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자가치유

Search Result 15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Recent Progress of Ti3Ci2Tix MXene Electrode Based Self-Healing Application (Ti3Ci2Tix MXene 기반 전극 소재의 자가 치유 적용 기술 개발 동향)

  • Jun Sang Choi;Seung-Boo Jung;Jong-Woong Kim
    • Journal of the Microelectronics and Packaging Society
    • /
    • v.30 no.3
    • /
    • pp.20-34
    • /
    • 2023
  • Single or multi-layered two-dimensional (2D) materials, with thicknesses in the order of a few nanometers, have garnered substantial attention across diverse research domains owing to their distinct properties, including electrical conductivity, flexibility, and optical transparency. These materials are frequently subjected to repetitive mechanical actions in applications like electronic skin (E-Skin) and smart textiles. Moreover, they are often exposed to external factors like temperature, humidity, and pressure, which can lead to a deterioration in component durability and lifespan. Consequently, significant research efforts are directed towards developing self-healing properties in these components. Notably, recent investigations have revealed promising outcomes in the field of self-healing composite materials, with Ti3Ci2Tix MXene being a prominent component among the myriad of available 2D materials. In this paper, we aim to introduce various synthesis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Ti3Ci2Tix MXene, followed by an exploration of self-healing application technologies based on Ti3Ci2Tix MXene.

연골 결손의 치료

  • Lee, Beom-Gu;Sim, Jae-Ang
    • 대한관절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10a
    • /
    • pp.165-169
    • /
    • 2009
  • 연골 결손은 자체 치유 능력이 적어 그 크기가 1 cm 이상인 경우 골관절염이 발생할 수 있다. 최근에는 3-tesla MRI 등의 발전으로 인해 수술 전에 미리 연골 손상을 정확히 진단할 수 있어 연골 손상의 치료를 더욱 적극적으로 할 수 있다. 이제까지 연골 손상에 대한 수술적 치료는 세척술(lavage) 및 변연 절제술(debridement), 미세 천공술(microfracture), 자가 골연골 이식술(autologous osteochondral graft), 자가 연골 세포 이식술(autologous chondrocyte implantation, ACI), 동종 골연골 이식술(osteochondral allograft)이 있다.

  • PDF

A Study on Relation Analysis between Book and Category in Bibliotherapy Catalog (독서치료 독서목록에서의 카테고리와 치유서의 관계 분석 연구)

  • Baek, Jae Eun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26 no.2
    • /
    • pp.217-239
    • /
    • 2015
  • For bibliotherapy, users should understand their own life situation, select and access the book (self-help book). User access to book through situation catalog (or list) in reading list, but user is difficult to define and simplify in one word after understanding their own situation. Catalog of bibliotherapy reading list classifies books using one situation category or maximum of two categories other than the age-specific classification. In this study, the author approached and analyzes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ibliotherapy and reading list, in order that access more efficiently to book what user wants. Bibliotherapy reading-list by using mapping and crosswalk between categories, and analyzes category of reading lists through comprehensive review.

당뇨병환자의 치과시술

  • Go, Hong-Seop
    • The Monthly Diabetes
    • /
    • s.207
    • /
    • pp.14-15
    • /
    • 2007
  • 당뇨병환자의 치과시술시 가장 문제가 되는 사항은 감염에 대한 위험성 증가와 창상치유 지연이다. 대부분의 치과치료는 출혈을 일으키고 창상을 남긴다. 만약 치과치료를 예정하고 있는 환자가 당뇨병환자라면 치과의사는 보다 적극적으로 감염 가능성을 예방하거나 줄이고 창상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치과 치료계획을 세울 것이다. 그러므로 당뇨병환자가 치과치료를 받을 때 가장 중요한 사항은 환자 본인의 당뇨 병력을 상세히 치과 진료진에게 알려주는 것이다. 물론 병력은 상세할수록 좋다.

  • PDF

A study on Health healing method for incite to the brain of the part of the visual nerve and auditory (3D 영상 기반에서 시각 및 청각 뇌 자극을 이용한 가상현실 건강치유기법에 관한 연구)

  • Jeong, Yang-Kwo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3 no.4
    • /
    • pp.233-239
    • /
    • 2008
  • This study is study regarding system implementation that a ruler maximizing an autoimmunity effect supported it as I stimulate I am visual hearing so that treatment ability is possible. As I am known in a lot of conspiracy mental problems by being disproportionate for a direct reason to be connected to an action, the brain whom emotional, govern spirits through fragrance to stimulate sense of smell so that, specially, an ARoMa treatment is effective. I will inquire into changes and an influence around alpha of the rear wave object before watching this system.

  • PDF

Arthroscopic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with Remnant Bundle Preservation (남아있는 다발을 보존한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 Ahn, Jin-Hwan;Lee, S.H.
    • Journal of the Korean Arthroscopy Society
    • /
    • v.13 no.2
    • /
    • pp.87-96
    • /
    • 2009
  • 최근 전방십자인대 손상의 치료에 남아있는 인대 다발이 이식건의 생물학적 치유를 도우며 고유 수용감각(proprioception) 기능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슬관절의 전방 전위 억제의 생역학적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남아있는 전방십자인대를 보존하는 노력들은 다양하게 시도되고 있다. 전방십자인대 손상의 자연 경과는 아직도 논란이 되고 있으나 선택적인 환자에 있어서 보존적 치료는 비교적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재건술을 줄일 수 있다. 최근 시도되고 있는 선택적 다발 재건술 및 남아있는 다발을 보존하는 전방십자인대 재건 수술 수기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되고 있으며 남아있는 다발을 보존하는 장점이 있으나 협소한 적응증을 가진다. 저자들의 남아있는 다발을 보존하는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은 자가 슬괵건을 이용한 단일다발 재건술을 시행하면서 잔존하는 이완된 다발에 봉합사를 통과시킨 후 봉합사를 추가적인 터널 없이 bioabsorbable cross pin (RIGIDfix system, Mitek, Johnson & Johnson, USA) 구멍을 통하여 당기고 고정하는 방법이다. 전방십자인대 재건술시 남아있는 다발을 보존하는 방법은 이식건의 생물학적 치유을 촉진하고 또한 경골 부착부에 남아있는 기계수용체를 보존하므로 기능적 회복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자들의 방법은 비교적 광범위한 적응증을 가지며 적은 합병증으로 남아있는 다발을 효과적으로 보존할 수 있는 술식으로 전방십자인대 수술시 좋은 치료 선택의 하나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