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기 이미지

검색결과 353건 처리시간 0.024초

Cascode형 FETs 구조를 이용한 Ku-Band 자기발진믹서의 설계 (Design of Ku-Band Self-Oscillatring Mixer Using Cascode FETs Structure)

  • 심재우;이영철
    • 한국전자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파학회 2001년도 종합학술발표회 논문집 Vol.11 No.1
    • /
    • pp.227-230
    • /
    • 2001
  • 본 논문은 마이크로파 슈퍼헤테로다인 수신기에서 발생되는 이미지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위한 Cascode형 FETs구조를 이용한 Ku-Band 이미지 제거용 자기발진믹서을 분석하였다. 자기발진믹서는 두개의 FET에 의해서 동작되며 상위 FET는 유전체공진기에 의해서 발진기로 동작하며, 아래쪽 FET는 믹서로 동작시켰다. 모의실험 결과 초기 게이트바이어스 전압은 $V_{ gsl}$=-0.4V와 $V_{g2}$=-0.4V와 $V_{g2}$V선정 하였으며, 10.75GHz의 발진기 출력은 2.249dBm, 위상잡음은 -137.9dBc/1000KHz, 이미지 제거특성은 약 -26dBc 값을 얻었다.얻었다.

  • PDF

현행 예비 화학교사 교육과정이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교사로서의 자기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Current Education Programs for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up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elf-Images as Science Teachers)

  • 강훈식;신석진;차정호;한재영;노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201-212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Draw-A-Science-Teacher-Test Checklist(DASTT-C)를 이용하여 국내의 현행 예비 과학교사 교육과정이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교사로서의 자기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3개 사범대학을 선정한 후, 화학 교육과(과학교육학부 화학 전공) 3학년 72명을 대상으로 교과교육 과목 이수 직전에, 4학년 53명을 대상으로 교육실습 직전과 직후에 DASTT-C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국내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교사로서의 자기 이미지는 ‘학생 중심'보다 ‘교사 중심'인 경향이 강했다. 구성주의 학습 이론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는 교과교육 과목을 이수한 후에도 예비 과학교사들이 ‘학생 중심' 이미지를 지닌 경우가 매우 적었다. 심지어 교육실습 직후에 ‘학생 중심' 이미지를 지닌 일부 예비 과학교사들이 ‘교사 중심' 이미지로 변하기도했다. 과학교사로서의 자기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예비 과학교사들은 사전 교수-학습 경험, 현실적 제약 등을 제시했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했다.

이미지 처리 기법을 이용한 자기치유 콘크리트 수조의 균열 모니터링 현장적용 평가 (Evaluation of Crack Monitoring Field Application of Self-healing Concrete Water Tank Using Image Processing Techniques)

  • 오상혁;문대중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593-599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주요 손상인 균열에 대한 효과적인 점검을 위하여 이미지 처리 기법을 이용한 균열 검출이 가능한 균열 모니터링 자동화 시스템 개발의 일환으로 머신비전을 이용하여 균열 촬영 장비를 제작하고 균열 이미지 촬영 및 분석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은 기존의 육안으로 균열을 점검하는 외관조사를 대체하여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데이터를 제공한다. 개발 시스템의 검증은 자기치유 콘크리트 수조 시공 현장에 적용하여 균열 검출 및 재령에 따른 균열폭의 변화량을 모니터링하였다. 이미지 분석을 통해 검출된 균열폭의 경우 디지털 현미경을 이용한 실측값과 차이가 최대 0.036 mm로 나타났으며, 자기치유 콘크리트의 재령 경과에 따른 균열 치유 효과를 균열폭 감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원형 이온빔 소스의 방전 이미지 분석을 통한 중성입자 밀도의 공간분포 측정

  • 임유봉;김호락;박주영;김종국;이승훈;선종호;이해준;최원호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4년도 제46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245.1-245.1
    • /
    • 2014
  • 교차하는 전기장과 자기장으로 플라즈마를 방전하고, 이온 빔을 효과적으로 가속하는 원형 이온 빔 소스를 개발하였다. 방위각 방향으로 비대칭적인 중성 가스와 전자 빔의 공급으로 이온 빔 소스에서 불안정하고 불균일한 플라즈마가 방전되어, 이온 소스의 효율을 저하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플라즈마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온 소스 내부에서의 중성입자 밀도 분포를 측정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자기장의 방향이 서로 다른 방전조건에서 얻어지는 한 쌍의 플라즈마 이미지로부터 티코노프 정형화 기법을 이용하여 방위각에 대한 중성입자의 밀도 분포를 재구성한다. 본 재구성 기법을 이용하여 얻어진 밀도 분포는 유체흐름 등가회로 모델을 바탕으로 한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중성입자 밀도의 공간분포는 인가 전압, 자기장의 세기 및 유량과 같은 방전조건의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가스 공급부의 내부 구조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등가회로 모델을 이용하여 균일한 공간분포를 얻기 위한 공급부 설계를 수행하였다.

  • PDF

119구급대원의 자기이미지와 자아존중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self image and self-esteem on job satisfaction of 119 Rescue workers)

  • 엄동춘;황성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3786-3793
    • /
    • 2013
  • 이 연구의 목적은 119구급대원의 자기이미지와 자아존중감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D시 소방본부 산하 119구급대원 169명을 대상으로 2012년 11월 19일부터 12월 08일까지 시행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기이미지(직업적 신분적자기, 자기수용, 타인수용)는 연령과 총 근무경력, 직급, 자격증에서 자아존중감은 연령과 직급 및 자격증, 직무만족도는 연령, 총 근무경력, 직급에서 통계적 유의성이 나타났다. 또한, 직무만족도는 자기이미지 3개 하부영역과 자아존중감에서 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p<.05).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회귀모형에 대한 수정된 R2 값이 0.268로 직업적 신분적자기가 직무만족도에 대해 26.8%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119구급대원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을 시키기 위해 직업적 신분적자기이미지를 높여주기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

이미지 처리 기법을 이용한 자기치유 보수 모르타르 시공표면의 균열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Crack Monitoring System for Self-healing Repair Mortar Surface Using Image Processing Technique)

  • 오상혁;문대중;이광명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359-366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자기 치유 콘크리트의 주요 손상인 균열을 측정하고 이를 DB화 하기 위한 이미지 처리 기법 기반의 균열 모니터링 자동화 시스템 개발의 일환으로 균열 촬영 장비를 제작하고 균열 검출 및 분석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은 기존의 육안으로 균열을 점검하는 외관조사를 대체하여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데이터를 제공한다. 개발 시스템의 검증은 가상균열을 이용한 실내시험을 통해 균열 검출 알고리즘을 검증하였으며 자기치유 보수 모르타르 시공 현장에 적용하여 균열 검출 및 균열폭의 변화량을 모니터링하였다. 이미지 분석을 통해 검출된 균열폭의 경우 실측 균열폭과의 차이가 최대 0.0334mm로 나타났으며, 현장적용 결과 0.1mm 이하의 미세 균열 검출까지 가능하였으며 자기치유 보수 모르타르의 시간 경과에 따른 균열치유 효과를 균열폭 감소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자기환원적 사상함수를 이용한 이미지 암호화 (Image Encryption Using Self Restoration Mapping Function)

  • 이근무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1053-1056
    • /
    • 2008
  • 통신에서 이미지의 보안을 유지하는 일이 점점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여러 암호화 기법 통신상의 다양한 보안요구를 충족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 논문에서는 새로운 암호화 전략이 제안되고 구현된다. 이는 통상적으로 카오스라 하는 암화 이미지와 원 이미지 간에 관계가 카오스적인, 패턴이 없는 무질서와 혼합적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원래의 이미지로 돌아 올 수 있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카오스적 형태의 암호화 전략을 제안하고 구현하여 향후 나아간 연구를 자극하고자 한다.

사회적 자기이미지와 가상공간에서의 아바타 이미지 - 이상적 이미지와 실제적 이미지를 중심으로 - (Social Self Image and Avatar Image in the Virtual World: Focus on Ideal-Self Image and Actual-Self Image)

  • 윤송이;;이규혜
    • 복식
    • /
    • 제61권9호
    • /
    • pp.1-14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ne's social-self image and Online Avatar image. Influence of these virtual images on one's attitude toward real world and commitment to the virtual world was examined. In addition, the gender difference was examin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ith social self image as exogenous variable and influence of Avatar as endogenous variable was designed. Real and ideal Avatar images were the mediating variable in the model.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data from 425 respondents were analyzed.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nceptual model was a good fit to the data. Respondents who perceived their social self-images importantly were likely to have real images of Avatars. Ideal image and real image had significant on commitment to virtual world and attitudes toward the real world. For male respondents, social self image had stronger influence on real image of Avatar and ideal image had stronger influence on commitment to virtual world than female respondents.

자기 이미지에 따른 착용의복이미지, 추구의복이미지 및 의복구매행동 (Actual Images and Pursued Images and Purchase Behaviors for Clothing as Determined by Self-Image)

  • 염인경;김미숙
    • 복식문화연구
    • /
    • 제12권1호
    • /
    • pp.90-103
    • /
    • 2004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images pursued and purchase behaviors for clothing as determined by self-imag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from March 3 to March 11, 2003 from 600 femal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in Seoul; 514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Data were analyzed by chi-square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tics, cluster analysis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Self image was defined six factors: social image, gay image, intellectual image, girlish image, iron nerves image, image like a man and was classified three group avail of six factor: commonness type, social brilliance type, immature boldness type.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images of actual clothing worn by self and in the clothing image pursued among the groups determined by the self imag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also found in clothing purchase behaviors such as monthly clothing expenditure, shopping frequency, store types, and the clothing items often used for expressing self-image among the groups divided by self-image.

  • PDF

한국 교육 관광지 이미지가 관광객의 구전의도에 미치는영향: 중국 관광객의 과시적 자기표현과 자아이미지일치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Image of Korean Educational Tourism on Online Word-of-mouth Intention: Focusing on the Moderation Effect of Chinese Tourists' Conspicuous Self-presentation and Self-Image Consistency)

  • 심신우;유승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4호
    • /
    • pp.283-290
    • /
    • 2023
  • 유학생이 계속 늘고 있는 국내 교육 시장에서 소셜 미디어를 활용한 대학 마케팅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는 소비자의 심리적 요인에서 출발하여 한국 교육 관광지의 온라인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탐구했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구전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설명하고 있으며 교육 관광지의 이미지와 중국 관광객의 관광만족감의 중요성을 확인했다. 또한, 소셜 미디어를 사용할 목적으로 여행하는 이용자들은 자아 이미지 일치성과 과시적 자기표현을 더 중요시하는 경향을 발견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 마케팅을 목적으로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고 온라인 구전을 활성화함으로써 중국 관광객이 한국 교육 관광지에 대한 인식을 개선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 유학생 모집에서도 성공적일 수 있음을 밝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