) services such as multimedia applications due to the long handover latency and the packet loss problem. In this paper, we propose a seamless and robust handover scheme that supports multimedia services in Vehicular Ad hoc Network using oCoA and background DAD. Through performance evaluation, we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is more proper for Vehicular Ad hoc Network than other schemes.

All-Directional Smart Vehicle (전방향 이동이 가능한 스마트 자동차)

  • Park, Cha-Hun;Woo, Kyung-Mo;Moon, Min-Sik;Kim, Pyeong-Won;Jung, Hyeon-seop;Kim, Ka-B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9.07a
    • /
    • pp.239-240
    • /
    • 2019
  • 자동화 시스템이 발전하면서, 자동차 또한 자동화가 되고 점점 더 편리하게 발전해 왔다. 하지만, 아직까진 자동차 현황은 운전자의 운전능력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사람의 운전능력에 의존해야 하는 자동차의 불편한 점을 해소하고자 개발했다. 기존의 자동차는 앞바퀴의 축이 선회하며 방향을 정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현재 운용되고 있는 기존 자동차의 기본적인 차체의 구조적인 문제로 인하여 자동차의 이동과 동선에 제약을 준다. 이 방식의 제약을 풀어버리기 위해서는 여러 방법이 있겠지만, 본 논문에서는 바퀴의 구동축이 움직이는 방식을 바꾸는 방법으로 자동차의 이동제약을 개선하고자 했다. 앞바퀴만의 방향 제어가 아닌 4개의 바퀴를 각각 제어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장애물을 피하기 위한 자동차 제어의 편의성을 더하고자 했다.

  • PDF

스마트카 개발동향 및 당면과제

  • Lee, Jae-Gwa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0 no.11
    • /
    • pp.32-38
    • /
    • 2013
  • 2020년 자동차산업의 핵심 키워드는 새로운 교통수단과 이동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새로운 비즈니스의 기회를 창출해야 하는 '이동성의 재발견', 글로벌시장의 다양한 소비자에게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모색해야 하는 '전방위적 유연성', 미래사회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자동차업체 이외의 new players의 참여를 유도하고 공존할 수 있는 열린 산업문화를 구축해야 하는 '소통과 협력', 미래경쟁력 확보를 위해 핵심기술의 선점과 상품화 노력을 강화해야 하는 '첨단기술의 융합'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리고 미래 자동차산업의 경쟁력은 자동차 자체를 만드는 기술력 보다는 융합기술을 접목한 신서비스의 소비자 니즈 충족이 관건인 점을 감안할 때, 최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스마트카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가 미래 자동차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우리나라 자동차산업의 지속 성장을 보장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스마트카는 운전자 지원이 중요하고 운전자 수용성, 사회적 수용성, 산업적 수용성의 기본원칙을 만족해야 하며 여기서 운전자 지원의 형태로는 인식의 지원, 판단의 지원, 조작의 지원을 그리고 지원의 기능으로는 크게 지각기능의 확대, 정보제공, 경보, 사고회피 지원제어, 운전부하 경감제어를 들 수 있다. 운전자 수용성이란 스마트카의 다양한 기능들이 가능한한 운전자에게 쉽게 전달되어야 하고 운전자가 이들 기능들을 과신하여 의존하는 일이 발생해서는 안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스마트카의 기능은 어떤 조건에서 효과가 어느 정도로 기대될까를 분명히 정해둘 필요가 있다. 즉 사회적 측면에서의 표준화, 법규화가 병행되어야 함을 의미하고 이것이 사회적 수용성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산업적 수용성이란 자동차 산업은 기존 사업을 지속 성장시키고 new players에게는 새로운 사업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정당하게 주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Relay Selection Scheme based on Vehicle Mobility in Vehicular Communication (차량간 통신에서 차량의 이동성을 고려한 릴레이 선택 기법)

  • kyeong-Sik PARK;Jun-Hyeok Kim;Gi-Ryeol Kim;Jae-Wa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05a
    • /
    • pp.70-71
    • /
    • 2023
  • 최근 자동차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본 인프라는 차량간 통신이다. 하지만, 자동차의 높은 이동성은 무선 통신 링크의 단절을 빈번하게 일으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링크의 단절에 대처하기 위한 효율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통신 링크 단절로 인한 성능 저하를 줄이기 위한 릴레이 노드 선택 기법을 제안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한 성능 분석에서 제안하는 기법을 통해 네트워크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보여준다.

Analysis of Effects of Autonomous Vehicle Market Share Changes on Expressway Traffic Flow Using IDM (IDM을 이용한 자율주행자동차 시장점유율 변화가 고속도로 교통류에 미치는 영향 분석)

  • Ko, Woori;Park, Sangmin;So, Jaehyun(Jason);Yun, Ilsoo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0 no.4
    • /
    • pp.13-27
    • /
    • 2021
  • In this study, the impact of traffic flow on the market penetration rate of autonomous vehicles(AV) was analyzed using the data for the year 2020 of the Yongin IC~Yangji IC section of Yeongdong Expressway. For this analysis, a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 model VISSIM was utilized. To construct the longitudinal control of the AV, the Intelligent Driver Model(IDM) was built and applied, and the driving behavior was verified by comparison with a normal vehicle. An examination of the study results of mobility and safety according to the market penetration rate of the AV, showed that the network's mobility improves as the market penetration rate increases. However, from the point of view of safety, the network becomes unstable when normal vehicles and AVs are mixed, so there should be a focus on traffic management for ensuring safety in mixed traffic situations.

Analysis and improvement of transfer power capability considering movable load charging of EV (전기자동차 충전부하의 이동성을 고려한 전송 전력량의 해석 및 개선)

  • Kim, Deok Yo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12
    • /
    • pp.762-767
    • /
    • 2017
  • This paper presents an analysis for improving the power transfer capability in transmission lines caused by the movable load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s). EVs are expected to be used more widely and replace gas fuel vehicles in the near future due to the shortage of fossil fuels and for environmental preservation. Movable load charging of EVs could lead to the convergence of transferred power flow and overloading conditions in transmission lines in a specific area of a power system, which is conventionally based on estimated fixed load capability. To analyze these conditions, the New England Test System was divided into four regions based on the load characteristics, and different charging scenarios were considered. In these scenarios, the regional power load was highly increased to 31% based on the standard charging capacity of an EV. As a solution to the overloading problem of transmission lines, a TCSC was installed serially on the overloaded line to directly control the transferred power under limited line capability (100% load capability). The simulation showed that the application of a few TCSCs could efficiently and economically control the line capability problem caused by movable load charging of EVs.

자동차 점화잡음의 측정 및 분석

  • 이은기
    • The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8 no.3
    • /
    • pp.48-55
    • /
    • 1997
  • 이동통신은 공간을 매개체로 하여 전파를 통해 통화로가 형성되는 통신방식을 취함에 따라 공간상에 존재하는 수 많은 물질에 의한 페이딩 및 무수한 전파로부터 간섭을 받을 가능성을 항상 내재하고 있다. FM을 이용한 아날로그 이동통신의 경우 비의도성 전파의 간섭은 통화시에 클릭음과 같은 불쾨한 음을 동반하지만, 디지틀 시스템의 전파간섭은 전파의 페이딩 현상과 함께 결합되어 BURST BIT ERROR의 발생 등 보다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본 고에서 자동차의 점화잡음이 이동통신 시스템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선행단계로서 점화잡음 자체에 대한 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고에서 실시한 잡음 파라미터들에 대한 분석을 종합해보면 자동차의 점화잡음 특성은 고주파보다 저주파에 집중되어 분포하고 있으며 자동차의 수가 증가할수록 완만하게 증가하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잡음 파라미터들의 곡선의 모양은 주파수에 독립적이며 자동차의 수에 의존하는 특성을 보이고 있으며 진폭특성은 주파수와 자동차 수에 의존하는 함수임을 알 수 있다.

  • PDF

A Control of Gases Emitted from Mobile Vehicles using a Down-Pit-Damper Method (완성차 검사공정에서의 하방형 PIT DAMPER 방법에 의한 이동성 배출가스 제어의 연구)

  • 강인묵;이병규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211-212
    • /
    • 2001
  • 자동차 생산공정은 일반적으로 프레스, 차체, 도장, 의장으로 구분되어 진다. 특히 차량의 조립 완성 후 엔진과 하부 샤시를 검사하는 Test 라인 공정에서는 차량운전 상태에서만 검사를 실시하는 작업특성 때문에 자동차 배기가스가 실내환경 오염을 유발하고 있다. 그래서 대부분 자동차 공장의 경우 배출가스에 대한 제어방식 및 배기 유량 부족으로 자동차 생산을 위하여 실내에서 작업하는 근로자들에게 두통 및 호흡기질환이 유발되고 있다. (중략)

  • PDF

Technology Trends in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자동차 전자제어 장치용 소프트웨어 기술 및 표준화 동향)

  • Han, T.M.;Cho, J.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5 no.4
    • /
    • pp.69-82
    • /
    • 2010
  • 과거 단순한 이동 수단이 목적이었던 자동차는 더욱 안전하고 편리한 자동차, 서비스 지향 자동차로 거듭나고 있다. 점차 편리와 안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제어 장치의 장착이 확대되고 전자제어 장치간의 연동을 통한 서비스 개발이 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신뢰성 빛 안전성 이슈가 최근에 많이 대두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자동차 응용 서비스의 개발에서 IT 기술들의 집합체라고 할 수 있는 전자장치용 소프트웨어의 표준 플랫폼인 AUTOSAR의 동향과 차량 전자제어 장치의 안전성 보장을 위한 ISO 26262 표준 동향 및 이슈를 살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