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잎특성

Search Result 1,307,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Biomass Production of One-year-old Hybrid Poplars and Its Estimation (식재 당년생 신품종 포플러류의 Biomass 생산량 및 생산량 추정)

  • Koo, Yeong-Bon;Shim, Sang-Yung;Noh, Eui-Rae
    • Journal of Korea Foresty Energy
    • /
    • v.7 no.1
    • /
    • pp.22-27
    • /
    • 1987
  • Above ground biomass production of one-year-old hybrid poplars was investigated to select the best clones which are suitable for short rotation forestr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verage dry weight of Populus alba X P. glandulosa Fl clones was 2.86 for stem,0.41 for branches 0.70 for leaves and 3.97 t/ha for total. and the ratios of green weight to dry weight were 0.47 for stem,0.36 for branches,0.31 for leaves and 0.42 for total. Dry weight of Populus nigra X P. maximowiczii Fl clones was 1.48 for stem, 0.54 for branches.0.71 for loaves and 2.73t/ha for total, and the ratios of green weight to dry weight were 0.42 for stem. 0.37 for branches, 0.28 for leaves and 0.36 for total. 2. Biomass production (green and dry weight)of Populus alba X P. glandulosa F1 clones can be predicted by diameter measurement only, but biomass production of Populus nigra X P. maximowiczii F1 clones can not be predicted by any of investigated characteristics. 3. Dry weight distribution of pepulus alba X P. glandulosa Fl clones were 73$\%$ for stem, 10$\%$ for branches and 17$\%$ for leaves, and dry weight distribution of P. Populus nigra X P. maximowiczii F1 clones were 54$\%$ for stem, 20$\%$ for branches and 26$\%$ for leaves.

  • PDF

A Study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chyranthes japonica and Smilax china Extracts (쇠무릎과 청미래덩굴 부위별 추출물의 이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 Jeong, Kap-Seop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2 no.7
    • /
    • pp.3317-3326
    • /
    • 2011
  •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Achyranthes japonica and Smilax china extracts were investigated for the purpose of functionality research on the natural bio-resources. Extraction contents were order of distilled water>methanol>ethanol solvent, the highest free aminoacids were proline from Achyranthes japonica, phosphoserine and glutamic acid from Smilax china, respectively. BI and TAC by spectrophotometric absorbance were order of methanol>ethanol>water in Smilax china leaf extract, but water>methaol>ethanol in Achyranthes japonica leaf extract. EDA was high in ethanol extract from Smilax china leaf and in methanol extract from Smilax china root, and in water extract from Achyranthes japonica. TBA value of Achyranthes japonica leaf and Smilax china leaf-ethanol extracts on olive oil was 82.1% and 84.0%, respectively, for that of an artificial antioxidant BHT. Antimicrobial effect was observed in Achyranthes japonica stem-methanol extract on Bacillus subtillis, in Smilax china leaf-ethanol extract on Bacillus subtillis, Vibrio vulnificus and Salmonella enterica, respectively. And the adsorption of Pb(II) on Achyranthes japonica was higher than that of Cd(II) on Smilax china under the same metal ion concentrati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Ligusricum chuanxing Hort. according to Cultivation Environment (재배지 환경에 따른 토천궁의 생육특성)

  • Hong Woo Park;Ki Yoon Kim;Dae Hui Jeong;Hyun-Jun Kim;Chung Ryul Jung;Yurry Um;Kwon Seok Jeon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08a
    • /
    • pp.98-98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약재로 사용되는 천궁 중 토천궁(Ligusricum chuanxing Hort.)에 대한 지역별 생육환경을 확인하고 이에 따른 지상부 및 지하부 생장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 토천궁의 적정 재배지역 확인 및 지속 가능한 안정적인 한약재 생산에 대한 기초자료로 사용함에 있다. 토천궁이 주로 재배되고 있는 봉화군, 영양군, 평창군과 더불어 기후변화에 의한 재배지 이동을 고려하여 고위도 지역인 인제군을 포함한 4지역의 재배지를 선정하였으며, 생육특성을 비롯 기상 및 토양환경을 분석하여 토천궁의 생육특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4지역의 재배지 중 지상부와 지하부의 전체적인 생육은 평창지역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확인되었다. 그리고 생육특성과 기상환경과의 상관관계에서 대기 및 토양온도가 지상부의 전체높이, 줄기직경, 지하부의 생육특성과 P < 0.01수준에서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 잎의 길이 및 너비와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일사량이 높아질수록 잎의 크기를 제외한 생육특성이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는데 이는 대기 및 온도의 상승으로 인한 잎의 증발산율 상승과 일사량에 따른 잎의 광합성량의 차이에 의한 결과라 사료된다. 또한 토양특성과의 상관관계에서 OM과 N, P, K는 지상부의 전체 높이와 줄기 직경을 비롯한 지하부의 생육특성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근권의 토양시료를 사용하여 분석한 것이라 실질적으로 토천궁의 생육에 필요한 토양의 성분이 OM과 N, P, K이며, 토천궁에 의해 흡수되었다고 판단되는데 생육이 가장 우수했던 평창지역 토양 내 OM(1.69%)과 N(0.09%), P(897.72mg/kg), K(0.21cmol+/kg)의 수치가 타 지역 대비 상대적으로 낮게 측정된 결과가 본 실험에서 확인된 생육에 대한 OM, N, P, K의 함량과 부의 상관관계를 지지하며,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토천궁의 재배지 선정 및 재배기술 정립에 활용할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 PDF

Characteristics of Anthracnose of Orchids Caused by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에 의한 난 탄저병의 발생 특성)

  • 박숙영;정희정;김가영;고영진
    • Korean Journal Plant Pathology
    • /
    • v.12 no.4
    • /
    • pp.455-458
    • /
    • 1996
  • 난 탄저병균의 배양적 특성과 탄저병의 발생 특성을 조사하였다. 자연 발병한 양란과 호접란의 잎에는 초기에 암갈색 또는 검은색의 둥글고 작은 반점이 형성되어 점차 진전되면서 검게타고 병이 진전됨에 따라 잎전체가 고사하고 심할 경우 줄기와 식물체 전체가 고사하였다. 탄저병에 감염된 양란과 호접란의 병환부로부터 분리된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는 상처접종에 의해서만 각각 양란과 호접란 병원성을 나타내었고, 덴파레 및 춘란에 대해서도 모두 병원성을 나타내었다. 양란은 상위엽일수록 탄저병균에 대해 감수성을 나타내었으며, 호접란이 탄저병균에 대해 감수성을 나타낸 반면에 춘란이 가장 저항성을 나타내었으며 양란과 덴파레는 중도 반응을 보였다. 탄저병균의 균사생장과 분생포자형성 적온은 각각 $25^{\circ}C$였으며, 베노밀 수화제와 비타놀 수화제에 대하여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 PDF

느티떡의 재료 배합비에 따른 관능적 텍스쳐 특성

  • 이효지;백현남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Cookery Science Conference
    • /
    • 2003.10a
    • /
    • pp.73-73
    • /
    • 2003
  • 느티떡은 멥쌀가루에 느티잎을 첨가하여 시루에 찐 떡이다. 본 연구에서는 멥쌀가루에 느티잎의 양, 설탕의 양, 물의 양을 달리하여 느티떡을 제조하여 관능검사와 기계측정을 하여 최적 배합비를 얻는데 목적이 있다. 관능검사 결과 Color는 멥쌀가루 200g에 느티잎 20g(10%), Flavor와 Moistness는 느티잎 30g (15%), 설탕 30g(15%), Chewiness는 느티잎 20g(10%), 설탕 30g(15%), 물 35m1, Sweetness는 느티잎 20g(10%), 설탕 30g(15%), 물 25ml 첨가한 떡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중략)

  • PDF

기획시리즈 - 수생식물의 종류 및 이용 특성

  • Song, Jeong-Seop
    • Landscaping Tree
    • /
    • s.113
    • /
    • pp.16-17
    • /
    • 2009
  • 최근 정부의 4대강 살리기 사업과 관련하여 수생식물이 주목을 받고 있다. 수생식물은 산소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물속에서 잘 자랄 뿐만 아니라 수질정화는 물론 4계절 볼꺼리를 주는 경관용으로도 우수하기 때문이다. 수생식물은 물속에서 자라기 때문에 줄기나 잎에 통기조직이 잘 발달되어 있고 뿌리는 바닥에 뻗으며 잎은 수면 위에서 자라거나 떠돌아다닌다. 수생식물은 육상식물보다 빨리 자라며 한 개체가 수면 밑의 수중, 지하나 수면 위에 걸쳐 있으면서 스스로도 살지만 다양한 생물의 서식처로써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하천이나 연못에서 소생태계(biotope)나 생물 서식공간을 만드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PDF

풀밭 지역 편파별 후방 산란 특성 분석용 알고리즘 개발

  • 김재형;이진원;오이석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0.04a
    • /
    • pp.137-142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풀밭으로 덮힌 지역의 초고주파 대역 편파별 후방 산란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Radiative Transfer 이론의 첫 번째 해를 이용하였다. 풀밭지역에서의 잎은 사각형 형태의 resistive sheet 으로 모델화 시키고, 잎의 크기와 방향성은 불규칙적으로 흩어져 있다고 가정하였다. 땅에서의 흙의 수분 함유량과 표면 거칠기도 고려하였다. 이러한 지역에서의 후방 산란 계수는 풀밭 지역과 레이더 요소들에 따라 각각 다른 계산 결과를 나타낸다. 측정은 15 GHz 대역의 레이더 시스템을 사용하여 풀 층에서의 산란 계수를 측정하고 풀 층에서의 산란 모델을 이용하여 계산 결과와 측정값을 비교하였고 이 모델을 이용하여 Visual-Basic을 이용한 사용자 프로그램인 TSM(Total Scattering Model)을 제작하였다.

  • PDF

수종 목본식물의 개엽 특성에 관한 연구

  • 민병미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17 no.1
    • /
    • pp.37-47
    • /
    • 1994
  • A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leaf expansion forms and to analyze the leaf growth in early growing season of 1992 in a temperate deciduous forest in central region of Korea. After the winter bud scale fell off, the expansion forms of 11 woody species were divided into 3 groups, spreading fan form, opening form from half folding, and unrolling form from main vein. The ratios of leaf area at the end of growing season to that of leaf expantion time varied among species, and were related closely to expansion forms. The leaves reached to full size between the third ten days of April and the middle ten days of May, except for a few species. Leaf weight, however, increased steadily during the growing season. Specific leaf area (SLA) increased rapidly for 10-20 days after leaf expansion and decreased rapidly for 10 days after reaching maximum values, and thereafter decreased slowly. The SLA values of trees were smaller than $200cm^2/g$, but those of subtree and shrub were larger than $200cm^2/g$.

  • PDF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Quercus mongolica Leaf as Natural Food Preservative (신갈나무 잎 에탄올 추출물의 식품보존제 효과)

  • 오덕환;공영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0 no.2
    • /
    • pp.243-249
    • /
    • 2001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antimicrobial effect of the ethanol extract of Quercus mongolica leaf on microbial growth. The ethanol extract at the concentration of $250\;\mu\textrm{g}/mL\;and\;500\;\mu\textrm{g}/mL$ inhibited the growth of gram positive and gram negative food-borne disease bacteria for 40 hours in tryptic soy broth, respectively.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from Quercus mongolica leaf was not affected by pH and heat treatment. The comparision between ethanol extract and commercially available preservatives on antimicrobial activity in food system was conducted. When the 0.1% ethanol extract of Quercus mongolica leaf was added to pine needle drink and carrot juice, antimicrobial activity was similar to those of containing 0.05% benzoic acid and 0.5% grapefruit seed extract. Also addition of 2~3% ethanol extract to the soybean paste inhibited the microbial growth up to 7 week, comparable to the inhibition of 2% ethanol. Thus, this results indicate that the ethanol extract of Quercus mongolica leaf may be useful as natural antimicrobial agents.

  • PDF

Preparation of Barley Leaf Powder Tea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보리잎 분말차의 제조와 그 품질특성)

  • Kim, Dong-Chung;Kim, Dong-Won;Lee, Sung-Dong;In, Man-J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5 no.6
    • /
    • pp.734-737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barley leaf powder tea. The optimal manufacturing process among many trials was determined with sensory evaluation. Finally established process and operation conditions were as follows: pretreatment (cutting and washing), steaming ($100^{\circ}C$, 30 sec), primary drying and roasting ($130^{\circ}C$, 40 min), rolling (RT, 25 min), middle drying and roasting ($60^{\circ}C$, 30 min), final drying and roasting ($55^{\circ}C$, 25 min), drying ($60^{\circ}C$, 20 min), roasting ($85^{\circ}C$, 20 min), and powdering (120 mesh). The barley leaf powder tea produced by this process mainly consisted of dietary fiber (33.8%), amino acids (12.9%), minerals (4.7%) and ${\beta}-carotene$ (6.9 m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