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잎특성

검색결과 1,301건 처리시간 0.03초

호랑버들과 갯버들 종간 교잡종의 잎 형태적 특성 (Lea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Salix caprea × Salix gracilistyla)

  • 서한나;채승범;임효인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추계국제학술대회
    • /
    • pp.49-49
    • /
    • 2020
  • 본 연구는 호랑버들과 갯버들 교잡종의 잎 형태적 특성을 국내 자생종인 호랑버들, 갯버들과 비교하였다. 호랑버들 35개체, 갯버들 35개체, 교잡종 100개체에서 잎을 채취하여 잎의 길이와 너비, 엽저와 엽두 각도, 잎자루 길이와 너비, 탁엽의 길이와 너비, 잎 두께 등 총 17개의 잎 형태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엽두 각도와 탁엽의 길이를 제외한 15개의 특성에서 세 분류군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교잡종의 잎 길이와 너비의 비는 갯버들, 교잡종, 호랑버들 순으로 크게 나타나 교잡종의 잎의 형태는 피침형인 갯버들과 타원형인 호랑버들 사이 중간 형태로 나타났다. 교잡종의 잎의 너비, 엽저 각도, 잎자루의 길이와 너비, 탁엽의 길이와 너비는 호랑버들과 갯버들의 중간 형태를 나타내었으며, 탁엽의 거치 개수는 교잡종이 호랑버들과 갯버들보다 많은 특성이 나타났다. 잎 뒷면 단위면적당 털의 개수 또한 교잡종이 호랑버들과 갯버들보다 많은 특성을 나타냈다. 세 분류군 간 잎 형태적 차이를 구명하기 위해 유의한 차이를 보인 15개의 변수를 이용하여 주성분분석을 실시한 결과 고유값이 1 이상인 제 1, 2, 3, 4주성분이 전체 분산의 68.2%를 설명하였다. 제 1주성분은 잎의 너비, 잎의 1/3 아랫부분 너비, 잎의 1/3 윗부분 너비, 잎자루의 길이, 잎의 길이로 잎의 크기와 관련이 있는 특성들이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제 2주성분은 엽맥의 수, 잎자루의 너비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제 3주성분은 탁엽의 거치 개수, 탁엽의 너비로 탁엽의 특성과 관련이 있는 특성들이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제 4주성분은 잎의 두께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주성분분석 결과 호랑버들과 갯버들 교잡종의 잎 특성은 호랑버들보다 갯버들과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잎의 형태적 특성으로 세 분류군을 구별하기 위해 정량형질을 이용한 판별분석 결과 교잡종 중 대부분(93.3%)이 호랑버들, 갯버들과 구별되었다. 일부 교잡종 개체(6.7%)가 갯버들로 오분류되었지만, 잎의 정성적 특성인 잎의 거치와 측맥의 특성을 고려한 결과 모든 개체가 교잡종으로 구분되었다. 따라서 호랑버들과 갯버들의 교잡종은 잎의 형태적 특성이 부모종인 호랑버들, 갯버들과 다른 독특한 형태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대추 및 대추가지의 물리적 특성 (Physical Properties of Jujube(Zizyphus jujuba Miller) and Jujube Branches)

  • 이상우;허윤근;서정덕;맹성렬;민경선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2년도 동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79-85
    • /
    • 2002
  • 본 연구는 대추 수확기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대추의 열매, 잎, 잎줄기의 물리적 역학적 특성을 조사.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대추 열매의 평균 장경, 경, 부피, 무게, 탈과력은 각각 32.02 mm, 23.9 mm, 10.0$\times$$10^{-6}$m$^3$, 5.2~12.8g, 5.7 N으로 나타났다. .대추무게가 증가하면 탈과력은 증가하고, F/W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났다. .대추나무가지의 평균 탄성계수는 7.01$\times$$10^{8}$ N/m$^2$였고, 가지의 굵기가 증가하면서 감소하였다. .대추나무가지의 평균 비틀림 강성은 5.2$\times$$10^{7}$ N/m$^2$으로 나타났으며, 가지의 굵기가 증가하면서 음의 지수 함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데이터가 일정한 범위에 산재해 있어 가지의 굵기에 따른 강성계수변화 특성은 일정한 경향으로는 나타나지 않았다. .대추 잎줄기의 평균 무게, 잎수, 길이가 각각 0.7g, 6.6개, 12.2 cm로 나타났다. .대추 잎의 평균 잎면적, 무게, 탈리력은 각각 13 $cm^2$, 0.2g, 4.4 N으로 나타났다. .종말속도는 대추 열매의 무게가 증가하면서 증가하고, 대추잎의 무게, 면적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잎줄기의 종말속도는 잎줄기 무게 혹은 잎줄기에 매달린 잎의 수와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잎줄기의 길이가 증가할수록 약간씩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 PDF

모시잎 첨가량에 따른 모시잎절편의 품질특성

  • 윤숙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사단법인 창립총회
    • /
    • pp.94-94
    • /
    • 2003
  • 모시잎절편은 삶은 모시잎을 쌀가루와 같이 찐 후 친 떡으로 모시잎절편의 최적 제조방법을 정립하고자 모시잎의 첨가량을 0%, 20%, 40%, 60%, 80%로 달리하여 절편의 품질 특성을 저장기간 동안 평가 하였다. 모시잎절편의 견고성은 제조직후 1.262.84∼1,553.07g의 범위를 가지며 40% 첨가 시료가 1,553.07g로 가장 높았으며 80% 첨가시료가 가장 낮았다.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노화로 인해 모든 시료가 유의적으로 견고성이 증가하여 저장 4일째 3,147.45∼14,289.9g였으며, 80% 첨가시료가 3,147.5g, 0% 첨가시료가 14,289.9g 으로 모시잎 첨가 비율이 높을수록 견고성의 증가율이 낮았다. (중략)

  • PDF

윤곽선 특성과 동적 시간 정합을 이용한 식물 잎 이미지 검색 기법 (A Leaf Image Retrieval Scheme based on Shape Descriptor and Dynamic Time Warping)

  • 탁윤식;황인준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5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내용기반 이미지 검색 기법으로 식물 잎의 윤곽선에 대하여 동적 시간 정합 기법을 이용하여 유사한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검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식물 잎의 기준점에 대하여 잎의 가장자리를 따라 가면서 구해지는 거리의 곡선을 통하여 잎의 외형 특성을 표현하였다. 추출된 곡선 정보의 효율적인 저장과 처리를 위하여 곡선의 특성을 표현할 수 있는 퓨리에 계수(Fourier Coefficients)를 계산하고 이를 바탕으로 유사한 이미지를 계산하였다. 이런 과정에서 생기는 문제점으로는 복잡한 형태의 곡선에 대해서는 퓨리에 계수를 통하여 저장하고 복원하는 과정에서 원본 곡선의 세부적인 형태 정보를 상실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곡선 유형에 대해서는 복원시 상실되는 정보가 최소화될 수 있는 작은 단위의 구간으로 나누고 이에 대한 퓨리에 계수를 계산하는 방법으로 다수의 퓨리에 계수 세트를 추출하는 이진 구간 분할 (Binary Range Reduction) 알고리즘을 사용하였고 질의 이미지와 저장된 이미지들을 비교하는 과정에서 검색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동적 시간 정합(Dynamic Time Warping) 알고리즘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검색의 효율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추출된 외형 정보를 기반으로 잎의 유형을 다양한 카테고리로 분류하는 외형 기형 기반의 잎 분류 기법을 제안하였다. 다양한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기법이 식물 잎 검색에 우수한 성능을 나타냄을 보인다.

  • PDF

소나무잎에 침착된 PCDD/Fs 특성 (Characteristics of PCDD/Fs Deposited on Pine Needles)

  • 천만영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599-605
    • /
    • 2005
  • 대기중 POPs의 passive sampler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1년에서 4년생 까지의 소나무잎을 이용하여 대기중 PCDD/Fs가 소나무잎에 침착될 때의 특성을 연구하였다. 치환된 염소수가 적어 대기 중에서 주로 가스상으로 존재하는 PCDD/Fs는 소나무잎에 누적침착이 일어나지만 입자상으로 존재하는 PCDD/Fs는 누적침착이 일어나지 않았다. 소나무잎에 침착된 PCDD/Fs는 광분해로 농도가 감소되었는데, PCDFs의 광분해율은 PCDDs와 비슷하였고 염소치환수가 많은 homologue일수록 광분해율이 컸다. 소나무잎을 대기중 PCDD/Fs의 passive sampler로 사용할 때 가스상과 입자상 PCDD/Fs의 잎에 대한 누적침착율 차이와 광분해에 의한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어린 잎을 시료로 채취하는 것이 좋으며, 지역별 PCDD/Fs 농도를 비교할 때에는 동일한 나이의 소나무잎을 채취하여야 오차를 줄일 수 있다.

모시잎을 첨가한 죽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uel Added with Ramie Leaves)

  • 이승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76-86
    • /
    • 2013
  • 이 연구는 모시잎을 죽에 첨가함으로서 모시잎의 최적 첨가량을 결정하고 모시잎 첨가 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모시잎을 동결 건조하여 분말로 가공한 후, 첨가량을 달리하여(0, 2, 4, 6, 8%) 죽을 제조한 후 품질특성으로 기계적 특성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모시잎 분말의 일반성분은 수분함량 5.37%, 조단백질 27.10%, 조지방 5.99%, 조회분 14.37%, 탄수화물은 47.17%로 나타났다. 모시잎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모시잎죽의 고형분 함량은 모시잎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H는 모시잎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첨가량에 따른 유의적 차이를 보이며 증가하였다. 색도 측정 결과 명도와 적색도는 모시잎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황색도는 모시잎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죽의 점도는 모시잎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퍼짐성은 모시잎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기호도 검사 결과에서 색(color)은 모시잎 6% 첨가군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고, 향(flavor)은 무첨가군에 비해 모시잎 첨가군에서 높은 기호도를 보였으나, 8% 첨가군은 오히려 기호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맛(taste)과 점도(viscosity)는 6% 첨가군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acceptability)는 6% 첨가군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며 6%> 4%> 8%> 2%> 0% 첨가군 순으로 높은 기호도를 보였다. 위의 결과로부터 모시잎을 첨가한 죽을 제조시 모시잎을 6% 정도 수준에서 첨가한다면 죽의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동결건조 모시잎 분말 첨가가 돈육패티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reeze Dried Ramie Leaf Powd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Patties)

  • 안수미;장세리;박인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78-485
    • /
    • 2015
  • 본 연구는 동결 건조한 모시잎 분말을 돈육패티에 첨가하여, 이들 제품에 미치는 품질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모시잎 분말의 일반성분은 수분 함량 4.67%(w/w), 조단백질 25.61%(w/w), 조지방 6.665%(w/w), 조회분 16.88%(w/w)로 나타났다. 모시잎 분말을 첨가한 돈육패티의 수분 함량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pH는 6.06~6.18로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색도는 생육 패티에서 모시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와 적색도는 유의적(p<0.001)으로 감소하고, 황색도는 유의적(p<0.001)으로 증가하였으며, 가열육 패티에서 모시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p<0.001)와 적색도는 감소하고, 황색도는 0.75%(w/w) 첨가군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p<0.05). 물성 특성은 모시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 탄력성, 응집성, 씹힘성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지질산패도(TBARS)는 저장 기간의 경과에 따라 측정 값들이 증가하였으며, 모시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p<0.001)으로 낮은 TBARS 값을 보여 지질산패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관능적 특성으로 색감에서는 모시잎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p<0.05)인 경향을 보였으며,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는 모시잎 분말 0.5%(w/w) 첨가군에서 유의적(p<0.01)인 경향을 보이며 가장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돈육패티 제조 시 모시잎 분말을 0.5%(w/w) 정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되며, 돈육패티에 모시잎 분말을 첨가함에 따라 돈육 특유의 이취를 감소시키며, 색상과 맛 등의 기호도를 향상시켜 관능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관능적 평가뿐만 아니라, 저장 중 지방산패를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아마란스잎 분말을 첨가한 머핀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added with Amaranth Leaf Powder)

  • 최상호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1-6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아마란스잎 분말을 0, 3, 6, 9, 12% 첨가하여 머핀을 제조하고, 그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아마란스잎 분말 첨가 머핀의 비중은 대조군보다 아마란스잎 분말 첨가군이 더 높았으며(p<0.001), 반죽과 머핀의 pH는 아마란스잎 분말을 첨가할수록 감소하였다(p<0.001). 아마란스잎 분말을 첨가할수록 머핀의 높이, 중량, 부피 및 비용적은 감소하고, 굽기 손실율은 증가하였다. 머핀의 수분함량은 대조군보다 아마란스잎 분말 첨가군이 더 낮게 나타났다(p<0.001). DPPH radical 소거능은 대조군이 16.23%였으며, 아마란스잎 분말 첨가군은 23.06~33.63%로 나타났고, 아마란스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았다(p<0.001). 색도측정에서 아마란스잎 분말을 첨가할수록 머핀 crust의 L, a와 b값은 감소하였고, crumb의 L값과 a값은 감소하고,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Texture 측정에서 경도, 탄력성, 응집성, 씹힘성과 부서짐성 모두 대조군이 높게 나타났으며, 아마란스잎 분말을 첨가할수록 감소하였다(p<0.001). 관능검사 결과, 삼킨 후의 느낌, 외관, 향, 질감, 맛과 전반적인 기호도 모두에서 아마란스잎 분말 3% 첨가군과 6%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 머핀 제조 시 아마란스잎 분말을 6% 수준까지 첨가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

기주식물이 꽃노랑총채벌레(Frankliniella occidentalis)의 발육과 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ost Plants on the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of Frankliniella occidentalis (Pergande) (Thysanoptera : Thripidae))

  • 이건휘;백채훈;황창연;최만영;김두호;나승용;김상수;최인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01-305
    • /
    • 2003
  • 기주식물에 따른 꽃노랑총채벌레의 생태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가지, 오이, 고추, 토마토의 잎과 꽃잎에서 꽃노랑총채벌레의 발육기간은 고추 잎에서 6.4일로 가장 길었고, 생존율도 고추 잎에서 67%로 가장 낮았다. 오이의 잎에서 암컷의 수명이 16일로 가장 길었고, 꽃잎에서는 8.1일로 가장 짧았다. 꽃노랑총채벌레 암컷 성충은 가지, 오이, 고추, 토마토 중 토마토 꽃잎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지 성묘의 잎 위치별 부화 유충수는 중위 잎에 가장 많았다. 가지의 잎과 꽃잎에 대한 꽃노랑총채벌레 암컷 성충의 서식 선호성은 꽃잎을 더 선호하였고, 4개 작물(가지, 오이, 고추, 토마토)중 꽃잎에 대한 서식 선호성은 고추에서 가장 높았다.

육계 사료 내 엄나무 잎 분말 첨가 급여가 육계의 혈액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astor Aralia (Kalopanax pictus Nakai) Leaf Powder on Blood Characteristics of Chicken)

  • 김영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23-329
    • /
    • 2010
  • 본 시험은 육계에 엄나무 잎 분말을 첨가량에 따라 급여하여 5주간 사육한 육계의 생산성과 계육의 일반성분, 도체 특성 및 혈액 성상을 조사하였다. 실험구는 엄나무 잎 분말을 첨가 급여하지 않은 처리구를 대조구, 엄나무 잎 분말 0.5% 급여구는 T1, 엄나무 잎 분말 1% 급여구는 T2, 그리고 엄나무 잎 분말 2.0% 급여구를 T3 등 4개 처리구로 나누어 사양하였다. 육계의 생산성은 처리구간 유의적인 변화는 없었고, 폐사율은 엄나무 잎 분말 급여구에서 낮아졌으며, 엄나무 잎 급여량에 의한 차이는 없었다. 계육의 일반성분은 엄나무 잎 분말 급여구에서 조지방 함량이 증가하였고(T3), 수분, 조단백질 및 조회분은 유의성이 없었다. 도체 특성 중도체중, 도체율, 간의 무게 및 비장 무게는 처리구간에 유의성이 없었고, 복강지방은 엄나무 잎 분말의 급여량이 늘어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으로 T3에서 유의적으로 무거웠다(P<0.05). 육계의 혈액 성상 중 HDL-cholesterol과 glucose는 엄나무 급여구에서 높았고, 총 콜레스테롤과 LDL-cholesterol 및 triglyceride는 낮아지는 결과이었다(P<0.05). 이러한 경향은 엄나무 잎 분말 1% 급여구부터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엄나무 잎 분말을 1% 이상 급여하면(T2) 육계의 폐사율이 낮아지고, 총콜레스테롤, LDL-cholesterol이감소하며, HDL-cholesterol이 증가함으로 혈액 조성을 개선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