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잎벌레

Search Result 119,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Insect Fossils (Coleoptera: Chrysomelidae: Donaciinae) Found Together with Ancient Rice in Soro-ri Peat Layer (청원 소로리 토탄층에서 고대 볍씨와 함께 출토된 뿌리잎벌레류의 화석)

  • Nam, Sang-Chan;Lee, Seong-Kyun;An, Seung-Lak;Lee, Yung-Jo;Cho, Soo-Won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47 no.4
    • /
    • pp.333-336
    • /
    • 2008
  • During the excavation to find ancient rice seeds from the peat layer (12,500-14,800 bp based on 14 dating samples) of Soro-ri, Cheongwon-gun near Cheongju city, we found not only old rice seeds, but also other organic materials including insect fossil skeletons. Although no complete specimen was found in this study, some body parts were diagnotic enough for identifying species. Among the identified insect fossils, two species were successfully identified based on their characteristic forewing morphologies, e.g., cross-ridges on forewing. The two identified species, Plateumaris sericea and Donacia flemola or near, belong to Donaciinae in Chrysomelidae, and their larvae are known to feed on the root of wetland plants, mainly in Poaceae or Cyperaceae. Such finding proved that a wetland environment was maintained in Soro-ri at that time, and was suitable for such insects to survive. Therefore, evidence from the fossilized rice seeds, together with these insect fossils, clearly proved that the environment at that time was suitable for rice, a common Poaceae species, growing.

The Subgenus Exosyntretus Belokobylskij of the Genus Syntretus (Hymenoptera: Braconidae: Euphorinae) from Korea (한국산 Syntretus 속 Exosyntretus Belokobylskij아속 (벌목: 고치벌과: 잎벌레고치벌아과)에 대한 보고)

  • An, Tae-Ho;Kim, Hyojoong;Kim, Ki-Gyoung;Seo, Hong-Yul;Ku, Deok-Seo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54 no.1
    • /
    • pp.35-37
    • /
    • 2015
  • Two species of the subgenus Exosyntretus (Hymenoptera: Braconidae: Euphorinae) in the genus Syntretus are reported from Korea in this study. Among them, Syntretus (Exosyntretus) nevelskoii Belokobylskij is new to Korea. The world checklist, diagnosis and distribution data are included.

Systematic Study of Larvae of North American Alticinae (Coleoptera: Chrysomelidae) by Larval Characters - Part 1. Genus Altica from North America (유충의 형질을 이용한 북미산 벼룩잎벌레아과 (딱정벌레목 잎벌레과)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 Part 1. Genus Altica from North America)

  • Jong Eun Lee;Jae Hun Shim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v.19 no.1
    • /
    • pp.19-31
    • /
    • 2003
  • The present paper is a part of the studies on the larvae of subfamily Alticinae in North America. Eight species were described and illustrated belonging to genus Altica in the subfamily Alticinae: Altica ambiens alni, A. bimarginata, A. brisleyi, A. litigata, A. potentillae, A. sylvia, A. torquoto and A. ulmi. It is the first to deal the larvae taxonomically in North America. Their key and taxonomic remarks are also given.

조경수의 병해충 - 주목에 피해를 주는 깍지벌레류

  • 최광식
    • Landscaping Tree
    • /
    • s.83
    • /
    • pp.13-15
    • /
    • 2004
  • 조밀하게 달린 잎의 진한 녹색과 가을의 붉은 열매가 초겨울의 삭막함을 비겨나게 하는 아름다운 수종으로 서양 정원의 형상수로 귀족적인 맛을 풍기며 나이가 덜수록 조형미가 아름다우며 죽어서도 그자태가 아름다워 그대로 방치하여도 나름대로 아름다움을 간직하는 고귀한 나무이다. 병해충에도 비교적 강하나 생리적으로 영양분을 많이 취하는 수종이라 그렇지 못하면 깍지벌레류가 피해를 주어 나무가 전체적으로 생기를 잃거나 심하면 고사하는 경우도 있어 일정한 관리가 요망된다. 주목에 피해를 주는 해충은 국내발행(임업연구원) 한국수목해충목록집 에 해충 16종이 기록되어 있을 뿐이다.

  • PDF

김장 무우$\cdot$배추 주요병해충 발생과 방제

  • 이수성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6 no.9
    • /
    • pp.73-80
    • /
    • 1985
  • 가을 김장용 무우, 배추는 우리나라 어디에서나 재배되고 재배면적도 크다. 그런데 해에 따라 풍년이 들기도 하고 흉년이 되기도 하는데 그 원인이 주로 병해의 발생 때문이다. 배추에는 무름병(軟腐病), 바이러스병(萎縮病), 무사마귀병(根瘤病), 버짐병(露菌病), 흰무늬병(白斑病), 밑둥썩음병(根腐病) 등이 피해를 많이 주고 방제에 신경을 써야하는 병이다. 무에는 바이러스병, 무름병, 버짐병, 검은빛썩음병(黑腐病) 등이 많이 발생한다. 흉년을 만들지는 않지만 상품가치를 떨어트리고 경우에 따라 상당히 많은 결주를 내어 소득을 저하시키는 것이 해충인데 무우, 배추 공히 거세미, 배추흰나비(청벌레), 벼룩잎벌레(톡톡이) 등이 피해를 준다.

  • PDF

조경수의 병해충-가로수 주요해충

  • 최광식
    • Landscaping Tree
    • /
    • s.106
    • /
    • pp.20-22
    • /
    • 2008
  • 가로수로 인기가 많은 벚나무, 버즘나무에 많은 벌레가 가해를 하고 있다. 특히 기후온난화로 잎이 10월까지 붙어 있어 이들에 의한 경관 저해는 시민들의 민원을 유발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들 주요 해충과 간단한 생태 및 방제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Efficacy of Serveral Insecticides to the Mulberry Thrips(Pseudodendrothips mori NIWA) (뽕나무 총채벌레에 대한 살충제의 효과와 피해잎의 화학성분 및 잠작에 미치는 영향)

  • 백현준;이원주
    • Journal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
    • /
    • v.25 no.2
    • /
    • pp.32-36
    • /
    • 1984
  • This study was conducted out to evaluate the efficacy of insecticides, furadan (3%G), disyston(5%G), ortran (50%WP), pirimor (50%EC) and metasystox (25%EC) to the mulberry thrips(Pseudodendrothrips mori NIWA.) The comparisons between damaged by thrips and controlled leaves with the cocoon producion and the chemical contents in leaves were carri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Ortran, furadan and matasystox showed the good efficacy to control the thrips, especially the period of efficacy was the longest in ortran and furadan. 2. The cocoon yield increased in the controlled plot by 3.68kg/box and 5.15kg/10a more than in the damaged plot in autumn rearing season. 3. The content of total carbohydrate and water in mulberry leaves was clearly higher in the controlled plot than in the damaged plot. This may cause the earlier leave harding by damage in autumn.

  • PDF

Methods for Pest Control of Tropical Plants in the Greenhouse: Application of Natural and Auxiliary Plants Mix (온실 내 천적을 통한 해충 관리연구 - Acalypha hispida 등 8종의 관상식물을 중심으로)

  • Ahn, TaiHyeon;Goh, YeoBin;Bae, JunKyu;Lee, JeongHo;Lee, KiCheol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49-49
    • /
    • 2019
  • 국립수목원은 열대유용식물의 BT산업 원천소재 확보 제공을 목적으로 열대자원연구센터를 건립하여, 열대 및 아열대 전시원을 관리하고 있다. 온실의 특성상 일반 재배환경과는 다르게 여러 종류의 식물의 혼합 식재되어 있는 특성이 있어서 농업환경과 달리 해충의 급격한 돌발에 의한 온실 전체적인 피해의 위험성이 적은 반면에 안정된 환경으로 인해서 해충의 취약한 몇몇 수목의 경우 해충이 급격히 늘어날 수 있다. 본 실험은 여러 종류의 식물이 혼재되어 있는 수목 온실 내에서 생물적 방제를 이용하여 주요 해충류인 진딧물류 및 가루 깍지벌레, 잎응애류 방제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진행되었다. 진딧물이 집중적으로 발견된 열대식물 5종(Acalypha hispida, Justicia gendarussa, Hamelia patens, Ficus petersii, Hibiscus rosa-sinensis)을 중심으로 천적 방사 및 Banker plant 설치를 진행했다. 최초 조사일인 2015년 3월 10일, Tropical 1에 진딧물류의 발생이 많이 확인되어 포식성 천적인 미끌애꽃노린재를 투입했다. Tropical 2는 2015년 3월 17일 기생성 천적인 콜레마니진디벌과 선발된 Banker plant를 적용하여 방제 되었다. 철모깍지벌레가 발견된 열대식물 3종(Sanchezia parvibracteata, Brillantaisia lamium, Pseuderanthemum atropurpureum)을 중심으로 적용 천적으로 어리줄풀잠자리, 애홍점박이 무당벌레와 깍지무당벌레를 선별했다. 천적을 대상으로 철모깍지벌레에 대한 포식능력을 조사했으며 애홍점박이 무당벌레가 어리줄풀잠자리 보다 2.8배, 깍지무당벌레보다 2.9배 포식능력이 뛰어남을 확인했다. 잎응애류가 발견된 열대식물 2종(Acalypha wilkesiana, Erythrina caffra)은 천적으로 사막이리응애와 칠레이리응애를 적용하였다. 괭이밥응애 성충과 알의 포식력을 검증한 결과 사막이리응애가 괭이밥응애를 먹이로 증식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괭이밥, 괭이밥응애, 사막이리응애를 효과적으로 조합한 응애류 방제를 위한 새로운 Banker plant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는 열대온실의 열대식물 관리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종합적 방제의 관리 자료로 이용되어 새로이 온실을 조성하는 경우 식재기반조성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추후 열대식물의 자원 식물로서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