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가투여

Search Result 61,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외국인투자가들의 한국 주식투자 상관성에 관한 실증분석

  • Kim, Jong-Gwon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0.11a
    • /
    • pp.209-231
    • /
    • 2010
  • 외국인투자가들의 분산투자(diversification) 요인은 한 가지로서 요약할 수는 없다. 이들 중에 상당수의 투자가들의 투자목적은 투기적요인(speculation)에 근거하거나 자국 내의 저조한 포트폴리오 투자 성과를 만회하기 위해 한국을 비롯한 다른 국가들에 눈을 돌리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한국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를 보면, 외국인투자가들이 포트폴리오 수익극대화를 위한 투자에 보다 치중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외국인투자가들이 한국에 대한 주식을 거래할 때 다른 거시지표에 비하여 경기변동(business cycle0 지표를 가장 중요시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 PDF

Effect of Glucose Control, SDSCA and Quality of Life of D-chiro-inositol(DCI)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A Path Analysis (제2형 당뇨병 환자의 D-chiro-inositol의 혈당강하 효과와 당뇨 자가관리 및 삶의 질: 경로분석)

  • Kang, Young Mi;Kim, Hyun Jin;Lee, Tae-Yong;Ku, Bon-Je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10
    • /
    • pp.243-253
    • /
    • 2018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CI on glucose control, quality of life(SF-36 Version 2.0, Korean) and SDSCA(Summary of Diabetes Self-Care Activities) i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study was performed on 46 patients with HbA1c 7.0% taking triple anti-diabetic drug regimen who visited the department of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March 2015 and May 2016. As a result, DCI treatment in the intervention group resulted in significantly reduced HbA1c levels $8.75{\pm}0.79%$(baseline), $8.36{\pm}1.03%$(after 12weeks), and $8.65{\pm}0.81%$(after 24weeks). However, patients in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change. Interestingly, both DCI treat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ignificantly showed improvements in SDSCA. Participants in the intervention group showed a small yet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ir only fasting blood glucose test in SDSCA and reveal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 quantitative levels of quality of life, from $73.05{\pm}16.85$ to $82.74{\pm}10.68$. By using pathway analysis, improvement of SDSCA scores(${\beta}=-0.505$, t=-2.743)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o the fasting blood glucose.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was affected by changes of SDSCA scores(${\beta}=0.411$, t=2.024) and fasting c-peptide(${\beta}=-0.445$, t=-2.668) in DCI treatment group. In conclusion, treatment of DCI effectively improved glucose control in patients with type 2 DM(HbA1c level>7.0%) after 12 weeks of treatment, although it had no impact on glucose control after 24 weeks of treatment. Improved glucose control may encourage diabetic patients to conduct self-care activitie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present study, we suggest that diabetes self-management, as well as consideration of comprehensive laboratory findings, may be important factor in regulating the quality of life in type 2 DM patients.

Propofol Patient-Controlled Sedation Using WalkMed (Medex Inc, USA) Infusion Pump in Dental Patients (치과 환자에서의 WalkMed사(Medex Inc, USA)의 자가통증조절기를 이용한 Prorofol 자가진정조절법)

  • Kim, Hyun-Jeong;Park, Chang-Joo;Yum, Kwang-Won
    •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Society of Anesthesiology
    • /
    • v.1 no.1 s.1
    • /
    • pp.16-20
    • /
    • 2001
  • 연구배경: 일반적으로 자가통증조절기가 자가진정조절을 위해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장치들은 몇몇 진정제 투여 시 너무 긴 최소 폐쇄간격을 가지고 있다 WalkMed사(Medex inc, USA)의 자가통증조절기는 폐쇄간격을 0으로 설정할 수 있으며 30 ml/h로 추가용량을 투여할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환자 개개인의 요구에 맞추어 환자의 진정을 조절하기 위하여 위장치를 이용한 propofol 자가진정조절기의 가능성를 조사하였다. 방법: Propofol과 전산 프로그램된 WalkMed 주입장치를 이용한 자가진정조절법이 치과치료를 받는 24명의 건강한 환자에게 시행되었다. Propofol 지속 주입량은 2 mg/kg/h로, 추가용량은 5 mg으로 조절되었으며 치소 폐쇄간격은 0으로 설정하였다. Ketoloac 30 mg이 통증 조절을 위하여 진정법 시행 전에 근주되었다. 결과: 진정법 시행 동안 주입된 propofol의 평균량은 3.4 mg/kg/h이었으며 평균 추가용량은 1.6 mg/kg/h이었다. 시간 당 추가용량에는 많은 변이가 있었다(0-32). 모든 환자는 진정법 시행 동안 완전한 각성상태였으며 이러한 진정 법에 만족하였다. 진정 법과 관련된 주요한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WalkMed사의 자가통증조절기를 이용한 propofol 자가진정조절법이 치과 치료를 받는 환자들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PDF

The Changes in Serum TSH-Binding Inhibiting Immunoglobulin (TBII) Activity and Thyroglobulin Level after Treatment with Radioactive Iodine ($^{131}I$) in Graves' Hyperthyroidism (그레이브스 갑상선기능항진중 환자에서 방사성 옥소($^{131}I$) 투여 후 혈청 갑상선자극 면역글로불린 (Thyrotropin-Binding Inhibiting Immunoglobulin, TBII)활성도 및 Thyroglobulin의 변화)

  • Son, Tae-Yong;Lim, Sang-Moo;Hong, Sung-Woon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 /
    • v.28 no.2
    • /
    • pp.200-205
    • /
    • 1994
  • 그레이브스 갑상선기능항진증은 자가면역질환의 하나로 방사성 옥소가 간편하고 경제적이며 효과적인 치료법임이 알려져 있는데 방사성 옥소 투여 후 갑상선 조직의 자극 및 파괴에 따라 각종 항원의 노출의 증가와 이에 대한 자가항체의 변동이 예상된다. 저자들은 추정 갑상선 무게를 고려한 6-10 mCi의 방사성 옥소를 투여 받은 그레이브스 갑상선기능항진증 환자 90명을 2년간 추적하여 치료 전 후의 혈청 갑상선자극 면역글로불린(TBIIl)활성도와 thyroglobulin 및 antithyroglobulin antibody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1) 대상환자 90명의 연령분포는 14-58세(중앙치 30)였으며 여자가 72명(80%)이었다. 2) 평가대상 환자 중 치료 전 TBIIl 활성도가 정상범위였던 경우는 15명(30%)이었고 증가된 경우는 35명(70%)이었다. 치료 전보다 치료 3개월 후에 TBII 활성도가 더 증가된 경우는 31명(62% )이었다. 3) TBII 활성도가 치료 전에 증가하였거나, 치료 전에 정상범위였다가 치료 3개월 후에 증가한 환자의 TBII 활성도의 동태는 치료 3개월 후에 가장 높았고 그 후 점차 감소하였다. 이들의 TBIIl 활성도가 15%이내로 정상화된 정도는 치료 후 6개월에 40%, 12개월에 82%였다. 4) 치료 전 antithyroglobulin antibody가 양성인 경우 80%에서 3개월 후에도 혈청 thyroglobulin의 동태는 치료 3개월 후에 높았다가 증가가 없었으며 치료 전 antithyroglobulin antibody가 음성인 경우 60%에서 치료 3개월 후에 혈청 thyroglobulin의 증가가 있었다. 5) antithyroglobulin antibody가 음성인 경우의 혈청 thyroglobulin의 동태는 치료 3개월 후에 높았다가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antithyroglobulin antibody가 양성인 경우의 혈청 thyroglobulin의 동태는 치료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6) 치료 전 antithyroglobulin antibody가 음성인 경우 치료 후 시간 경과에 따라 동시에 측정한 혈청 TBII 활성도와 thyroglobulin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01). 한편 치료 전 antithyroglobulin antibody가 양성인 경우 치료 후 시간 경과에 따라 동시에 측정한 혈청 TBII 활성도와 thyroglobulin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p= 0.16). 이상의 결과로 방사성 옥소를 투여 받은 그레이브스 갑상선기능항진증 환자에서 혈청 TBII 활성도는 항갑상선제를 투여 받은 경우와는 달리 초기에 증가하였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감소함을 알 수 있었으며 그 감소 정도는 항갑상선제만을 쓴 경우보다 더 빠를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혈청 TBII 활성도와 thyroglobulin은 방사성 옥소 치료효과의 관찰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되며 특히 antithyroglobulin antibody가 음성인 경우 혈청 thyroglobulin은 혈청 TBII 활성도를 반영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Contribution of Nociceptin to Alterations in Cerebral Blood Flow Regulation Following Postnatal Exposure to Ethanol in Rats (출생 초기 에탄올 투여 흰쥐의 뇌혈류 조절 변동에 대한 Nociceptin의 관여)

  • Cho, Dong Hwan;Lee, Won Suk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3 no.2
    • /
    • pp.157-166
    • /
    • 2013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nociceptin contributes to the alterations in cerebral blood flow (CBF) regulation following postnatal exposure to ethanol in Sprague-Dawley rats. Animals received ethanol twice a day, 2 hr apart, on postnatal 6, 7 and 8 days. The changes in regional CBF (rCBF) in response to the changes in mean arterial blood pressure were determined at 4-, 8-, and 12-week of age by laser-Doppler flowmetry. Hypotension was induced by the gradual withdrawal of blood from arterial catheter, and the reversal of blood pressure was produced by the reinfusion of blood. Expression of nociceptin-like immunoreactivity was determined in dura mater and cerebral cortex using immunohistochemistry. Postnatal exposure to ethanol almost abolished the autoregulation of rCBF in all age groups. Pretreatment with nociceptin but not with [$Nphe^1$]nociceptin(1-13)$NH_2$, a selective competitive nociceptin receptor antagonist, 5 min prior to ethanol administration preserved the autoregulation of rCBF in all age groups. Postnatal exposure to ethanol markedly increased the expressions of nociceptin-like immunoreactivity in the dura mater and cerebral cortex, both of which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by pretreatment with 7-nitroindazole monosodium salt as well as aminoguanidine 5 min prior to ethanol administration in all age groups. The values of arterial blood gas analysi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basal levels in all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nociceptin deeply contributes to the compensatory mechanisms for the nitric oxide-dependent alterations in CBF autoregulation following postnatal exposure to ethanol.

The Effect of Abnormal Investment on Analyst Earnings Forecast (비정상투자가 재무분석가의 이익예측에 미치는 영향)

  • Jeon, Jin-Ho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2
    • /
    • pp.207-215
    • /
    • 2018
  • In this study, targeting KOSPI and KOSDAQ listed compan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normal investment of companies and analyst earnings forecasts was empirically analyzed. The analysis period of this study spanned from 2003 to 2015 (with that of dependent variables spanning from 2004 to 2016) based on the variables of interest, and among the companies whose earnings per share forecasts were announced by financial analysts, the final sample of 4,917 companies/year that meets the research condition was selected as the target analysis.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the more total abnormal investment, abnormal R&D and abnormal CAPEX investment, the more accurate were analyst earnings forecasts. Second, the more total abnormal investment, abnormal R&D, abnormal CAPEX investment, the more pessimistic analyst earnings forecasts tended to be. Further analysis has shown that these results came more from over investment groups than under investment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make additional contributions to the existing studies in that the abnormal investment is considered as a determinant of analyst earnings forecasts.

Duration Pattern of the Effect of Acupuncture at $HT_7$ in Morphine Self-administration (모르핀 자가투여에서 신문혈 자침효과의 지속 양상)

  • Lee, Bong-Hyo;Park, Seo-Young;Lee, Ji-Hye;Lim, Sung-Chul;Kim, Jae-Su;Lee, Yun-Kyu;Jung, Tae-Young;Yang, Chae-Ha;Yoon, Seong-Shoon;Lee, Kyung-Min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v.27 no.4
    • /
    • pp.55-65
    • /
    • 2010
  • 목적 : 기존 연구에서 신문혈 자침은 알코올 및 코카인을 자가섭취하는 동물 모델에서 효과적이라는 점이 밝혀졌으며, 또한 모르핀 자가섭취를 억제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자침의 효과가 얼마나 지속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재료 및 방법 : 체중 270~300g의 수컷 SD계 흰쥐를 이용하였다. 먹이섭취 훈련을 통과한 후 오른쪽 경정맥에 관을 삽입하는 수술을 거쳐, 0.1mg/kg의 모르핀을 매일 1시간, 총 3주 동안 자가섭취 하도록 하였다. 모르핀을 일정하게 섭취한 동물에게는 다음날 침술을 시행하였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GABAA 및 GABAB 길항제를 자침 30분 전에 투여하여 침술의 효능과 GABA 수용체계 사이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결과 : 모르핀 자가섭취를 억제하는 신문혈 자침의 효과는 매일 비슷하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4일째에는 유의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5일째와 6일째에는 다시 유의한 효과가 나타나 뒤집어진 U 자형 곡선을 나타내었다. 또한 GABA 수용체의 길항제들은 자침의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을 때 이를 차단하는 결과를 보였다. 결론 : 모르핀 중독 치료에서 침술의 효과는 항상 비슷하게 발휘되는 것이 아니므로 침 치료는 적어도 1주일에 2회 이상 받을 필요가 있다. 아울러 보다 심도 있는 연구를 위하여 뇌신경 체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Imaging of Tumor Cell Proliferation using Radiofluorinated Ethyluracil and Deoxyadenosine (Radiofluorinated Ethyluracil과 Deoxyadenosine을 이용한 종양세포 증식의 영상화에 대한 연구)

  • Kim, Chang-Guhn;Yang, David J.;Kim, E. Edmund
    • The Korean Journal of Nuclear Medicine
    • /
    • v.30 no.4
    • /
    • pp.532-540
    • /
    • 1996
  • 목적 : 종양세포의 증식을 평가하기 위해 radiofluorinated ethyluracil (FEU)과 deoxyadenosine analogue(FAD)를 합성하여 종양의 영상화를 시도하였다. 대상 및 방법 : 5-(2-Fluoroethyl)uracil ([$^{18}F$]FEU)은 2, 4-dimethoxy-5-(2-hydroxyethyl) pyrimidine을 $K^{18}F$와 처리한 후 HBr로 가수분해하여 얻었으며 Fluorodeoxyadenosine은 adenosine의 triacetylated analogue를 $K^{18}F$와 처리하여 얻었다. 생물학적 조직분포는 유방암 세포(13762 NF, 100,000 cells per rat, im)를 쥐에 접종한 후 0.5, 1, 2 및 4시간에 주요장기를 적출하여 %ID/g을 측정하고 자가방사영상은 방사성의약품 투여 45분 후에 얻었다. PET 영상은 VX-2 종양을 접종한 가토를 이용하여 얻었다. In vitro cell proliferation assay는 사람의 말초단핵구를 이용하였다. 결 과 : In vitro assay상 ([$^{18}F$]FEU는 세포증식시 DNA/RNA에 결합함을 시사하였다. ([$^{18}F$]FAD와 ([$^{18}F$]FEU의 종양/비종양 방사능 섭취비는 시간경과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18}F$]FAD와 ([$^{18}F$]FEU를 이용한 자가방사영상과 ([$^{18}F$]FEU를 이용한 PET 영상에서 종양을 잘 관찰할 수 있었다. 결 론 : ([$^{18}F$]FAD 및 ([$^{18}F$]FEU를 이용하여 종양세포의 증식을 PET 영상에서 평가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PDF

Surgical Invasiveness is Important for Determining Severity of Postoperative Pain after Oral & Maxillofacial Surgery (구강악안면 수술의 침습도 및 술 후 통증의 정도와의 상관성)

  • Shin, Teo-Jeon;Park, Yun-Ki;Seo, Kwang-Suk;Han, Hyo-Jo;Kim, Hyun-Jeong
    •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Society of Anesthesiology
    • /
    • v.11 no.1
    • /
    • pp.9-15
    • /
    • 2011
  • 배경: 술 후 통증은 술 후 합병증의 발생가능성을 증가시키며 생체기능의 회복을 방해한다. 술 후 통증을 효과적으로 조절하기 위해선 통증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술 후 통증은 수술의 침습도와 관련이 높을 가능성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수술 침습도의 정도와 술 후 통증의 정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방법: 총 153명의 환자를 수술의 침습도에 따라 4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그룹 1: 악성종양 수술 (malignancy surgery), 그룹 2: 양악수술(bimaxillary surgery), 그룹 3: 양성 종양수술(benign cancer surgery) 그룹 4: 임플란트 & 골절 수술(implant & frature)) 수술이 끝나갈 무렵 fentanyl 700 ${\mu}g$, ketorolac 1,500 mg (총 용적 120 ml)가 포함된 자가통증조절장치를 정맥로에 연결하였다. 술 후 통증의 정도는 시각통증등급(visual analogue scale)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자가통증조절장치의 총 사용시간, 투여된 진통제의 양, bolus 투여 총 횟수를 측정하였다. 결과: 술 후 시각통증등급은 술 후 1일부터 3일까지 그룹 1, 2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시각통증등급 3점 이상의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의 비율 역시 그룹 1, 2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진통제 총 투여용량 및 자가로 주입한 진통제의 양 역시 그룹 1, 2군에서 3, 4 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결과 외과적 수술의 침습도가 술 후 통증의 정도를 결정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임 을 확인하였다.

Successful Renal Autotransplantation for the Treatment of Severe Renovascular Hypertension in a 14-year-old Boy (신 자가이식을 통한 14세 소년에서 발생한 심한 신성 고혈압의 성공적인 치료)

  • Ji, Min-Chul;Park, Se-Jin;Choi, Jae-Young;Ko, Young-Guk;Kim, Myoung-Soo;Kim, Ji-Hong;Shin, Jae-Il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v.14 no.2
    • /
    • pp.223-229
    • /
    • 2010
  • Percutaneous transluminal renal angioplasty (PTRA) is the current treatment of choice for renal artery revascularization, but renal autotransplantation has been an alternative treatment for complex cases. Here we report a 14-year-old boy with severe hypertension successfully treated with PTRA and renal autotransplantation. Doppler ultrasonography and computed tomography (CT) angiography revealed slight narrowing in the right renal artery ostium and complete obstruction in the left renal artery ostium with multiple collaterals. PTRA with stent insertion was performed for the treatment of the right renal artery, but it was impossible for the left renal artery due to the total obstruction. Therefore, left nephrectomy for autotransplantation was done with the peritoneal approach and the left kidney was autotransplanted to the ipsilateral iliac fossa. Postoperatively, Doppler ultrasonography and mercapto-acetyl-triglycine (MAG-3) renogram were performed, which showed normal renal artery blood flow and kidney function. Blood pressure was normalized and anti-hypertensive drugs were gradually tapered. Fibromuscular dysplasia was suspected to be responsible for the renal artery stenosis based on clinical aspects. In conclusion, renal autotransplantation is also a good treatment option for children with severe renovascular hypertension when endovascular treatment has failed or is not possib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