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자가측정

검색결과 862건 처리시간 0.023초

RFID기반의 자가 혈당측정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RFID based on the self-blood sugar measurement system)

  • 박태진;이종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2079-2086
    • /
    • 2011
  • 최근 헬스케어 응용 시스템 중의 하나인 자가 진단 시스템 기술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이와 함께 본 연구논문은 PC, RFID, 생체신호측정기와 연동된 자가 혈당측정 시스템 및 사용자가 이해하기 쉬운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데 있다. 따라서 PC, RFID, 그리고 생체신호측정 센서와 연동되어 손쉽게 자가진단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도록 디바이스와 PC사이의 통신을 위한 손쉬운 인터페이스 구성과 RFID 태그 및 리더기 통신 상태를 분석, 테스트를 수행했다. 즉, 자가 혈당측정 데이터에 대한 통신 프로토콜 수행(프로토콜 정의에 따른 리퀘스트 및 리스폰스 데이터 분석)으로 연월일, 체온 및 혈당수치, 그리고 혈당체크 시점 등 신뢰성 높은 결과가 출력되었음을 나타내었다.

RFID를 이용한 헬스케어 자가진단 지능형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the Intelligent System using RFID for HealthCare Self-Diagnosis)

  • 손희배;김민수;이영철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146-152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RFID를 이용하여 사용자를 인식한 후 사용자의 생체신호(혈압, 혈당, 체지방)를 측정하여 자가진단을 할 수 있는 지능형 헬스케어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구현한 헬스케어 자가진단 지능형 시스템은 RFID리더기, 생체신호측정기(혈압계, 혈당계, 체지방측정기), 데이터베이스 서버역할을 하는 컴퓨터, 자가진단 결과를 출력하는 프린터로 구성된 키오스크형태로 이루어졌으며 데이터베이스에서 보유한 사용자 정보 및 측정된 정보 데이터를 비교분석한 후 사용자의 건강상태를 자가진단할 수 있다. 구현된 시스템은 병원에 가지 않더라도 간단히 자가진단을 할 수 있으며, 회사나 학교 등에서 응용할 수 있다.

Grubbs' Catalyst의 열안정성 및 자가치료제와의 반응성 평가 (Thermal Stability of Grubbs' Catalyst and Its Reactivity with Self-healing Agents)

  • 윤성호;;;장세용
    • Composites Research
    • /
    • 제28권6호
    • /
    • pp.395-40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자가손상보수에 적용되는 Grubbs' catalyst의 열안정성과 자가치료제와의 반응성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제조사에서 공급된 4종류를 고려하였으며 제조사에서 공급받은 상태와 기계적으로 분쇄시킨 상태로 시험하였다. 자가치료제는 Dicyclopentadiene (DCPD)과 5-ethylidene-2-norbonene (ENB)을 적절한 비율로 혼합한 4종류를 고려하였다. 촉매의 열안정성을 조사하기 위해 시차주사 열량측정장치를 통해 온도에 따른 열흐름 변화를 측정하였다. 자가치료제와의 반응성을 평가하기 위해 촉매와 혼합된 자가치료제의 반응열을 측정하였다. 이때 촉매는 자가치료제와 반응할 때의 최대온도와 최대온도 도달시간을 고려하여 Fluka Chemika Grubbs' catalyst를 적용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촉매는 제조사에 따라 다른 형상을 나타내며 입자의 크기가 작은 촉매가 자가치료제와 높은 반응성을 나타내었다. ENB의 혼합비가 높은 자가치료제가 촉매와 혼합되면 최대온도는 증가하고 최대온도 도달시간은 빨라졌다. 또한 촉매의 양이 많을수록 최대온도는 높아지고 최대온도 도달시간은 빨라졌다. 촉매의 열안정성과 자가치료제와의 반응성을 고려할 때 0.5 wt% 촉매와 D3E1 자가치료제가 자가손상보수를 위한 최적 조건임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노출된 분위기 온도에 따라 촉매에 열분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촉매가 열안정성을 갖는 온도보다 높은 온도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스마트케어 비만관리에서 자가 측정 빈도 수준의 효과 (The effect of the self-measurement frequency levels on SmartCare obesity management)

  • 이창희;장병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1972-1980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에서 2011년 3월 9일 부터 2013년 4월 3일 사이에 수행된 스마트케어 비만 관리 시범사업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에 등록된 212명 참여자 중에서 6개월 동안의 스마트케어 서비스 기간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자가 체중 측정을 모두 완료한 147명을 최종 분석 대상자로 하였다. 평가를 위한 자가 측정 그룹은 6개월 기간의 월 평균자가 측정 빈도를 균등하게 나누어 3그룹(Low, Middle, High)으로 분류를 하였으며 평가 대상 지표는 스마트케어 시스템으로 전송된 체중과 BMI(Body Mass Index)로 하였다. 체중과 BMI의 월별 평균은 High 그룹이 Middle 과 Low 그룹보다 더 많이 감소하였으며(M5: High>Middle>Low) 통계적으로도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 0.05). 결론적으로, 체중과 BMI의 개선 효과 분석은 자가 측정 빈도 수준이 높을 때 더 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