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가 발전

Search Result 4,808, Processing Time 0.057 seconds

Design and Fabrication of Piezoelectric MEMS Power Generator (압전 MEMS 발전기 설계 및 제작)

  • Nam, Woon-Woo;Park, Jong-Cheol;Park, Jae-Yeong;Jang, Young-Soo;Lee, Yoon-Py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1456-1457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박막 PZT(Pb(Zr,Ti)O3)를 이용한 d33모드의 자가 발전 소자를 설계 및 제작 하였다. 자가 발전 소자는 진동 에너지를 압전 현상을 통해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소자로서, 제안한 구조는 단일 외팔보가 아닌 20개 이상의 외팔보를 원형으로 집적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기존의 단일 외팔보 위주의 자가발전 소자보다 출력 전력이 우수하다. 자가 발전 소자의 성능 최적화를 위해 유한요소기법(FEM)을 통해 기계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마이크로 머시닝 기법을 이용하여 초박형의 자가 발전 소자를 제작할 수 있었다. 제작된 자가발전 소자는 $1.2mm\times1.2mm\times0.5mm$ (높이)의 크기를 갖는다.

  • PDF

Power Control of a Doubly Fed Induction Machine for Wind Energy Generation without Rotational Transducers (풍력발전을 위한 회전변환기가 없는 이중여자 유도기의 전력제어)

  • 김일환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Power Electronics
    • /
    • v.5 no.1
    • /
    • pp.72-78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이중여자 유도기를 풍력발전에 적용할 때 회전자위치 센서를 사용하지 않고 발전 출력제어 방법을 제안하였다. 모델기를 풍력발전에 적용하여 운전할 때 고정자는 계통선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고정자 자속은 일정 값을 가지며 고정자 자속의 동기 각\ulcorner고는 일정한 상수값을 가진다. 또한 회전자 전류 및 고정자 전압과 전류를 이용하여 슬립각을 추정함으로써 속도를 추정할 수 있고 뿐만 아니라 회전자 전류제어에 의해 고정자측의 발전전력을 제어할 수가 있다. 이른 토대로 속도제어 및 발전출력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므로써 제안한 알로리즘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Self-Adaptive Smart Grid with Photovoltaics using AiTES (AiTES를 사용한 태양광 발전이 포함된 자가 적응적 스마트 그리드)

  • Park, Sung-sik;Park, Young-beom
    •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 /
    • v.6 no.3
    • /
    • pp.38-46
    • /
    • 2018
  • Smart Grid is an intelligent power grid for efficiently producing and consuming electricity through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power producers and consumers. As renewable energy develops, the share of renewable energy in the smart grid is increasing. Renewable energy has a problem that it differs from existing power generation methods that can predict and control power generation because the power generation changes in real time. Applying a self-adaptative framework to the Smart Grid will enable efficient operation of the Smart Grid by adapting to the amount of renewable energy power generated in real time. In this paper, we assume that smart villages equipped with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re installed, and apply the self-adaptative framework, AiTES, to show that smart grid can be efficiently operated through self adaptation framework.

에너지(2) - 서울시, 엘리베이터에서 전기를 뽑아쓰는 자가발전시설 설치

  • 대한설비건설협회
    • 월간 기계설비
    • /
    • s.243
    • /
    • pp.55-57
    • /
    • 2010
  • 서울시청 엘리베이터에 자가발전소가 갖춰졌다. 생산된 전기는 시청 조명을 밝히는데 사용된다. 서울시는 고유가와 지구온난화에 대비하고 화석연료 사용 줄이기에 실천적으로 나서기 위해 행정기관 최초로 엘리베이터 운행 중 발생하는 전기를 회수하는 자가발전설비를 설치했다. 엘리베이터 자가발전원리는 엘리베이터가 상승하거나, 하강할 때 권상기 모터의 회전력이 발전기로 작동하면서 실시간으로 전기를 생산하여 건물의 조명, 동력으로 되돌려주는 시스템이다.

  • PDF

Correlation Analysis of the Change Tendency between Climate Characteristics and Small Power Generating System (기후 요소와 소형 자가발전시스템 발전량의 상관관계 분석)

  • Jeong, Sang-Gu;Cho, Myeong-Heum;Pyo, Kyung-Su;Park,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69-70
    • /
    • 2017
  • 국내외에서 CCTV, IoT(Internet of Things)를 활용한 재난 재해 감지 기술이 활발히 연구되고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재난 감지 시스템은 전기와 같은 기반 시설이 구축되어야 활용이 가능하기에 지역적으로 시스템 구축에 어려움이 있는 재난 취약 지역(Disaster Vulnerability area)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소형 자가발전시스템을 구축하여 CCTV를 활용한 실시간 재난 감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며, 이에 일환으로 울산시 기상관측 자료와 소형 자가발전시스템 발전량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기후 요소가 발전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추가적인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 PDF

Possible controlled Exercise intensity DC/DC converter for grid-interconnected Exercise equipment of private power generation (운동강도 조절이 가능한 계통연계 자가발전 운동기구용 DC/DC 컨버터)

  • Lee, Jeongjun;Kang, Kyung-Soo;Kim, Dasom;Kim, Semin;Roh, Chung-Woo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6.07a
    • /
    • pp.287-288
    • /
    • 2016
  • 기존 자가발전 운동기구의 경우, 가변저항을 사용하여 운동강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Generator에서 생성된 에너지가 모두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계통연계형 자가발전 운동기구의 경우에는 에너지 회수는 가능하지만 운동 강도 조절이 불가능한 단점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계통연계를 통해 에너지 회수가 가능하고, 운동 강도 조절이 가능한 자가발전 운동기구용 DC/DC 컨버터를 제안한다. 제안회로는 가변저항을 사용하지 않고 입력임피던스를 통해 운동 강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높은 에너지를 생성할 수 있고 계통연계를 통해 에너지 회수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회로의 이론적 특성을 분석하고 모의실험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계통연계형 자가발전 운동기구에 적용하여 실험을 통해 우수성을 검증하였다.

  • PDF

Design and manufacture of a self-powered quadcopter (자가발전형 쿼드콥터 설계 및 제작)

  • Lee, Yun Seong;Kim, Yoon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4 no.5
    • /
    • pp.431-438
    • /
    • 2016
  • In this paper, a self-powered quadcopter is designed and manufactured. The quadcopter gains extra power via two types of generators which utilize the principle of electromagnetic induction. One of the types is to make use of a commercial BLDC motor which rotates together with a propeller and thus acts as a generator. The other type is to make use of a coil-wound ring around a propeller which generates electricity when small magnets embedded in a uniquely designed frame rotate together with the propeller. The proposed generators are expected to be of practical use when they are located under the propellers of a quadcopter.

Analysis of the DFIG Reactive Power Using the Rotor Exciting Control (회전자 여자제어를 이용한 풍력발전 DFIG의 무효전력 해석)

  • 이우석;오철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9.05a
    • /
    • pp.133-138
    • /
    • 1999
  • 바람의 변화가 심한 풍력발전에 응용하기 위한 발전기는 동기속도 이상과 이하에서 발전이 가능하여야 한다. DFIG(Doubly Fed Induction Generator) 시스템의 경우 회전자 여자제어를 통한여 운전점을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운전영역의 확장이 가능하고 동기속도의 이상과 이하의 범위에서 발전이 가능하다.(중략)

  • PDF

섬유강화복합재료 및 전기활성고분자가 적용된 경랑화·내부식성·자가발전 스마트 LED항로표지등 개발

  • Bae, Ji-Hun;Song, Sang-Bin;Lee, Yu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130-132
    • /
    • 2018
  • 등부표는 항로를 가리키는 표지의 한 가지로써 암초나 얕은 곳 따위를 알리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LED 등부표의 경량화, 내부식성, 높은 기계적 물성확보를 위해 탄소섬유/에폭시 복합재료를 적용하였다. 더불어, 자가발전이 가능한 스마트 LED 등부표 개발을 위해 전기활성고분자 필름을 적용하여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and Design of Meta-Learning for Intelligent Tutoring System (지능형 튜터링 시스템을 위한 메타러닝 설계 연구)

  • Hong, Seo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429-431
    • /
    • 2010
  • 인터넷과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최근 이러닝 시스템을 포함한 다양한 학습 시스템이 연구 발전되고 있다. 학습자의 관점에서는 학습의 형태 혹은 학습자의 학습 패턴등을 분석하여 지능적인 학습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교수자의 관점에서는 교수학습 모델 연구와 학습 컨텐츠 계발 방법론 연구 등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 튜터링 시스템을 위한 메타러닝 설계 연구를 제안하였다. 메타러닝은 학습자 자신이 어떤 특성을 가지고 어떻게 학습하는지에 대해 학습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한다. 동일한 학습내용을 같은 순서 혹은 같은 방법으로 학습하는 것은 서로 다른 학습자에게 동일한 학습 결과를 나타낼 수 없기 때문에 개인 맞춤형 학습 서비스 형태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메타러닝 설계를 기반으로 지능형 튜터링 시스템을 개발 할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향후 본 논문에 설계를 기반으로 지능형 튜터링 플랫폼을 표준으로 개발하여 국제적 표준의 ITS(Intelligent Tutoring System)로 발전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