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기냉동장치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Magnetic Refrigeration Apparatus at Room Temperature Using Concentric Halbach Cylinder Permanent Magnets (동심 원통형 Halbach 배열 영구자석을 이용한 상온 자기냉동장치)

  • Lee, Changho;Lee, Jong Suk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B
    • /
    • v.41 no.1
    • /
    • pp.47-51
    • /
    • 2017
  • Recently international cooperations are formed to deal with the environmental pollution of the atmosphere generated by the vapor compression refrigeration system. A refrigeration technique, which can replace existing CFC refrigerants that are the main cause of environmental contamination, has received greater attention. Magnetic refrigeration is a refrigeration technique using the magnetocaloric effect of the magnetic material, and is an eco-friendly refrigeration technology using the solid refrigerant instead of CFC refrigerants. Also it is regarded as an efficient refrigeration system to generat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high and low sides using the temperature change of magnetic refrigerants according to the change of magnetic field, instead of using power-consuming and noisy compressor. In this paper, we introduce the magnetic refrigeration apparatus using concentric Halbach cylinder permanent magnets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using the apparatus.

Experimental Study on a Rotary Magnetic Refrigeration Device (회전식 자기냉동장치에 대한 실험적 연구)

  • Lee Jong Suk;Hong Jeong Ho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 /
    • v.16 no.12
    • /
    • pp.1101-1106
    • /
    • 2004
  • Magnetic refrigeration is based on the magnetocaloric effect (MCE)-the ability of some materials to heat up when magnetized and cool down when demagnetized. A rotary magnetic refrigeration device using gadolinium (Gd) ribbon and permanent magnets was constructed for experimental study. Gd ribbon attached around a rotating wheel is cyclically magnetized and demagnetized by permanent magnets and exchanges heat with liquid in the surrounding container. Temperature of the liquid in each divided section of the container was measured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discussed.

Development of Vacuum Cooling for Agriculture Products (농산물 진공예냉장치 개발)

  • Lee, W.O.;Yun, H.S.;Chung, H.;Lee, H.D.;Cho, K.H.;Lee, K.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7a
    • /
    • pp.195-201
    • /
    • 2002
  • 입고ㆍ예냉ㆍ출고까지 전 공정을 자동화하고 진공압력을 작물의 품온에 따라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진공챔버내에 콜드트랩을 설치하여 냉각효율을 향상시킨 진공예냉장치를 개발하여 고랭지 배추와 느타리버섯, 상추를 대상으로 예냉성능을 평가하고 예냉이 이들 작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가. 새로 개발된 진공식 예냉장치는 공급컨베이어, 좌우 자동 슬라이딩 문, 이송컨베이어, 진공챔버, 진공펌프 콜드트랩, 냉동기로 구성되어 있다. 팔레트를 공급컨베이어에 올려놓고 작동을 시작하면, 입구문이 열리고 팔레트가 진공챔버내로 이송되면, 진공펌프에 의해 진공챔버내의 압력을 떨어뜨리고, 콜드트랩과 냉동기가 작동되어 예냉이 시작된다. 예냉이 완료되면 출구문이 열리고 이송컨베이어가 역회전하여 밖으로 배출되도록 되어있다. 나. 제작된 예냉장치의 예냉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느타리버섯, 고랭지 배추, 상추를 대상으로 냉각속도, 냉각균일도, 예냉후 저장중 품질변화시험을 실시하였다. 다. 시험결과 냉각소요시간은 느타리버섯의 경우 초기품온 15.2$^{\circ}C$에서 $1.5^{\circ}C$까지 냉각시키는데 24분, 고랭지배추는 13.5$^{\circ}C$에서 3.7$^{\circ}C$까지 냉각시키는데 18분, 상추는 13.4$^{\circ}C$에서 2.$0^{\circ}C$까지 냉각시키는데 24분 소요되었다. 평균냉각속도는 느타리버섯이 34.3$^{\circ}C$/h, 고랭지배추 32.6$^{\circ}C$/h, 상추 28.5$^{\circ}C$/h로 나타났다. 라. 또한 각층간의 냉각균일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포장상자내에서 표면 품온과 내부품온변화를 조사한 결과 차이가 거의 없어 균일한 냉각이 가능하였다.생기 양단의 온도차는 높게 나타났고, 재생기 양단의 압력 차는 낮게 나타났다. 재생기 축열재로서 철망-철선을 사용할 경우 철선-철망 ø1.2-150이 전열 표면적은 작으나 재생기 양단의 온도차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생기 양단의 압력 차는 가장 낮게 나타나 공시 철망- 철선 혼합 축열재중 가장 우수함을 알 수 있다. 4. 철망사이에 철선을 삽입한 축열재의 경우, 철망사이에 삽입한 철선의 직경이 큰 것이 철선의 직경이 작은 것보다 재생기의 양단의 온도차가 높게 나타났고 재생기 양단의 압력차는 작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철망사이에 철선을 삽입한 것 중 성능이 우수한 것은 150-ø2. 0-150으로 나타났다. 5. 실험한 재생기 축열재들 중에서 성능이 우수한 것들을 비교한 결과, 복합 철선 ø1.2-1 50이 가장 성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적외선.열풍 복합건조방법이 높게 나타나 이것은 곡물 표면에 원적외선 방사에의한 복사열이 전달되어 열장해를 받았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금후 더 연구하여 적정 열풍온도 및 방사체 크기를 구명해야 할 것이다.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옻나무 유래 F는 포유동물의 생식기능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사료된다.된다.정량 분석한 결과이다. 시편의 조성은 33.6 at% U, 66.4 at% O의 결과를 얻었다. 산화물 핵연료의 표면 관찰 및 정량 분석 시험시 시편 표면을 전도성 물질로 증착시키지 않고, Silver Paint 에 시편을 접착하는 방법으로도 만족한 시험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째, 회복기 중에 일어나는 입자들의 유입은 자기폭풍의 지속시간을 연장시키는 경향을 보이며 큰 자기폭풍일수록 현저했다. 주상에서 관측된 이러한 특성은 서브스톰 확장기 활동이 자기폭풍의 발달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시사한다.se that were all low in two aspects, named "the Nonsignificant group". And th

  • PDF

Design, Fabrication and Evaluation of a Conduction Cooled HTS Magnet for SMES (SMES용 전도냉각형 고온초전도 자석의 설계, 제작 및 평가)

  • Bae, Joon-Han;Kim, Hae-Jong;Seong, Ki-Chul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0 no.3
    • /
    • pp.185-190
    • /
    • 2011
  • This paper describes design, fabrication, and evaluation of the conduction cooled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ing (HTS) magnet for superconducting magnetic energy storage (SMES). The HTS magnet is composed of twenty-two of double pancake coils made of 4-ply conductors that stacked two Bi-2223 multi-filamentary tapes with the reinforced brass tape. Each double pancake coil consists of two solenoid coils with an inner diameter of 500 mm, an outer diameter of 691 mm, and a height of 10 mm. The aluminum plates of 3 mm thickness were arranged between double pancake coils for the cooling of the heat due to the power dissipation in the coil. The magnet was cooled down to 5.6 K with two stage Gifford McMahon (GM) cryocoolers. The maximum temperature at the HTS magnet in discharging mode rose as the charging current increased. 1 MJ of magnetic energy was successfully stored in the HTS magnet when the charging current reached 360A without quench. In this paper, thermal and electromagnetic behaviors on the conduction cooled HTS magnet for SMES are presented and these results will be utilized in the optimal design and the stability evaluation for conduction cooled HTS magn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