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입자 유실

Search Result 49,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Loss of Some Cationic Zeolites and Changes of Hydraulic Conductivity in a Vertical Sand Column (수직(垂直) Sand Column 내에서의 수종염기 Zeolite의 유실(流失)과 수리전도도(水理傳導度)의 변화(變化))

  • Kang, Shin-Jyung;Choi, Jyung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18 no.4
    • /
    • pp.352-358
    • /
    • 1985
  • Loss of cationic zeolites saturated with different ions, sodium, potasium, ammonium, magnesium and calcium ions, and changes of hydraulic conductivity were investigated in labortory. The 0.5 to 1mm sands and the zeolite particles passed 0.1mm sieve were used in the column tests. The amount of zeolite particle loss was in order of Na- > K- > $NH_4-$ saturated zeolites, and little loss was observed from Mg and Ca saturated zeolites. The loss of zeolite particles was mainly due to dispersion in solution, which was prominant when 0.01N dilute mono ionic solution and distilled water were percolated.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changes in hydraulic conductivity were greater in the columns where the loss of dispersed zeolite particles was higher.

  • PDF

Effect of Void Formation on Strength of Cemented Material (고결 지반 내에 형성된 공극이 강도에 미치는 영향)

  • Park, Sung-Sik;Choi, Hyun-Seok;Kim, Chang-W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0 no.2C
    • /
    • pp.109-117
    • /
    • 2010
  • Gas hydrate dissociation can generate large amounts of gas and water in gas hydrate bearing sediments, which may eventually escape from a soil skeleton and form voids within the sediments. The loss of fine particles between coarse particles or collapse of cementation due to water flow during heavy or continuous rainfall may form large voids within soil structure. In this study, the effect of void formation resulting from gas hydrate dissociation or loss of some particles within soil structure on the strength of soil is examined. Glass beads with uniform gradation were used to simulate a gas hydrate bearing or washable soil structure. Glass beads were mixed with 2% cement ratio and 7% water content and then compacted into a cylindrical sample with five equal layers. Empty capsules for medicine are used to mimic large voids, which are bigger than soil particle, and embedded into the middle of five equal layers. The number, direction, and length of capsules embedded into each layer vary. After two days curing, a series of unconfined compression tests is performed on the capsule-embedded cemented glass beads.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of cemented glass beads with capsules depends on the volume, direction and length of capsules. The volume and cross section formed by voids are most important factors in strength. An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of a specimen with large voids decreases up to 35% of a specimen without voi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predict the strength degradation of gas hydrate bearing sediments in the long term after dissociation and loss of fine particles within soil structure.

Stability evaluation of eco-friendly materials according to particle size characteristics of bed materials at High-Velocity Flow (고유속 흐름에서 하상재료의 입도특성에 따른 친환경적 재료의 안정성 평가연구)

  • Kim, Gwang Soo;Jung, Dong Gyu;Kim, Young Do;Park, Yong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21-221
    • /
    • 2020
  • 최근 기후 변화에 따라 국내 하천은 급격한 유량 증가로 인해 하상의 변화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홍수시 하상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유량 및 유속, 하상재료의 종류 및 대표입경, 입자의 특성 등이 있으며, 이런 요인들은 하상재료의 유실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또한, 하상재료의 유실에 영향을 미치는 하상재료의 단위중량, 대표입경, 재료의 특성과 관련이 있으나, 현재 까지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하상재료의 한계조건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된 연구는 국내에서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하상의 재료의 종류, 입자의 특성, 입자의 크기에 따라 재료가 가지는 한계 유속과 한계 소류력의 영향력을 파악하고자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실험 수로는 인제대학교에서 개발한 무경사형 고속수로(Jung. 2019)는 수조 제원 가로 1.5 m, 세로 0.95 m, 높이 2.4 m, 수로는 개수로의 형태로 총 길이 10 m, 폭과 높이는 각각 0.3 m인 무경사 고속수로에서 진행되었으며, 사용된 재료는 일반 하천에서 사용되고 있는 모래, 황토를 이용하여 적정 비율을 섞어 시료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시료는 하천설계기준에 제시되어 있는 재료에 대한 등급을 비교했을시, 2-3등급 사이의 재료로 판단되며, 모래와 황토의 비율이 50:50 일때 입도 분포가 가장 좋은 재료로 나타났으며, 제작된 시료를 수로에 삽입하여 유하 전후를 수위센서를 통해 세굴율을 측정하였다. 세굴 측정시 모래 100%로 제작된 시료가 가장 많은 세굴이 일어났으며, 모래 25%, 황토 75%로 이루어진 시료가 가장 적은 세굴이 일어났다. 바이오폴리머의 강도 증진을 보기 위해 세굴이 가장 심하거나, 세굴이 적은 재료에 바이오 폴리머를 섞어 추가 실험을 진행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친환경적인 하상재료의 한계유속, 한계소류력에 대한 안정성평가를 진행하여 재료의 안전성에 대해 평가하고 기초자료로 기여하고자 한다.

  • PDF

Effect of Cover Crop Hairy Vetch on Prevention of Soil Erosion and Reduction of Nitrogen Fertilization in Sloped Upland (경사지 밭토양 유실억제 및 질소비료절감에 대한 피복작물 헤어리벳치의 효과)

  • Seo, Jong-Ho;Park, Jong-Yeol;Song, Duk-Young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38 no.3
    • /
    • pp.134-141
    • /
    • 2005
  • Cultivation of winter cover crops and its soil utilization for summer main crops in slope upland is very important at the respects of diminution of soil erosion and non-point pollution source. The effects of cover crop, hairy vetch as no-tillage or conventional tillage on prevention of soil erosion and reduction of chemical nitrogen fertilization were investigated in the slope upland with whiter clover living mulch (partial tillage) in Suwon for three years and with rye (conventional tillage) in Hongcheon for two years, respectively. In Suwon, amounts of soil lost by rainfall runoff decreased as much as 90% by hairy vetch-no tillage (HV-NT), white clover-partial tillage (WF-PT) together with the decrease of rainfall runoff compared to winter fallow with conventional tillage (WF-CT). In addition, amounts of weed also decreased as much as 80-90% by HV-NT and WF-PT. Corn yield decreased much at the plot of WF-PT mainly due to competition for soil water and nutrients between clover and corn at the early corn growth stage. On the contrary, corn yield increased by HV-NT compared to WF-CT regardless of weed control. In Hongcheon, amounts of soil eroded during winter season before corn seeding were reduced as much as 95% by cultivation of hairy vetch and rye compared to winter fallow. Amount of soil eroded during waxy corn growing season was reduced as much as 98% by HV-NT compared to WF-CT. Also, soil incorporation of hairy vetch and rye as green manure with conventional tillage at corn seeding time could reduce soil erosion as much as 70% compared to no soil cover with conventional tillage. Ear yields of waxy corn were increased 10% higher at hairy vetch green manure (HV-CT) without nitrogen fertilizer, 20% higher at HV-NT with standard nitrogen fertilizer, respectively than WF-CT. But ear yields of waxy corn were decreased by rye green manure (R-CT) and HV-NT at the condition of no nitrogen fertilizer. It was concluded that hairy vetch was better as winter cover crop to reduce both soil erosion and chemical nitrogen fertilizer simultaneously in slope upland than other cover crops.

해운대 해빈의 해수순환계와 표사이동에 관한 연구

  • 정병철;강효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8.09a
    • /
    • pp.20-23
    • /
    • 1998
  • 현재 해운대 해빈의 사빈이 유실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상태에 있다. 또한 현장 관측자료의 결핍으로 해운대 해빈 부근의 해수순환패턴과 표사이동을 포함한 해빈변형기작의 규명이 곤란하다. 따라서 해안선 부근의 파랑을 관측하여 실제 현장에서의 연안류 및 연근해 해수순환계의 존재를 밝히고, 그와 관련하여 해안선 부근의 표사이동 양상을 밝히고자 한다. 해운데 해빈에서 파랑의 물입자 운동을 관측하기 위하여 3, 5, 8, 10월에 11, 8, 7, 12개의 정점을 정하여 유속을 측정하였다. (중략)

  • PDF

Effects of Grain Size on Relationship between Microtopographic Roughness and Soil Erosion Rate (토양 입경이 미세지형의 거칠기와 토양침식률 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 Soyoung Kim;Dae-Hong Kim;Tae-young Soh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16-216
    • /
    • 2023
  • 가속적인 토양침식은 토지의 환경 및 생태계의 지속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그 양을 예측하여 토양침식을 방지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에 따라 식생, 지형, 토양의 입도분포 등과 같은 토양침식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관한 연구가 꾸준히 이뤄지고 있다. 특히 자연 지형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cm' 규모의 미세지형이 토양침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기존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유역 출구 지점에서 관측된 총 유사유출량에만 근거하고 있을 뿐 아니라 토양침식에 미치는 미세지형의 영향에 관한 상반된 결과가 혼재하고 있다. 이는 유역의 토양침식과정에 대한 이해도와 토양침식량에 대한 예측 정확도를 저하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미세지형이 토양침식에 미치는 영향을 유역 전반에 걸쳐 살펴본 후, 명확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동역학파 모형에 기반한 침식 모형을 이용하여 미세지형에서의 강우-유출 및 토사 입자별 침식 및 유출 현상을 수치적으로 모의하였다. 모의 결과에 따르면, 동일한 강우-유출 조건에서도 미세지형의 거칠기에 따라 유역의 토양침식량 및 침식 특성이 달라질 수 있으며, 토양 입경이 미세지형의 거칠기에 따른 유사유출량의 증감 현상을 결정하는 데에 있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함을 제시하였다. 미세지형이 거칠어짐에 따라 비교적 굵은 입자인 모래 함량이 높은 지반에서는 토양침식률이 감소하였으나 이와 대조적으로 미세토사 함량이 높은 지반에서는 토양침식률이 증가하였다. 이는 미세지형이 유역 전반에 걸쳐 입경에 따른 토사의 부상, 이류 및 퇴적 특성에 영향을 미쳐, 유역의 유사 분급 및 장갑화 현상에 깊게 관여하였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통해 토양유실에 미치는 미세지형의 영향에 관한 상반된 연구 결과를 미세지형과 토양 입경분포의 상호작용으로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역 내 미세지형적 거칠기 입경분포에 대한 정확한 정보에 기반하여 토양의 유실량 및 침식량을 산정해야 함을 강조한다.

  • PDF

A review on estimation and comparison of rainfall kinetic energy using disdrometer: a case study of Sangju (광학우적계를 활용한 강우 운동에너지 산정 및 비교에 관한 연구: 상주지역을 중심으로)

  • Yeon, Min Ho;Van, Linh Nguyen;Song, Min Geun;Lee, Gi 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29-129
    • /
    • 2022
  • 국내에서 발생하는 토양침식(soil erosion)은 주로 강우에 의해 발생하며, 이로 인해 농경지 유실, 탁수 발생, 하천 통수능 저하 등 여러 수문학적·환경적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유역 내 토양침식 위험지역을 선별하고, 해당 지역의 토양유실 및 유사의 발생량을 산정하는 것은 토양보전 대책 수립 시에 중요한 지표로 활용된다. 침식-유사유출의 물리적 과정은 크게 '강우에 의한 토양 분리(detachment by raindrop)'와 '지표류에 의한 토양 분리(detachment by overlandflow)'로 나눌 수 있으며, 그중 강우에 의한 토양 분리는 수침식(water erosion)의 첫 번째 과정 중 하나로 강우 시 낙하하는 강우 입자들이 갖는 운동에너지가 지표면을 타격할 때 토양체로부터 토양입자가 분리되는 과정이다. 따라서 강우에 의한 토양분리량 산정을 위해서는 강우 운동에너지(rainfall kinetic energy, KE)의 정확한 계산이 요구된다. 그러나 기후 및 지리적 특성 등 여러 조건에 따라 강우 운동에너지는 지역마다 다르게 나타나며, 이로 인해 강우 운동에너지 추정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강우 운동에너지 추정은 주로 강우강도(rainfall intensity, I)와의 관계를 이용한 함수식을 활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 지역인 상주지역에 광학우적계(disdrometer)를 설치하여 2020년 6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관측된 37개의 강우 사상에 대하여 KE-I의 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강우 운동에너지식을 도출하였다. 또한, 기존에 국외 및 국내에서 제시된 선형(linear), 멱함수(power-law function), 지수함수(exponential function) 형태의 강우 운동에너지 공식과 본 연구에서 산정된 KE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비체적 강우 운동에너지에서 Sanchez-Moreno et al. (2012)가 제안한 멱함수 형태의 공식이, 비시간 강우 운동에너지에서 Kinnel (1981)이 제안한 지수함수 형태의 공식이 각각 강우 운동에너지 추정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Construction Technology and the Environmental Effect of Geotextile Tube (지오텍스타일 튜브의 시공방법 및 환경적 영향에 관한 연구)

  • 신은철;오영인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7 no.5
    • /
    • pp.137-145
    • /
    • 2001
  • 지오텍스타일 튜브공법은 준설토, 준설모래, 오염토사 등을 수리학적 채움을 통하여 해양구조물이나 수리학적 구조물을 축조하는 공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오튜브공법의 국내적용을 위하여, 미국공병단의 최소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지오텍스타일을 선정하여 다양한 실내시험과 현장 적용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내시험은 지오텍스타일과 토사간의 접촉마찰특성 분석을 위하여 대형직접전단시험을 실시하였으며, 해양구조물 설치시 파도와 조수의 영향으로 인한 토사유출량 분석을 위한 유실율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오염토사를 채움토사로 적용할 경우에 장.단기 환경적 영향에 대한 환경시험을 실시하였다. 현장시험은 실내모형시험을 바탕으로 토사와 물의 슬러리 혼합비율에 따른 지오텍스타일 튜브 채움방법 및 유효높이 및 단위중량 등의 계측을 실시하였다. 각종 실내 및 현장시험결과, 채움토사입자의 유실율은 약 5.0~6.0%를 유지하였으며, 지오텍스타일의 투수계수는 $\alpha$$\times$$10^{-4}$cm/sec 이상이 되어야 하며, 물과 토사의 혼합비율은 6:4이상이 되어야 한다. 환경적 영향 분석결과, 오염토사의 적용시 국내환경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리학적 펌핑 압력에 대한 지오텍스타일 튜브의 최대 유효높이는 튜브 전체높이의 약 80%의 채움이 완료되었을 시점인 것으로 판단된다.다.

  • PDF

Stability Evaluation on Particle Size Characteristics of Bed Materials at High-Velocity Flow (고유속 흐름에서 하상재료의 입도특성에 따른 안정성 평가연구)

  • Kim, Gwang Soo;Jung, Dong Gyu;Kim, Young Do;Park, Yong Su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1 no.4
    • /
    • pp.365-376
    • /
    • 2021
  • In general, domestic streams and rivers are composed of alluvial rivers consisting of sand and gravel beds. These rivers can cause erosion and riverbed changes due to sudden changes in flow rates, such as floods, torrential rains, and heavy rains. In particular, there are various types of erosion, such as contraction erosion caused by changes in river shape, or local erosion occurring around obstacles such as piers, abutments or embankments. In addition, river changes can occur in various forms, such as static or dynamic periods, due to limitations such as flow rate, velocity, and shear stress. This study focused on the erosions of embankments directly related to human casualties among various river structures, and evaluated limit velocities and critical shear stress in order to identify changes in strength of natural materials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hoan materials and resistance to erosions. In particular, the limitations of materials according to the type of materials in the river,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and size of particles were studied using Soil loss, which is a change in the volume of the revetment material, and it is intend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river design and restoration.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depositional patterns of debris flow (횡단 배수로 내 토석류 퇴적 양상의 실험 연구)

  • Kim, Young-Il;Paik, Joong-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8-42
    • /
    • 2011
  • 토석류는 산간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장 위험한 자연재해 중 하나로 입자-유체 혼합물인 토석류가 중력에 의해 매우 빠른 속도로 이동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산간지역에서의 토석류 발생은 도로의 횡단 배수 구조물의 통수능을 저하시키게 되며 그 결과 도로의 유실 등 막대한 피해를 발생시킨다. 잠재적인 토석류 발생 지역에서의 피해 저감을 위해서는 진보된 설계 기준이 마련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토석류의 횡단 배수구조물 내에서 토석류의 동적 거동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수리 실험을 통하여 횡단 배수구조물 내에서 토석류의 퇴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수리 실험 장비는 폭이 일정한 사각형 수로로 접근 수로와 하류부 수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접근수로의 상단부에서 일정한 유량의 토석류를 연속적으로 유입시켜 경사가 급변하는 하류부 수로 내에서의 토석류 퇴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실험 결과로 토석류의 거동 특성은 토석류의 체적 농도, 입자의 특성, 그리고 접근수로와 하류부 수로의 바닥 경사에 종속됨을 정량적으로 알 수 있었다. 또한, 토석류의 체적 농도나 수로 바닥경사 등과는 상관없이 토석류의 퇴적은 하류부 수로의 종단부인 자유 낙하 지점에서부터 시작되었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퇴적 지점이 접근 수로 쪽으로 이동하며 퇴적량이 크게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다. 이 때, 하류부 수로 내 퇴적된 토석류는 약 $12{\sim}15^{\circ}$의 경사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