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기부상철도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26초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하중을 고려한 철도교량 동적해석 (Dynamic Analysis for Railway Bridge Considering Urban Maglev Train)

  • 김정훈;차경렬;이웅희;강영종
    • 한국전산구조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대회
    • /
    • pp.481-484
    • /
    • 2011
  • 최근 철도는 미래의 핵심교통수단이자 저탄소 녹색성장을 대표하는 교통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 중 자기부상열차는 바퀴 마찰에 따른 소음 진동 분진이 없는 차세대 교통수단이며, 이를 지지하는 구조물(교량)은 열차의 운행 안정성(동적거동)을 고려한 설계가 필요하다. 또한, 상부 구조물은 자기부상열차의 연행이동등분포하중을 지지하며, 이러한 하중조건을 갖는 차량이 운행할 때 상부 구조물은 설계기준사항들을 만족해야한다. 도시형 자기부상철도 토목구조물 설계기준에 의하면 도시형 자기부상철도의 운행 안정성(동적거동)을 평가하기 위한 항목들로 대상 구조물의 고유진동수, 승차감을 고려한 연직처짐 등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기부상열차의 실 열차하중을 고려하여 연행이동등분포하중으로 철도교량의 동적거동을 검토하였으며, 설계기준을 적용하여 대상 철도 교량의 운행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 PDF

자기부상철도의 현상과 전망

  • 정전영개;권병일
    • 전기의세계
    • /
    • 제37권4호
    • /
    • pp.58-70
    • /
    • 1988
  • 이하에서는 자기부상철도의 기본적인 동작원리와 특징, 개발 및 실용의 현상, 고속 시스템의 실용화의 전망, 종래의 철차륜, 철레일 방식의 철도와 비교했을 경우의 특징등에 대해서 설명한다.

  • PDF

초고속열차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 한영재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5회 하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61.1-61.1
    • /
    • 2013
  • 최근 지구온난화 및 원유 공급 감소 또는 고갈로 에너지 효율성 높고 저탄소 녹색성장을 주도할 수 있는 철도산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초고속 자기부상철도는 에너지 효율이 높은 경제적인 교통수단으로써, 단위 수송당(인-km) 온실가스 배출량이 자동차의 38%, 항공기의 17%에 불과하고, 같은 궤도운송시스템인 고속철도에 비해서도 77%에 불과하고 단위수송당 에너지 소비율이 항공기의 80% 수준에 불과하므로, 화석에너지의 고갈이 예상되는 미래에 장거리 고속 이동 수단으로써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또한, 비접촉 추진 방식이므로 바퀴 접촉식 고속철도에 비해서 유지보수 비용이 저렴하고(34%에 불과) 고속철도에 비해 10dB 이상 소음 발생이 적은 수명주기 비용 및 환경측면에서 기존 철도시스템에 비해서 경쟁력이 있으므로 시급한 개발과 활용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고속 자기부상철도 연구와 관련된 국내외 연구동향과 함께, 국가연구개발사업으로 추진중인 초고속 자기부상철도 핵심기술개발사업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미래기술로 각광을 받고 있는 튜브트레인 기술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 PDF

자기부상열차와 가이드웨이 상호작용을 고려한 가이드웨이 구조물의 진동사용성 처짐 한계 (Deflection Limits based on the Vibration Serviceability of Guideway Structures Considering Maglev Train-Guideway Interaction)

  • 이진호;김성일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111-119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자기부상열차-가이드웨이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자기부상철도 가이드웨이 구조물의 진동사용성을 고려한 처짐한계를 제안한다. 간략화된 자기부상철도 시스템의 운동방정식을 유도하고, 자기부상력 제어를 위한 되먹임 상수가 부상공극의 변동량이 최소가 되도록 최적화한다. 이 시스템에 대하여 자기부상열차의 운행속도, 가이드웨이 경간장, 2차 현가장치의 고유진동수와 감쇠비를 변화시켜 가며, 부상공극의 크기와 차체의 연직가속도에 대한 사용성 기준을 만족하는 가이드웨이의 처짐한계를 조사한다. 해석 결과로부터 자기부상열차의 2차 현가장치에 대한 요구 조건과 가이드웨이 구조물이 만족시켜야 하는 처짐한계를 제안한다.

유도무선에 의한 열차 위치 검지 방식

  • 정의진;김양모
    • 전기의세계
    • /
    • 제42권9호
    • /
    • pp.12-19
    • /
    • 1993
  • 재래식 철바퀴 철도에서는 바퀴가 레일을 단락시킴으로써 열차의 위치를 알아낼 수 있으나 자기부상식 철도나 고무타이어식 철도에서는 이런 단락회로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공간적으로 분리된 유도무선식에 의한 위치검지가 채택되고 있다. 유도무선방식에 의한 열차위치검지는 자기부상식이나 고무타이어식 철토에서만이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열차의 보다 정밀한 위치정보를 얻기 위하여 철바퀴식 철도에서도 사용될 수 있는 범용적인 위치검지방식이다. 따라서 이 방식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 재래식 철도와 자기부상식 철도에서 공통으로 사용될 수 있는 신호시스템으로 개발되기를 바란다.

  • PDF

현장 계측치와의 비교를 통한 자기부상열차-가이드웨이 상호작용 해석기법 검증 (Verification of an Analysis Method for Maglev Train-Guideway Interaction Using Field Measurement Data)

  • 이진호;김이현;김성일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233-244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자기부상열차-가이드웨이 상호작용 해석기법을 현장에서 계측된 자료를 활용하여 검증한다. 자기부상열차의 차체와 대차는 병진운동과 회전운동을 하는 강체 질량으로 모사한다. 대차의 부상전자석에서 발생하는 부상력은 능동 제어 알고리즘에 의해 제어된다. 가이드웨이는 Euler-Bernoulli beam을 사용하여 수치 모형을 구성한다. 대차의 회전 운동으로 인한 부상공극의 변화와 가이드웨이에 작용하는 위치의 변화를 엄밀히 고려하여 자기부상열차-가이드웨이 상호작용계의 동적거동 해석을 수행한다.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노선에서 계측된 실측 자료를 이용하여 해석기법을 검증한다. 해석 결과와 현장 계측 결과의 비교를 통해 해석 기법의 정확성을 검증하고, 대상 구조물이 설계 기준을 만족하도록 안전하게 설계되고 시공되었음을 확인한다.

도시형 자기부상철도 사업을 위한 시스템엔지니어링 관리계획서 작성 (On Creating the Systems Engineering Management Plan for Successful Completion of Urban Maglev Transportation Commercialization Project)

  • 이영훈;최요철;이재천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전기기기 및 에너지변환시스템부문
    • /
    • pp.241-243
    • /
    • 2007
  • 자기부상철도는 철도시스템 특유의 특성을 가진 복합시스템으로, 그동안 장기간 기술개발을 걸쳐 경량전철형의 도시형 자기부상열차가 개발되었다. 현재 2006년부터 국내 상용을 목표고 하는 대규모의 실용화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이와 같은 대규모의 복잡한 시스템에 대한 프로젝트에는 생명주기 개념이 적용된 프로젝트 관리 및 기술서인 시스템엔지니어링을 기반으로 하는 사업추진이 필수적이다. 시스템엔지니어링 관리계획서(SEMP; Systems Engineering Management Plan)는 관련 프로젝트에 대한 시스템엔지니어링 분야의 최상위 계획으로, 프로젝트 추진방안 및 일정, 예산, 기술적 목표 등과 함께 시스템엔지니어링 기능 및 수행작업, 업무범위, 조직구조, 인터페이스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여 기술한 문서를 말한다. 본 논문에서는 도시형 자기부상철도에 대한 실용화사업의 계획 수립을 통하여 SEMP를 작성하면서, SEPM에 대한 문헌조사 및 분석과 함께 SEMP의 작성 방안 및 과정을 보였다. 또한 이를 컴퓨터 기반의 도구를 사용하여 작성되도록 하였다.

  • PDF

도시형 자기부상열차 가이드웨이의 동적거동특성 분석 (Analysis of Dynamic Responses of Urban Maglev Guideway)

  • 홍유나;정원석;여인호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115-121
    • /
    • 2009
  • 자기부상열차는 전자기력으로 차량을 부상, 추진하는 시스템으로써 친환경적이고 주행성능이 우수해 장래의 대중교통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국내에서도 1989년 이후 자기부상열차와 그 시설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2012년 인천에 도시형 자기부상열차가 실용화될 예정이다. 도시형자기부상열차가 실용화되기 위해서는 자기부상 전용 가이드웨이의 성능이 확보되어야한다. 또한 자기부상열차는 나라마다 차량형식이 달라 국내 실정에 맞는 적절한 설계기준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형자기부상 실용화 사업에서 제안된 자기부상 가이드웨이를 대상으로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도시형 자기부상 가이드웨이의 단면성능을 평가하고 충격계수를 산출하였다. 해석수행 결과 동적증폭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향후 자기부상 전용 가이드웨이 충격계수 설계기준 정립에 필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기대된다.

LIM 방식 자기부상철도의 궤도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the Track System for a LIM Type Maglev)

  • 여인호;김동석;장승엽;황성호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2권5호
    • /
    • pp.800-805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선로구축물을 최소화 할 수 있어 도시형 자기부상철도로 적합한 LIM 방식 자기부상철도의 궤도시스템을 개발 제안하였다. 도심지에 건설될 경우 많은 사치적 비용을 초래하므로 공사기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사용하는 상부구조 형식을 채택하였으며 바닥판 시공시 침목이 함께 설치 될 수 있는 트윈블록 침목 궤도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제안한 트윈블록 침목 궤도시스템에 대해 유한요소해석과 실험을 통해 구조적 안전성을 검증하였으며 모의시공시험 및 기계연구원 시험선 시공을 통해 그 시공성을 확인하였다.

초고속자기부상열차의 열차측위기술 개발방향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Scheme of Train Positioning Technology for Ultra Speed Maglev Train)

  • 신경호;이재호;신덕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에너지변화시스템부문
    • /
    • pp.183-185
    • /
    • 2009
  • 자기부상열차는 자기력에 의해 차량이 부상되어 전용선로를 따라 비접촉으로 운행되는 철도운송시스템이다. 자기부상열차에서는 열차가 운영 선로위에 부상되어 비접촉으로 운행되기 때문에 일반 철도시스템에서 적용되고 있는 측위기술의 적용이 어렵다. 따라서 자기부상열차에는 다양한 측위기술들이 개발되어 적용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기부상열차에 적용중인 다양한 측위기술 및 측위장치에 대하여 검토하고, 독자적인 초고속자기부상열차 개발시 필요한 열차위치검지기술의 개발방향을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