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입면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33초

연세대학교 스팀슨관, 언더우드관, 아펜젤러관 평면구성의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Comparison with Characteristics of the floor plan of Stimson hall, Underwood hall, Appenzeller hall in Yonsei University)

  • 안대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423-431
    • /
    • 2016
  • 본 연구는 연세대학교의 주요 건물인 언더우드관, 아펜젤러관, 스팀슨관의 평면계획에 대한 특징을 비교 검토하고자 한다. 이 건물들은 일제강점기에 서양 선교사들에 의해 건립된 대표적인 대학으로서 가치가 있다. 게다가, 이 건물들은 마스터플랜을 먼저 제작하고 각각의 건물들이 건립되었다. 그래서 이 건물들은 많은 공통점을 가지지만 반면에 각 건물들은 개별적인 특성 또한 가지고 있을 수밖에 없다. 이 연구는 각 건물들의 계단, 복도, 홀 등의 공용공간을 비교 분석하여 각 건물들의 서로 다른 점을 특징으로서 찾아보고자 하는데 첫 번째 목적이 있다. 각 건물들은 서로 다른 기능을 포함하여야 했기 때문에 평면 계획에서 공용공간과 각 실들의 배치 방식 등이 서로 다르게 적용될 수밖에 없었다. 두 번째로는 평면 계획과 마스터 플랜, 입면 계획, 구조계획 등 다른 건축 계획과의 연관성을 찾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관성은 각 건물들이 가진 평면계획의 개별적인 특징들이 각 건물의 전반적인 건축계획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알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소나무, 주목, 느티나무 그리고 단풍나무의 입면 NDVI 비교 분석 - 강원대학교 내 조경수목식재종을 대상으로 - (Analysis of Elevation NDVI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for Taxus cuspidata, Pinus densiflora, Zelkova serrata and Acer palmatum - Focused on landscaping trees i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길승호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151-160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by using a Nikon Coolpix S800c camera equipped with a NIR filter to measure the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It was used for the measurement of the three trees of Pinus densiflora, Taxus cuspidata, Zelkova serrata and Acer palmatum i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The NDVI value of the surface of the building was compared and analyzed. The average value of NDVI in August and September was high in all species. The NDVI distribution of Taxus cuspidata was higher than the other trees. The NDVI distribution of Pinus densiflora and Taxus cuspidata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seasonal differences, but The NDVI distribution of Zelkova serrata and Acer palmatum were relatively low in May and June, which are leafless periods. Previous studies related to NDVI value were generally analyzed using satellite imagery. However, it was scarce related to study the NDVI value of each tree or study the changing process of NDVI by time series. Previous studies have used NDVI values on the ground but this study used NDVI values in the ground section. Future studies will be necessary to measure the NDVI value at different times for various species and also to make efforts to generalize the measurement method. In addition, research related to various fields such as the relationship between NDVI and carbon stocks and the relationship with LAI needs to be conducted.

다중영상시스템을 이용한 건축물의 도형정보취득 (Graphic Information Acquisition of Architectures using Multi-Image System)

  • 이재기;박경식;정성혁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7-105
    • /
    • 1997
  • 최근가지는 건축물을 정확히 기록 보존하는 방법으로 실측에 의한 방법이 주로 이용되어 왔으나, 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숙련도에 따라 정확도가 좌우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 이르러 정보산업의 급속한 발달로 지형정보체계의 자료기반구축 및 갱신에 있어서 빠르고 정확한 정보의 취득이 요구되는 실정이지만 기존의 방법으로는 신속·정확한 갱신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다 간편하고 경제적이며 정확한 근거리 사진측량기법을 이용하여 건축물을 정밀관측하고, 획득된 영상을 다중영상접합기법을 이용하여 처리함으로써 3차원 수치모형을 생성하고자 한다. 또한 완성된 건축물의 입면, 평면등을 다중영상접합에 의해 정밀도화 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하고, 해석적 방법을 정립하여 각 부재의 정확한 치수와 3차원 좌표를 결정하므로써 필요시 건축물의 정확한 준공도면 등의 자료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사랑채 누마루와 사랑마당 및 외부차경공간의 시각적 관계 -영남지방 조선시대 15~16세기 상류주택을 중심으로- (Visual relationships between Sarangche Numaru, Sarang Madang and Outer space)

  • 김영현;신문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6135-6142
    • /
    • 2012
  • 본 연구는 15~16세기에 형성된 영남지방 상류주택을 대상으로 입지별 상류주택의 사랑채 내부 공간, 누마루의 기능, 규모, 유형 등을 통해 사랑채 누마루의 입지별 특성을 비교하고 또한 입지별 사랑채 누마루와 사랑마당 및 외부차경과의 시각적 관계를 분석하여 조선 초기 사랑채 누마루의 입지별 내 외부 공간 특색의 차이점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구릉지형의 경우 좌향과 상관없이 사랑마당과 접하는 누마루의 면이 단변을 이루고, 평지형의 경우 구릉지형과 달리 사랑마당과 접하는 누마루 면이 장변을 이루었다. 둘째, 구릉지형은 사랑마당이 주조망의 대상이 아니며 주변 산세를 조망하는 보조적인 역할을 하며, 평지형은 사랑마당이 조망의 대상이면서 구릉지형과 달리 사랑마당 안에 내부정원을 형성하고 개방된 입면을 형성한다. 셋째, 구릉지형은 조산을 외부차경으로 활용하며 평지형은 사랑마당을 조망대상으로 활용하고 사랑마당의 기능이 다양화되면서 내부정원을 형성하는 차이가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근대기 철도공장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용산공장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olling Stock Workshop to Analyze the Contribution to the Modern Korean Architecture)

  • 이상행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2권6호
    • /
    • pp.1049-1058
    • /
    • 2009
  • 한국의 철도공장은 철도도입과 함께 설립되었고 근대기 산업건축의 중심이 되었다. 한국 철도공장의 대표적 사례인 용산공장에는 근대기 건물이 다수 현존하는데, 특히 규모를 잘 보존하고 있어 이를 중심으로 근대기 건물의 건축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국의 철도공장은 입지조건이 적합한 곳에 건립되었고, 작업공정에 따른 시설 배치, 각각의 용도와 기능에 따른 독특한 구조 및 단면 입면의 형태를 갖고 있고 철골구조와 철근콘크리트 구조를 적극 도입하여 구조적 변환기로서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철도공장이 한국 근대 공장건축의 초기적 특성을 갖고 있고 한국 근대기의 산업건축유산으로써, 중요한 가치를 지닌 과제임을 밝히려 한다.

1990년 이후 농촌주택 표준설계도의 입면과 지붕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to the Elevation and Roof of the Standard Rural-House Design After 1990's)

  • 황용운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23-30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levations of standard rural house designs after the 1990's. Various types of analysis were carried out on a total of 18 different sizes and 50 types of designs with p'yong sizes ranging from 12 to 44. The objects of analysis are the various elevations & the roof types that were supplied in the standard rural house design according to each year 1995 (8 sizes 20 types), 1997 (8 sizes 8 types), 1998 (l size 8 types), 2000 (2 sizes 4 types), 2001 (2 sizes 4 types), and 2004 (3 sizes 6 types). Results from the analysis demonstrate that (1) The gable roof has been used as the roofing type for standard rural house design since 1990. However the roof types of the standard rural house design includes only a few different types of gable roofs and roof materials(most roof types use asphalt shingle). (2) While most front elevations have been altered from asymmetrical to symmetrical most rear elevations have evolved from symmetrical to asymmetrical proportions since the 1990's (3) While siding materials and red-brick were most commonly used the main outer-wall materials prior to 2000, environmentally-friendly materials have been used as outer-wall materials since 2000. (4) In terms of the analysis of outer-wall objects before 2000 the walls were even, yet after 2000 these outer-walls evolved to become concave-convex walls. In other words, the evolution of the outer-wall has included a variety of wall types.

대학(大學) 캠퍼스 광장(廣場)의 시대적(時代的) 변천(變遷) : 시각적(視覺的) 사례(事例) 분석(分析) (An Open Space of College Campu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 A Visual Analysis of Cases)

  • 민창기
    • 교육시설
    • /
    • 제9권2호
    • /
    • pp.25-35
    • /
    • 2002
  • This paper is to evaluate an open space on university campuses enclosed within buildings, with respect to building elevation a wall of an open space including outer wall materials and window forms and an open space itself. It uses case study methods to periodically know specific details about open spaces and surrounding buildings elevation. It was found, at first, that it was emphasized vertical elements on window frames as well as building elements in an era of the 1910's to the 1930's. It, however, was changed into emphasizing on horizontal features in the era of the 1960's to the 1970's. Meanwhile the period from the 1940's to the 1950's was a turning point. The horizontal style was continued until the 1980s and the style was changed into various style mixed with various types. Secondly, an open space was recognized as a valuable design criteria for a construction of buildings in the 1930s to the 1970s. It was, however, a forgotten criteria during the late 1970's and the 1980's because of short age of the construction budget of the government. In the 1990's, the importance of open space design reappeared on the design of a block plan. Thirdly, a design style of an open space was authoritarianism using symmetrical and magnificent style in the 1910's to the 1930's. The time of 1945 to the 1950's was a turning point from authoritarianism to an idea of efficiency. In the 1960's and the 1970s, an idea of efficiency emphasizing their functions was prevalent to the design of buildings and open spaces and this trend was continued until the 1980's. A romanticism was realized on the design of an open space and surrounded building's.

건물 적용 유형별 공기식 BIPVT 유닛의 전기 및 열성능 비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Comparisons of Air Type BIPVT Collector Applied on Roofs and Facades)

  • 강준구;김진희;김준태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0권5호
    • /
    • pp.56-62
    • /
    • 2010
  • The integration of PV modules into building facades or roof could raise their temperature that results in the reduction of PV system's electrical power generation. Hot air can be extracted from the space between PV modules and building envelope, and used for heating in buildings. PV/thermal collectors, or more generally known as PVT collectors, are devices that operate simultaneously to convert solar energy from the sun into two other useful energies, namely, electricity and heat. This paper compares the experimental performance of BIPVT((Building-Integrated Photovoltaic Thermal) collectors that applied on building roof and facade. There are four different cases: a roof-integrated PVT type and a facade-integrated PVT type, the base models with an air gap between the PV module and the surface, and the improved models for each types with aluminum fins attached to the PV modules. The accumulated thermal energy of the roof-integrated type was 15.8% higher than the facade-integrated regardless of fin attachment. The accumulated electrical energy of the roof-integrated type was 7.6% higher, compared to that of the facade-integrated. The efficiency differences among the collectors may be due to the fact that the pins absorbed heat from the PV module and emitted it to air layer.

계지감초용골모려탕(桂枝甘草龍骨牡蠣湯)이 치오펜탈 나트륨으로 유도된 수면의 입면 및 수면 시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yejigamchoyonggolmoryeo-tang on sleep latency and total duration of sleep induced by thiopental sodium in mice)

  • 김태연;임강현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29-34
    • /
    • 2020
  • Objectives : Gyejigamchoyonggolmoryeo-tang (GT, Guizhigancaolonggumulitang in Chinese) is a herbal medicine to be prescribed for insomnia caused by anxiety induced by Heart-Heat and elevated Liver-Yang. In the present study, the onset time (sleep latency) and the duration time of sleep were measured to find out the sleep inducing effects of GT. The expression of c-fos immunohistochemistry was also measured at the ventrolateral preoptic area (VLPO) and tuberomammillary nucleus (TMN) site in brain. Methods : The onset time (sleep latency) and the duration time of sleep were measured 30 minutes after thiopental sodium injection. Thereafter, brain tissue was obtained and c-fos immunohistochemistry was performed on the VLPO and TMN sites. Results : G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reduced the sleep latency required to enter sleep, and significantly increased sleep duration time. G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number of c-fos immunohistochemical staining-positive cells in the sleep-inducing center (VLPO), whereas GT significantly decreased the number of c-fos immunohistochemical staining-positive cells in the arousal center (TMN). Conclusions :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GT shortened the sleep latency and increased the duration time for sleep induced by thiopental sodium.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echanism was to stimulate the sleep-inducing center (VLPO) and suppress the arousal center (TMN) in the brai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considered to be useful as scientific evidence that can be used clinically for the treatment of insomnia caused by anxiety.

노출콘크리트 마감공법의 시공 프로세스 분석을 통한 설계 시공관리 방안 (The Design and Construction Management of Exposed Concrete Finish Work through the Construction Process Analysis)

  • 송영웅;최윤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6권6호
    • /
    • pp.160-170
    • /
    • 2005
  • 노출 콘크리트 마감공법은 건축설계자의 입면 개념에 따라 일반 및 제물치장 콘크리트 마감공법과 더불어 다양한 마감품질과 표면형태를 나타내며 최근 적용사례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노출 콘크리트 마감공법은 설계 및 시공수준, 마감면의 품질 및 평활도, 색상 및 질감에 따라 타 콘크리트 마감공법보다 공사비 투입이 증가되고 체계적인 설계 및 시공관리가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노출 콘크리트 마감공법에 대한 정의가 불명확하고 설계, 시공, 유지관리 단계별 관리 방안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지 않아 원가상승, 시공품질 저하, 시공성 저하 등의 문제가 유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출 콘크리트 마감공법의 체계적인 관리방안 제시를 위하여 국내의 불명확한 노출 콘크리트 마감공법의 정의를 문헌조사 및 사례조사를 통하여 명확하게 제시하고, 노출 콘크리트 마감공법의 색채균일성, 균열발생 억제, 콘크리트 충전성확보 등 노출콘크리트 마감공법의 요구사항과 결함유형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노출 콘크리트 마감공법의 시공프로세스를 타 콘크리트 마감공법과 비교 분석하였으며, 노출 콘크리트 마감공법의 설계단계, 시공계획 및 관리단계, 유지 보수 단계별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