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동차 간 통신

Search Result 323, Processing Time 0.049 seconds

무선 통신과 영상인식을 활용한 지능형 자율주행 자동차 개발에 관한 연구

  • Moon, In-Seok;Jeong, Tae-Kwang;Hong, Won-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9.05a
    • /
    • pp.77-81
    • /
    • 2009
  • 논문은 지능형 자동차 개발을 위한 마이크로마우스를 활용한 차량-도로 간 통신, 모터제어, 영상처리와 물체감지 센서들을 활용한 도로 상황정보 인식 시스템 등을 활용하여 지능형 자동차의 운행을 구현하고 테스트 할 수 있다. 이를 활용하여 검증된 기술들을 실제 차량에 적용하기 위해서 다양한 실험과 테스트를 실시한다. 또한 누구나 쉽게 간단한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통한 지능형 자동차를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접목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설계한다. 이를 활용하여 영상처리를 통한 차선인식과, 직진 좌회전 및 도로의 교통표시마크를 읽어 들여 차체를 컨트롤하고 차량-도로간 통신을 이용해서 신호등의 정보를 입력받아 교차로를 안전하게 통과하게 된다. 또한 앞 차량을 인식하여 자동으로 속도조절과 차량 간 거리를 유지하는 시스템을 구현한다.

  • PDF

스마트 자동차 기술 동향

  • Kim, Seung-Cheon;No, Gwang-Hyeon
    •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 /
    • v.29 no.9
    • /
    • pp.13-18
    • /
    • 2011
  • 바야흐로 21 세기를 열었던 유비쿼터스 기술은 그 결과물로써 스마트 기기를 낳았다. 그리고 본격적으로 스마트 시대를 열었다. 이에 단순히 탈것에서 진화하기 시작한 자동차는 IT기술과의 접목을 자연스레 하게 되었으며 이어서 스마트 자동차로의 진화적 완성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 자동차는 기본적으로 차량 통신 네트워크 기술은 차량내 네트워크(IVN), 차량간 통신 네트워크(V2V communication network), 그리고 차량과 인프라간 통신 네트워크(V2I communication network)로 구성이 된다. 본 고에서는 차량 통신 네트워크 기술의 개념과 서비스, 시장 전망, 그리고 최근 기술개발과 표준화 동향을 알아본다.

Authentication Scheme based on Biometric Key for VANET(Vehicular Ad hoc Network) (차량 애드 혹 망을 위한 생체 키 기반의 인증 기법)

  • Lee, Keun-H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11
    • /
    • pp.365-369
    • /
    • 2012
  • M2M has shown the advantages of better coverage and lower network deployment cost. Intelligent vehicle section shows severe changes in position between vehicles and has numerous large scales of networks in its component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provide safety by exchanging information between vehicles equipped with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via biometric information in VANET(Vehicular Ad hoc Network). This thesis is to propose scheme that mutually authenticates between vehicles by composing vehicle movement as biometric information.

The analysis of technology of the connected car (커넥티드 카의 기술 분석)

  • Shim, Hyun-B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5.10a
    • /
    • pp.211-215
    • /
    • 2015
  • It comes into the spotlight as the new Blue Ocean in which the connected car industry in which the car and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is convergence. All sorts of infortainments services connecting with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Smart phone, tablet PC, and MP3 player) and car are rapidly grown. The Connected car emphasizes the vehicle connectivity with the concept that the car has communication with the around on a real time basis and it provides the safety and expedience to the operator and using the thing of Internet (IoT) in the car and supports the application, presently, the entertainment service including the real-time Navigation, parking assistant function, not only the remote vehicle control and management service but also Email, multimedia streaming service, SNS and with the platform. Intelligent vehicle network is studied as the kind according to MANET(Mobile Ad Hoc Network) for the safety operation of the cars of the road and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driving. The intelligent vehicle network is comprised for the driving information offering changing rapidly of the communication(V2V: Vehicle to Vehicle) between the car and the car, communication(V2I : Vehicle to Infrastructure) between the infrastructure and the car, and V2X (Vehicle to Nomadic).

  • PDF

A Fusion of Vehicle Sensors and Inter-Vehicle Communications for Vehicular Localizations (자동차 센서와 자동차 간 통신의 융합 측위 알고리듬)

  • Bhawiyuga, Adhitya;Nguyen, Hoa-Hung;Jeong, Han-You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7 no.7C
    • /
    • pp.544-553
    • /
    • 2012
  • A vehicle localization technology is an essential component to support many smart-vehicle applications, e.g. collision warning, adaptive cruise control, and so on. In this paper, we present a new vehicle localization algorithm based on the fusion of the sensing estimates from the local sensors and the GPS estimates from the inter-vehicle communications. The proposed algorithm consists of the greedy location data mapping algorithm and the position refinement algorithm. The former maps a sensing estimate with a GPS estimate based on the distance between themselves, and then the latter refines the GPS estimate of the subject vehicle based on the law of large numbers. From the numerical results, we demonstrate that the accuracy of the proposed algorithm outperforms that of the existing GPS estimates by at least 30 %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y at least 60% in the lateral direction.

Relay Selection Scheme based on Vehicle Mobility in Vehicular Communication (차량간 통신에서 차량의 이동성을 고려한 릴레이 선택 기법)

  • kyeong-Sik PARK;Jun-Hyeok Kim;Gi-Ryeol Kim;Jae-Wa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05a
    • /
    • pp.70-71
    • /
    • 2023
  • 최근 자동차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본 인프라는 차량간 통신이다. 하지만, 자동차의 높은 이동성은 무선 통신 링크의 단절을 빈번하게 일으키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링크의 단절에 대처하기 위한 효율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통신 링크 단절로 인한 성능 저하를 줄이기 위한 릴레이 노드 선택 기법을 제안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한 성능 분석에서 제안하는 기법을 통해 네트워크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보여준다.

The Status of Smart Vehicle Technology Development and ITS Frequency Distribution (스마트 자동차 기술 개발 및 ITS 주파수 할당 동향)

  • Ahn, Tae-Jun;Jang, Jin-Joo;Ro, Kwa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1075-1078
    • /
    • 2011
  • 최근 단순한 이동수단의 목적인 자동차에서 IT기술을 접목시킨 스마트 자동차로의 패러다임 변환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ITS(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기반 스마트 자동차에는 기본적으로 차량 통신 네트워크 기술인 V2X(Vehicle-to-Infra/Vehicle/Nomadic)가 통신기술부분으로 이용되고 있다. V2X는 차량과 차량, 인프라, 모바일간의 통신을 도로차량에 적용한 모든 형태의 통신방식을 지칭하는 용어를 의미한다. 이러한 V2X 통신기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각 통신기술마다 주파수가 필요하며 ITU-R에서는 관련 주파수를 권고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ITS 서비스용으로 할당된 주파수가 ITU-R의 권고사항 및 국외 현황과 상이하여 국내 차량 간 통신 기술 표준화가 보류 상태에 있으며 기술개발이 늦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외 ITS 주파수 할당 현황을 비교하였고, 해외 ITS 산업 동향 및 기술개발동향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는 국내 ITS 주파수 재분배 혹은 추가 할당에 대한 정책 결정시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An Analysis for the Efficient Dissemination of Beacon Messages in Vehicle-to-Vehicle (V2V) Communications (자동차 간 통신에서 비컨 메시지의 효율적인 방송을 위한 성능 분석)

  • Nguyen, Hoa-Hung;Bhawiyuga, Adhitya;Jeong, Han-You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7 no.6C
    • /
    • pp.483-491
    • /
    • 2012
  • In vehicle-to-vehicle (V2V) communications, each vehicle should periodically disseminate a beacon message including the kinematics information, such as position, speed, steering, etc., so that a neighbor vehicle can better perceive and predict the movement of the vehicle. However, a simple broadcasting of such messages may lead to a low reception probability as well as an excessive delay. In this paper, we attempt to analyze the impact of the following key parameters of the beacon dissemination on the performance of vehicular networks: beacon period, carrier-sensing range, and contention window (CW) size. We first derive a beacon period which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vehicle speed. Next, we mathematically formulate the maximum beacon load to demonstrate the necessity of the transmit power control. We finally present an approximate closed-form solution of the optimal CW size that leads to the maximum throughput of beacon messages in vehicular networks.

Authentication between the vehicle scheme using Counting BloomFilter in SMART Highway (SMART Highway환경에서 Counting BloomFilter를 활용한 차량 간 인증 기법)

  • Kim, Su-Hyun;Lee, Im-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04a
    • /
    • pp.672-675
    • /
    • 2012
  • SMART Highway 사업은 첨단 IT통신과 자동차 및 도로 기술이 접목된 세계 최고수준의 빠르고 편안한 지능형 녹색도로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SMART Highway의 도로-자동차 기반 교통운영에서 핵심기술인 VANET(Vehicular Ad-hoc Network)은 다수의 차량들이 무선통신을 이용하여 차량 간 통신 또는 차량과 RSU(Road Side Unit)사이의 통신을 제공하는 차세대 네트워킹 기술이다. 특히, 운전자의 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V2V 통신의 경우 차량 간의 안전한 통신을 위해 차량 간 상호인증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한다. 이처럼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차량 간 인증이 원활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기존의 네트워크에서 사용된 인증방식은 그대로 적용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차량 간 통신 시에 보다 효율적인 차량 인증을 위해 카운팅 블룸필터를 이용한 차량 인증 기법을 제안한다.

The Technology of Connected Car (커넥티드 카의 기술)

  • Shim, Hyun-B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0 no.3
    • /
    • pp.590-598
    • /
    • 2016
  • It comes into the spotlight as the new Blue Ocean in which the connected car industry in which the car and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is convergence. All sorts of infortainments services connecting with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Smart phone, tablet PC, and MP3 player) and car are rapidly grown. The Connected car emphasizes the vehicle connectivity with the concept that the car has communication with the around on a real time basis and it provides the safety and expedience to the operator and using the thing of Internet (IoT) in the car and supports the application, presently, the entertainment service including the real-time Navigation, parking assistant function, not only the remote vehicle control and management service but also Email, multimedia streaming service, SNS and with the platform. Intelligent vehicle network is studied as the kind according to MANET(Mobile Ad Hoc Network) for the safety operation of the cars of the road and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driv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