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입체 영상

Search Result 1,035,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Implement of a Real-Time Stereoscopic Image Converter (실시간 입체 영상 변환기 구현)

  • Ko, Yoon-Ho;Kim, Kyong-Won;Kwon, Byong-Heon;Choi, Myung-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535-538
    • /
    • 2003
  • 실시간으로 2차원 영상을 입체 영상으로 변환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으며 입체 영상 변환기를 구현하여 검증하였다. 입체 영상 변환기는 motion-parallax를 이용하여 물체의 움직임 방향과 속도에 관계없이 실감나는 실시간 입체 영상을 재생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입체 영상의 원리에 대해 논하였고 기존의 입체 영상 변환기에 기법에 대해 서술하였으며 실시간 알고리즘을 제안하였고 입체 영상 변환기의 구현 방법에 대해 서술하였다.

  • PDF

MPTCP based 3D Transmission Scheme Considering Mobility in PMIPv6 Networks (PMIPv6 환경에서 이동성이 고려된 MPTCP 기반 입체영상 전송 기법)

  • Youn, Joo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1a
    • /
    • pp.225-226
    • /
    • 2015
  • 본 논문은 PMIPv6 기반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입체영상을 송수신하는 멀티인터페이스 이동노드의 핸드오버 수행 시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MPTCP 기반의 입체영상 전송기법을 제안하다. 제안하는 입체영상 전송 기법은 입체영상 단말 이동 시 멀티인터페이스 간 입체영상으로 정의된 플로우의 플로우 이동성이 수행되며 플로우 이동성 발생 시 단대단 연결 단절 현상을 MPTCP Sublflow 기능을 통해 극복한다. 기존 기법에 비해 제안하는 기법은 데이터 손실 및 단대단 지연을 최소화하며 이동성 환경에서 입체영상의 좌우영상 싱크문제를 극복하는 방법이다.

  • PDF

Vergence Control Method of a Parallel-axis Stereo Camera (평행축 스테레오 카메라에서의 주시각 제어 방법)

  • 이광순;김형남;허남호;안충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2.11a
    • /
    • pp.297-301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신호처리를 이용한 평행축 입체 카메라의 주시각 제어 방법을 제시한다. 평행축 입체 카메라는 양안식 입체 카메라 중 가장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좌, 우 영상센서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어, 물체의 거리 변화에 따른 입체 영상 시차 조절 기능인 주시각 제어 기능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영상 센서 (CCD) 와 렌즈를 분리하고 영상 센서가 평행하게 수평으로 움직이며 주시각을 제어하도록 하는 수평 이동축 입체 카메라는 평행축 입체 카메라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지만, 실제 구현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시각 제어를 위한 CCD의 이동은 실제 영상에서 피사체의 이동으로 나타난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평행축 입체 카메라로 얻은 영상에서, CCD의 이동으로 인해 사라지는 부분만큼 제거하고 영상의 수평 수직 방향에서 원래 영상의 크기로 복원하기 위해 보간하는 과정을 통해 주시각 제어를 구현한다. 제안된 방법을 통해 얻어진 실험 결과는 CCD의 이동량에 따라서 화질의 열화 정도가 다르게 나타남을 보여 주지만, 실제 시스템에서 CCD의 이동량은 크지 알기 때문에 화질 열화를 거의 느끼지 않으면서 주시각이 제어된 입체 영상을 얻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Development of Stereoscopic image editing tool using Image-based Modeling (영상 기반 모델링 기법을 이용한 입체 영상 저작도구 개발)

  • Han, Sang-Heon;Yun, Chang-Ok;Park, Hyun-Woo;Kim, Jung-Hoon;Lee, Young-Bo;Lee, Dong-Hoon;Yun, Tae-Soo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1087-1092
    • /
    • 2006
  • 몰입도가 높은 가시화 기법 중 하나인 입체 영상은 차세대 미디어의 표준으로 최근 크게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일반 2차원 영상과는 달리 입체 영상은 3차원의 기하정보가 존재해야만 영상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3차원의 기하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2차원 영상을 이용한 입체 영상의 저작은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 본 논문은 영상 기반 모델링 기법을 활용하여 단안 영상으로부터 입체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입체 영상 저작 도구를 제안한다. 이를 위해 입력된 영상에서 사영 기하 정보를 사용하여 깊이 정보를 추론함으로써 3차원 환경을 구성하는 전역 깊이 정보 추출 방법과 영상 내에 존재하는 사물의 정확한 깊이 정보로 수정하기 위한 부분 깊이 정보 수정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추출한 깊이 정보로부터 몰입감이 높은 입체 영상의 시점을 결정하기 위한 대화식 입체 영상 미리 보기 기능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은 2차원 영상 저작 도구인 포토샵의 플러그인으로 구현함으로써 범용성을 높였다.

  • PDF

Technology of Stereoscopic Video Compression Using MPEG-2 (MPEG-2를 이용한 입체영상 신호압축 기술)

  • Kim, Do-Nyeon;Lee, Myeong-Ho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1 no.3 s.41
    • /
    • pp.15-19
    • /
    • 1996
  • 입체 영상은 입체 영화, 영상 회의, 비디오 게임,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프레젠테이션, 수술, 가상현실, 가상여행, 가상쇼핑 등에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분야에 이용되기 이전에 기술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부분들이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발이 필요하고, 대용량의 데이터를 쉽게 조작하고 저장하며, 전송하기 위하여 효율적으로 입체영상신호를 디지털 압축할 수 있어야 한다. 본 고에서는 입체 영상의 원리 및 촬영과 디스플레이 방식에 대하여 비교하였으며, MPEG-2 표준화 기관에서 진행중인 입체영상 신호압축 기술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Maximum Positive/Negative Screen Parallax for Creation of High quality Stereoscopic 3D Contents (고품질 3D 입체영상 제작을 위한 최대 스크린 시차(Max Parallax) 제안)

  • Park, Byung-Jin;Jung, Jae-Woo;Park, S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11a
    • /
    • pp.333-336
    • /
    • 2011
  • 스테레오스코픽 3D 입체영상은 좌/우 영상의 시차(視差)를 이용하여 시청자로 하여금 2D 영상에서 느낄 수 없었던 가상의 입체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가상의 입체감은 주로 좌/우 영상의 수평시차를 통해서 구현되며, 수평시차의 많고 적음에 의하여 피사체의 원근(遠近)이 조절된다. 시차가 지나치게 작을 경우 3D 입체영상은 2D와 다를 바 없이 평면으로 보이거나, 피사체의 볼륨감이 사라져서 종이인형들이 단순히 층을 나뉘어서 배열된 것처럼 보이게 된다. 반대로 시차가 지나치게 클 경우 좌/우 영상은 하나로 융합되어 입체감을 형성하지 못하고 이중상으로 관측되게 된다. 이렇듯 3D 입체영상에서 수평시 차의 크기는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에도, 프로그램 제작시 적절한 시차를 결정하는 판단기준이 부족하며 최대 시차에 대한 기준도 모호하여, 촬영자나 컴퓨터 그래픽스 작업자의 감(感)에 의하여 입체영상 콘텐츠 제작이 이루어지고 있어, 고품질 3D 영상 제작의 장애요인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NPP(Native Pixel Parallax) 계산을 바탕으로 입체영상의 시차는 스크린 크기별로 달라질 수 있음을 살펴보고, 좌/우 영상의 시차가 가상깊이로 환산되는 과정을 분석하여, 3D 방송에 적합한 최대 시차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3DTV System Adaptive to User's Environment (사용자 환경에 적응적인 3DTV 시스템)

  • Baek, Yun-Ki;Choi, Mi-Nam;Park, Se-Whan;Yoo, Ji-Sang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2 no.10C
    • /
    • pp.982-989
    • /
    • 2007
  • In this paper, we propose a 3DTV system that considers user's view point and display environment. The proposed system consists of 3 parts - multi-view encoder/decoder, face-tracker, and 2D/3D converter. The proposed system try to encode multi-view sequence and decode it in accordance with the user's view point and it also gives a stereopsis to the multi-view image by using of 2D/3D conversion which converts decoded two-dimensional(2D) image to three-dimensional(3D) image. Experimental results shows that we are able to correctly reconstruct a stereoscopic view that is exactly corresponding to user's view point.

Visual textuality of stereoscopic 3D animation (3D 입체 애니메이션의 영상 특징에 대한 연구)

  • Jeon, Gyong-Ran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20
    • /
    • pp.31-45
    • /
    • 2010
  • Stereoscopic 3D animation contents are in the rise as a key part of contents market. Major animation studios are planning to produce 3D animations in a stereoscopic process. This study aims at understanding the visual textuality of 3D animation contents at its early stage. To understand 3D animation, , are analyzed. Stereoscopic 3D animations are exploring the new visual aesthetics using the specific storytelling, sequence ordering, camera working, shot size and camera angles etc. Based on these visual textualities, stereoscopic 3D animations are constructing telepresence, multi-senses of individual spectators. Stereoscopic 3D animations have formed their own aesthetics and cultural meanings in the digital age.

  • PDF

Interactive 3D Stereoscopic Image Editing System using Image-based modeling (영상 기반 모델링 기법을 이용한 대화식 3차원 입체 영상 저작 시스템)

  • Yun, Chang-Ok;Yun, Tae-Soo;Lee, Do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dustrial and Applied Mathematics
    • /
    • v.10 no.2
    • /
    • pp.53-66
    • /
    • 2006
  • Recent technique has shown high interest in 3D stereoscopic image, one out of high immersion appearance techniques. Unlike general 2D image, 3D stereoscopic image is generated by 3D geometric information. Therefore, the lack of 3D geometric information sometimes imposes restrictions or makes editing more tedious. We propose a new unsupervised technique aimed to generate stereoscopic image which is estimated by depth-map information using image-based modeling from a single input image. The proposed system is implemented as the Adobe Photoshop(R) plug-in for considering generality and expandability, and also supports a preview function of interactive 3D stereoscopic image to determine stereoscopic view of high quality.

  • PDF

Subject Test Using Electroencephalogram According to Variation of Autostereoscopic Image Quality (무안경 입체영상의 화질변화에 따른 뇌파 기반 사용자 반응 분석)

  • Moon, Jae-Chul;Hong, Jong-Ui;Choi, Yoo-Joo;Suh, Jung-Keun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5 no.4
    • /
    • pp.195-202
    • /
    • 2016
  •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subject tests for 3D contents using 3D glasses, but there is a limited research for 3D contents using autostereoscopic displa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o assess usability of electroencephalogram (EEG) as an objective evaluation for 3D contents with different quality using autosteroscopic display, especially for lenticular lens type. The image with optimal quality and the image with distorted quality were separately generated for autostereosopic display with lenticular lens type and displayed sequentially through lenticular lens for 26 subjects. EEG signals of 8 channels from 26 subjects exposed to those images were detected and correlation between EEG signal and the quality of 3D images were statistically evaluated to check differences between optimal and distorted 3D contents. What we found was tha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for a wave vibration, however b wave vibration shows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optimal and distorted 3D contents. b wave vibration observed for the distorted 3D image was stronger than that for the optimal 3D image. This results suggest that subjects viewing the distorted 3D contents through lenticular lens experience more discomfort or fatigue than those for the optimum 3D contents, which resulting in the greater b wave activity for those watching the distorted 3D content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confirm that electroencephalogram (EEG) analysis can be used as a tool for objective evaluation of 3D contents using autosteroscopic display with lenticular lens 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