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궁

Search Result 1,805,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Effect of Steroid Hormones on Expression and Localization of Aquaporin-4, -5 and -8 Genes in Mouse Uterine Endometrium (스테로이드 호르몬이 생쥐 자궁내막에서 Aquaporin-4, -5와 -8 유전자의 발현과 존재부위에 미치는 영향)

  • Kang, Soo-Man;Kang, Han-Seung;Gye, Myung-Chan;Shin, Hyeon-Sang;Lee, Ji-Won;Lee, Sung-Eun;Kim, Moon-Kyoo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1 no.2
    • /
    • pp.119-131
    • /
    • 2004
  • 연구 목적: 난소에서 분비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인 에스트로젠과 프로게스테론은 포유동물의 생식기관 발달과 정상적인 생식 기능, 수정과 배아의 착상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에스트로젠은 자궁내액을 내강으로 분비하여 자궁부종 기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자궁내액은 정자의 수정능력 획득과 착상전 배아의 발달에 매우 중요하다. Aquaporin (AQP)은 막관통 물수송 단백질로서 여러 조직에 넓게 분포되어 있으며, 세포간 또는 상피세포간 물의 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생쥐 자궁에서 스테로이드 호르몬에 의해 조절되는 자궁내액의 이동에 AQP 유전자가 관여하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 재료 및 방법: 난소 절제술을 시행한 생쥐에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피하주사하고 6, 12, 24시간 간격으로 자궁조직을 적출하였다. 대조군은 sesame oil만을 주사한 후 6시간째에 수획한 자궁조직을 사용하였으며, 실험군은 시간대별과 스테로이드 처리별로 채취한 자궁조직에서 역전사중합효소반응을 수행하였다. 역전사중합효소반응을 통해 막관통 단백질인 AQP-4, -5, -8 mRNA의 발현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mRNA의 위치를 살펴보기 위해 laser microdissection을 이용하여 RT-PCR을 수행하였다. 마지막으로 자궁조직내에서의 단백질 발현 부위를 관찰하기 위해 면역조직화학염색을 실시하였다. 결 과: AQP-4, -5, -8 mRNA은 프로게스테론을 처리한 군보다 에스트로젠을 처리한 군에서 많이 발현되었으며, 에스트로젠을 주사한 지 6시간째 발현정도를 대조군과 비교할 때 AQP-4, -5, -8 mRNA가 각각 7.9배, 2.8배, 3.8배로 나타났다. AQP-4, -5, -8 mRNA는 간충조직보다 자궁내 상피조직에서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영향을 받아 발현양상의 차이가 나타났으며, 주로 에스트로젠의 영향을 받아 발현이 증가하였다. AQP-4 단백질은 에스트로젠을 24시간 처리한 후 프로게스테론을 처리한 군의 자궁내 상피조직에서 많이 발현되었으며, AQP-5와 -8 단백질은 에스트로젠을 처리한 군의 자궁내 상피조직에서 발현이 증가하였다. 결 론: 이상의 결과를 통해 AQP-4, -5, -8은 주로 에스트로젠에 의해 자궁내 상피세포에서 발현이 증가되는 것으로 보아 에스트로젠의 영향하에 일어나는 자궁내액의 이동으로 인한 자궁부종기작에 이동통로로서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Delayed Resolution of Cervical Lesion of Ectopic pregnancy Treated by Intra-amnionic Methotrexate (MTX) Instillation: A Case Report (양막강내 Methotrexate(MTX) 투여로 치유된 자궁경관 임신에서 자궁경부 병변의 지연 관해: 증례 보고)

  • Han, Kuk-Sun;Jang, Tae-Kee;Lee, Kang-Hyok;Koh, Min-Whan;Lee, Tae-Hyung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v.16 no.1
    • /
    • pp.131-136
    • /
    • 1999
  • 자궁경관 임신은 최근에 인공유산의 증가와 인공 보조 생식술(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등에 의하여 증가되는 양상을 보인다. 과거에는 자궁경관 임신은 대량의 무통성 질출혈로 진단을 내리고 치료 방법은 천자궁적출술이 유일한 수단이었으나, 지금은 질식 초음파의 개발로 자궁경관 임신을 조기에 진단하고 자궁 보존적 방법으로 치료하여 차후 임신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그 치료 방법 중 하나로 Methotrexate(MTX)를 주사하여 성공적으로 치유된 많은 보고들이 있었다. 본 저자들은 임신 8주에 자궁경관 임신으로 진단된 환자에서 전신적 MTX 투여와 복식 초음파 관찰 하에 양막강내 MTX 투여 병합 요법으로 치료한 1례를 보고하고 치료과정에서 자궁경부 병변의 지연 관해에 대해서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Hysteroscopic Septotomy of a Complete Septate Uterus Using a Balloon with Methylene Blue (완전 중격 자궁에서 메틸렌 블루가 들어 있는 풍선을 이용한 자궁경하 중격 제거술)

  • Jang, Ji-Hyon;Cho, Jung-Hyun;Cha, Dong-Hyun;Han, Won-Bo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7 no.4
    • /
    • pp.369-375
    • /
    • 2010
  • A complete septate uterus with cervical duplication and a longitudinal vaginal septum is a rare uterine malformation. The dissection of the septum can be difficult because it is difficult for hysteroscopists to find out initial point, direction and final point of a complete septum. This study aimed the introduction of more efficient surgical procedure using a balloon with methylene blue. We have experienced three cases with a complete septate uterus. We performed hysteroscopic dissection of a complete uterine septum using a balloon with methylene blue and obtained good reproductive outcomes. So we report three cases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s.

생쥐의 자궁내막에서 발정주기에 따른 aquaporin 4, 5, 8의 발현양상과 존재부위

  • 이지원;계명찬;강수만;이성은;강한승;김문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evelopmental Biology Conference
    • /
    • 2003.10a
    • /
    • pp.61-61
    • /
    • 2003
  • Aquaporins (AQPs)는 다양한 상피세포와 내피세포에 존재하며 다량의 물 수송을 촉진하는 막성단백질로 현재 11개의 AQP가 (AQP0-10) 발견되었으나, 아직 생리적, 기능적 분석은 불충분한 상태이다. 생쥐의 자궁내막은 발정주기 동안 호르몬의 자극에 따라 부풀어오르거나 수축하는 변화를 보이며 에스트로젠과 몇몇 혈관에 작용하는 매개체에 의해 자궁 혈관의 투수성이 증가한다는 보고는 있으나, 자궁액의 수송 메커니즘에 대해서는 뚜렷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발정기의 생쥐 자궁은 자궁내막세포의 증식과 함께 수화되는 특징을 보이며 자궁내강으로 물이 수송되어 luminal fluid의 점성이 낮아지는 현상이 나타나는데, 이 때 AQP가 water channel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보고 본 실험에서는 면역조직화학법(immunohistochemistry)과 역전사중합효소연쇄반응(Reverse-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통해 발정기 자궁의 수화와 AQP 발현의 상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면역조직화학법의 결과 발정주기의 다른 시기에 비해 발정기(estrus phase)에 자궁상피세포에 AQP4, 5, 8 protein이 다량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고, 근육층(myometrium)에서의 발현은 발정주기 동안 차이가 없었다. Whole uterus로 RT-PCR을 수행한 결과 AQP4, 5, 8 mRNA는 luteal phase에 비해 follicular phase에 더 많이 발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LCM(Laser Capture Microdissection) system을 이용하여 luminal epithelium과 stromal cell을 분리하여 RT-PCR을 수행한 결과 AQP4, 5, 8 mRNA는 stromal cell 보다는 luminal epithelium에 더 많이 발현하며, 이 역시 follicular phase에 발현량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생쥐 자궁에서 AQP4, 5, 8은 발정주기 내막에 발현이 증가하며 이는 자궁내강 안으로 수분을 수송하는데 주요한 기작으로 사료되며 estrogen에 의한 조절 가능성을 암시한다.

  • PDF

Pyometra and Serosal Inclusion Cysts of the Uterus in a Bitch (개에서 발생한 자궁축농증과 장막성 낭포 1예)

  • Lee, Jun-Am;Kim, Ill-Hwa;Jang, Dong-Woo;Mo, In-Pil;Kang, Hyun-Gu
    •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
    • v.30 no.4
    • /
    • pp.305-309
    • /
    • 2013
  • Pyometra is a diestrual, chronic disease process with acute manifestations in the adult, ovary-intact bitch. Serosal inclusion cysts develop during postpartum involution as mesothelium becomes trapped during rapid uterine contraction. A 10-year-old golden retriever bitch presented with lethargy, anorexia, tachypnea, abdominal distention, and abnormal vaginal discharge. Radiographic, ultrasound, and laboratory examinations were performed. On ultrasound examination, the uterus was distended by fluid containing echogenic "snow storm" particles; cystic structures containing anechoic fluid were found adjacent to the body of the uterus. Leukocytosis, neutrophilia, and anemia were diagnosed by a complete blood cell count. The initial diagnosis was pyometra, and an ovariohysterectomy was performed. Macroscopically, the uterine body and horns were expanded and partially adhered to the abdominal wall; numerous cysts containing clear fluid protruded over the entire surface of the uterus. Escherichia coli that was sensitive to enrofloxacin, was cultured from the lumen of the uterus. Histopathological assessment confirmed a final diagnosis of pyometra and serosal inclusion cysts of the uterus.

Useful Biomarkers for the Diagnosis of Endometriosis (자궁내막증 진단을 위한 생표지자의 유용성)

  • Kim, Sun-Young;Lee, Byung-Seok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v.37 no.1
    • /
    • pp.1-12
    • /
    • 2010
  • 진단적 복강경을 하지 않으면 자궁내막증의 진단이 불가능하다는 점은 의사들이 해결해야 할 과제 중 하나이다. 아직까지는 자궁내막증을 진단할 수 있는 획기적인 표지자가 없기 때문에 CA-125 같은 종양 표지자의 혈중 농도를 측정하였으나 진단 도구로 이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초기 자궁내막증을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기 위한 여러 시도들이 있었는데 특히 자궁내막증 1, 2기 환자에서 병의 초기 상태에 복강경적 치료를 하였을 경우 자연 임신 성공률이 2배 가까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기 때문에 불임 여성에 있어 자궁내막증의 진단 시기는 임상적으로도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고 할 수 있겠다. CA-125는 자궁내막증 환자의 추적관찰에 있어 특이도가 높은 편이며 효용성이 있는데 특히 수술적 치료 후 장기적으로 병의 활성 혹은 재발을 평가하는데 있어 유용하다. 무작위적인 임상 연구 결과 자궁내막증과 관련된 불임이나 통증은 수술적 치료시 분명한 이득이 있는 것으로 보고된 바84 자궁내막증은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중요한 질환이라는 점을 다시 한번 상기해야 한다. 또한 병의 진행에 따른 여러 면역학적인 변화들이 확인되면서 자궁내막증의 진단에 있어 면역학적 표지자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복막액이나 혈청 내 사이토카인은 진단 도구로서 그 가능성에 주목을 받고 있으며 이에 대한 대규모 연구가 추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최근의 면역학적 발견과 DNA 기술 발전은 자궁내막증의 진단에 있어 핵심적인 screening 도구의 발견에 일조할 것이며 이러한 기술적 발전을 근간으로 하여 머지 않아 획기적인 표지자가 개발될 것으로 기대한다.

Torsion of a Myomatous Uterus in a Non-Gravid Female: A Case Report (비임신 여성에서의 자궁근종에 의한 자궁염전: 증례 보고)

  • Yuri Kim;Young Mi Ku;Yoo Dong W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84 no.2
    • /
    • pp.467-471
    • /
    • 2023
  • The torsion of the uterus is a rare gynecological emergency. It occurs mainly in the gravid uterus and extremely rarely in the non-gravid uterus. In this article, we report a case of a torsion of non-gravid uterus accompanied by a huge intramural leiomyoma with focus on CT and MR imaging findings.

Health Zone_지금은 여성건강시대 - 증상 없는 자궁근종 미리 예방하기

  • Lee, Jeong-Ju
    • 건강소식
    • /
    • v.36 no.5
    • /
    • pp.24-25
    • /
    • 2012
  • 자궁근종은 우리나라 여성의 약 40%에서 발견되는 질환 중 하나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 자료에 따르면 과거 5년 사이 자궁근종 환자가 20% 이상 크게 늘어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궁근종 진료인원은 2005년 19만 5,000명에서 2009년 23만 7,000명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2009년 실 진료비는 999억 원에 달했다. 이 중 20~30대 가임기 여성들의 환자 수가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이며, 30~40대 환자의 비율은 70%에 달해 여성들의 자궁근종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이지고 있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Incidence of Endometritis and Metabolic Status during Peri- and Postpartum Periods in Dairy Cows (젖소의 자궁내막염 발생과 분만 전·후 대사 상태와의 상관관계)

  • Jeong, Jae-Kwan;Choi, In-Soo;Kang, Hyun-Gu;Jung, Young-Hun;Hur, Tai-Young;Kim, Ill-Hwa
    • Journal of Veterinary Clinics
    • /
    • v.32 no.5
    • /
    • pp.426-432
    • /
    • 2015
  • This study compared blood metabolites during peri- and postpartum periods among cows with clinical or subclinical endometritis and cows without endometritis. Blood samples from 207 Holstein dairy cows were collected at 4 weeks prepartum, just after calving, and at 1, 2, 4, and 6 weeks postpartum to measure serum concentrations of calcium, magnesium, non-esterified fatty acids (NEFAs), total cholesterol, albumin, urea nitrogen, ${\beta}$-hydroxybutyrate (BHBA),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gamma}$-glutamyltransferase, glucose, and phosphorus. Clinical endometritis was diagnosed by the observation of vaginal discharge (> 50% pus) and subclinical endometritis was diagnosed by the evaluation of uterine cytology (> 18% neutrophils) at 4 weeks postpartum. Cow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clinical or subclinical endometritis: the control group (n = 104), the clinical endometritis group (n = 66), and the subclinical endometritis group (n = 37). Calcium and magnesium concentrations were lower in the clinical endometritis group than in the control and subclinical endometritis groups throughout the study period (p < 0.05 to 0.0001), whereas the NEFAs concentration was higher in the clinical endometritis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throughout the study period (p < 0.01). The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was lower in the clinical endometritis group than in the control and subclinical endometritis groups throughout the pre- and postpartum periods (p < 0.05 to 0.001). The albumin concentration was lower in the clinical endometritis group than in the control and subclinical endometritis groups during the postpartum period (p < 0.05 to 0.001). The urea nitrogen concentration was lower in the clinical endometritis group than in the control and subclinical endometritis groups at 4 and 6 weeks postpartum (p < 0.01). At 1 week postpartum, the BHBA concentration was higher in the clinical endometritis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p < 0.05), whereas the AST concentration was higher in the clinical endometritis and subclinical endometritis groups than in the control group (p < 0.05). In conclusion, lower serum concentrations of calcium, magnesium, total cholesterol, albumin, and urea nitrogen, but higher concentrations of NEFAs, BHBA, and AST during the postpartum period were associated with the incidence of clinical endometritis, indicating the importance of balanced nutrition during the transition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