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플란트 실패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5초

상악 무치악 환자에서 Milled Bar와 ADD-TOC을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 수복 증례 (Implant-assisted overdenture using milled bar and ADD-TOC in edentulous maxilla: A case report)

  • 조용범;정창모;허중보;윤미정;이소현;김민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160-167
    • /
    • 2022
  • 잔존골 흡수가 진행된 상악 무치악 환자의 수복 계획시 전통적인 총의치로의 치료보다는 임플란트를 식립 한 뒤 milled bar와 가철성 보철물을 제작하여 attachment로 연결하는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우선적으로 고려할 수 있다. Milled bar와 attachment를 사용하면 상악 의치의 유지력 및 안정성의 증가뿐만 아니라 구개 피개 부위를 일부 감소시킬 수 있어 환자의 불편감을 줄여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소수의 임플란트를 식립 할 경우 상부 보철물을 milled bar로 제작하면 임플란트 고정체 간에 연결고정되는 효과가 있어 저작과 같은 기능 하에서 역학적으로 유리해진다. 본 증례의 환자는 기존의 실패한 임플란트를 제거한 뒤 잔존 치조골이 상당량 소실된 상악 무치악 환자로 양측에 각 3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한 후 milled bar와 ADD-TOC attachment를 사용하여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제작하였다. Attachment 장착을 통해 얻어진 부가적인 유지력을 바탕으로 구개부 피개량 감소하여 총의치 제작 가능하였고 이렇게 milled bar와 attachment를 병용하여 충분한 유지력 뿐만아니라 지지 및 안정을 얻음으로써 심미성 및 기능성 모두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장기간 사용한 이중관 의치의 실패원인 및 자연치와 임플란트를 이용한 이중관 의치 수복증례 (Causes of failures of long-term used double crown denture and new rehabilitation with dental implant and tooth combined denture using remaining teeth and implants)

  • 서정교;조진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84-390
    • /
    • 2018
  • 치주적으로 지지가 불리한 소수의 잔존치가 남은 환자에게 있어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형 이중관의치는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예후를 보이는 치료가 된다. 편측 악궁에 소수 잔존치가 남고 반대측 악궁에 다수의 자연치가 존재 하는 경우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자연치와 혼재된 형태의 이중관 의치를 제작 할 시 의치의 지지 및 안정요소의 향상과 더불어 저작력의 균형을 맞추어 줄 수 있게 된다. 본 증례는 55세 여자 환자로 만성 치주염으로 인해 치주 지지가 감소한 소수 잔존치 상태에서 자연치만으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형 이중관 의치 치료를 통해 9.5년간 의치를 사용하였다. 9.5년 후 지대치 파절로 내원 하여 임플란트의 식립을 통해 자연치와 임플란트가 혼재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형 이중관 의치로 재수 복 하였으며, 이를 통해 재 치료에서도 장기적 예후의 안정성을 기대 할 수 있다.

전악 고정성 보철 수복 환자에서 T-Scan 분석을 이용해 전-측방유도를 부여한 상악 임플란트 보철 수복 (Maxillary anterior implant restoration with appropriate anterior guidance using T-Scan in a patient with full fixed prostheses)

  • 남래경;방은경;조영은;박은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419-426
    • /
    • 2017
  • 임플란트는 자각증상을 느끼기 어렵고, 완충역이 없으므로 응력 분포를 고려하지 않는 경우 기계적 실패를 야기할 수 있다. 다수의 상악 전치부 임플란트 수복의 경우 하악의 기능 운동 시 유도를 담당함으로써, 임플란트에 가해지는 측방력의 분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적절한 가이드의 설정이 중요하다. T-scan system을 이용하는 방법은 교합지나 shimstock을 사용하는 기존의 정성적인 방법에 비해, 시간에 따른 교합의 변화와 기능 운동시 접촉되는 치아의 기여정도 및 육안으로 관찰하기 어려운 후방 구치나 반대편 치아의 접촉을 파악하는 등 동적인 교합평가에 유리하다.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상악 임플란트 보철물에 조화로운 전방유도를 부여하기 위하여 T-scan 분석을 활용하는 방법에 관하여 증례를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Gold Electroforming System을 이용한 하악 임플란트 지지 텔레스코프 피개의치 (Mandibular Implant-Supported Telescopic Overdenture using Gold Electroforming System : A Case Report)

  • 최지하;김승균;유병일;안승근;박주미;송광엽;박찬운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4권2호
    • /
    • pp.193-201
    • /
    • 2008
  • 하악 완전 무치악 환자의 보철수복에 있어 임플란트 식립 후 피개의치의 제작은 첫 번째 치료 옵션으로 고려되어질 수 있다. 임플란트 지지 텔레스코프 피개의치를 제작하는 경우 인공치 및 유지 장치의 배열을 위한 악간 공간이 필요하다.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의 passive한 fit은 보철물의 기계적 실패를 막는 중요한 요소이다. Gold electroforming system을 이용하여 제작한 telescopic attachment는 우수한 마진 적합도 및 passive한 fit을 보이며 얇은 코핑 두께로 인하여 좁은 악간 공간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증례에서는 4개의 임플란트 식립 후 Gold electroforming system을 이용하여 telescopic overdenture를 제작하여 기능 및 심미적으로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정신적 장애 환자의 임플란트를 이용한 보철 치료 (DENTAL IMPLANTS IN EDENTULOUS PATIENTS WITH COGNITIVE DISABILITIES: CASE REPORTS)

  • 유은규;최성철;김광철;박재홍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1-14
    • /
    • 2011
  • 본 증례에서는 정신적 장애를 가진 환자들에게 임플란트를 이용한 보철 수복을 시행하였다. 이런 환자들에게 보철물의 형식은 고정성 보철물이나, 피개의치를 사용하였고, 임플란트의 실패나 보철물의 파절은 보이지 않았다. 이런 환자들에서 구강을 청결히 유지하기 힘들기 때문에 적극적인 정기검진 및 치태 조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원광대학교 산본치과병원에서 770명의 환자에 식립한 2158개의 골유착성 임플란트의 보철 전 초기 생존율에 관한 후향적 연구 (Retrospective study on survival rate of 2158 osseointegrated implants placed in 770 patients in Sanbon dental hospital of Wonkwang University)

  • 선화경;지영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0권4호
    • /
    • pp.278-288
    • /
    • 2014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상악 및 하악의 완전 무치악 및 부분 무치악 부위에 식립된 골유착성 임플란트의 보철 전 초기 생존율 및 생존과 관련된 요소를 평가하고 실패를 야기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2004년부터 2013년까지 770명의 환자에서 총 2158개의 골내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임플란트의 소실과 환자의 연령 및 성별, 식립 위치, 임플란트 시스템, 길이 및 직경, 그리고 골이식 방법과의 연관성을 평가하기 위해 임상적 비교를 시행하였다. 결과: 임플란트 식립 위치에 따라 상악 전치부에서 98.23%, 상악 구치부 96.97%, 하악 전치부 97.85%, 하악 구치부 98.75%의 임플란트 생존율을 보였다(P < 0.05). 임플란트의 종류 및 표면처리 기법은 임플란트 생존율과 특이성을 보이지 않았다. 임플란트 매식체의 직경에 따라 3.0 mm 이하의 임플란트에서 100%, 3.0 - 3.5 mm 97.09%, 3.5 - 4.0 mm 98.19%, 4.0 - 4.5 mm 98.29%의 생존율을 보였고, 5.0 mm 이상의 직경을 가진 넓은 폭경의 임플란트에서 75%의 비교적 낮은 생존율을 보였다(P < 0.05). 임플란트 매식체의 길이에 따라 9 - 11 mm 및 11 - 13 mm의 길이를 가진 임플란트에서 각각 98.12% 및 98.17%의 높은 생존율을 보였으나 통계학적 유의성을 가지진 못하였다. 골이식술의 방법에 따라 상악동 골이식술을 단독으로 시행한 부위에서 임플란트 생존율은 89.05%, 골유도 재생술을 단독으로 시행한 경우 98.28%, 상악동 골이식술과 골유도 재생술을 동시에 시행한 경우 98.34%, 골이식술이 동반되지 않은 경우 99.28%의 생존율을 보였다(P < 0.05). 결론: 이번 연구에서 임플란트 식립 후 최종 보철물 시적 전 초기단계에서의 임플란트 생존율은 임플란트의 식립위치, 임플란트 매식체의 직경, 그리고 골이식 방법과 관련이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각각 상악 구치부, 5.0 mm 이상의 넓은 임플란트, 그리고 상악동 골이식술을 단독으로 시행한 부위에서 현저하게 낮은 생존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짧은 티타늄 지대주에 합착된 CAD/CAM 금속 코핑의 시멘트 종류에 따른 유지력 비교 (Retention of CAD/CAM Metal Copings Cemented on Short Titanium Abutments with Different Cements)

  • 김효정;송은영;윤지영;이시호;이용근;오남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2호
    • /
    • pp.119-126
    • /
    • 2012
  • 시멘트 유지 임플란트 지지 수복물은 치과 치료에 일상적으로 사용된다. 임플란트와 지대주 나사연결의 안정적인 견고함과 골유합 임플란트의 높은 생존율로 인해 높은 강도를 가진 시멘트의 사용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CAD/CAM을 이용하여 제작한 금속 코핑의 유지력에 대해 이용할 수 있는 임상 자료가 없다. 네 종류의 시멘트를 이용하여 티타늄 지대주와 CAD/CAM을 이용하여 제작한 금속 코핑의 유지력을 평가하는 것과 시멘트 유지력에 대한 sandblasting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함이다. 40개의 티타늄 지대주 블록(Innovium, 세라젬바이오시스, 대한민국)을 제작하여 네 그룹으로 나누었다. 40개의 금속 코핑을 CAD/CAM을 이용하여 제작하고 금속 코핑의 교합면 상방부에 유지력 테스트를 위해 구멍을 형성하였다. 네 종류의 시멘트는 Fujicem(Fuji, Japan), Maxcem Elite(Kerr, USA), Panavia F2.0(Kurarary, Japan), Superbond C&B(Sunmedical, Japan)이다. 금속 코핑과 티타늄 지대주를 제조사의 지시대로 시멘트 혼합하여 합착하고 100% 습도 하에 37도에서 24시간 동안 보관 후 유지력 테스트하였다. 유지 실패가 발생하는 힘을 newton으로 기록하고 실패의 양상 또한 기록하였다. 유지력의 평균과 표준 편차를 ANOVA와 Paired t-test 로 통계분석하였다. Panavia F2.0이 Fujicem과 Maxcem Elite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유지력을 보였다(p<0.05). Sandblasting이 모든 시멘트에서 유의하게 유지력을 증가시켰다(p<0.05). 유지력 실패의 양상은 대부분의 시멘트가 금속 코핑 내부에 남아있는 접착성 실패였다. 본 연구의 한계 내에서 Panavia F2.0이 Fujicem이나 Maxcem Elite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큰 유지력을 보였고(p<0.05), Fujicem과 Maxcem Elite는 유지력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Sandblasting처리는 모든 실험군에서 유지력의 향상을 보였다. 따라서 임플란트 지대주에 합착된 금속 코핑의 유지력은 표면 거칠기와 시멘트의 종류에 영향을 받는다.

임플란트 시술의 문제점과 의료분쟁 (Problems of Implant Procedure and Medical Disputes)

  • 이태희;송영지
    • 의료법학
    • /
    • 제17권1호
    • /
    • pp.281-297
    • /
    • 2016
  • 임플란트 시술 부위의 정확하고 객관적인 골조직의 평가는 치료계획을 세우고 결과를 예측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골조직 평가는 임플란트가 시술되는 치조골의 상부구조 제작 시기를 결정할 수 있는 가장 객관적 방법이다. 하지만 이러한 골조직 평가가 치과 임상의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서 기초가 수립되기 때문에 상당한 모순을 내포하고 있다. 치과임상들 역시 골조직에 대한 주관적인 평가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정확하고 객관적인 기준을 마련하는 것이 요청된다. 과거 골밀도 평가는 임플란트 시술시 드릴링 작업과 같이 치고임상의의 주관적인 감각에 의존하였다. 그러나 이제는 컴퓨터 단층 촬영에서 나타난 각 픽셀에 대한 CT의 HU(Hounsfield unit)값을 이용하여 객관적이고 정확한 분류가 가능하게 되었다. Misch와 Kircos는 주관적인 골밀도 분류를 수치화하여 골조직을 D1부터 D5까지 다섯 단계로 나누었다. 하지만, 이 분류 방법도 정량화 된 테이터를 이용한 것이 아니라 감각에 의해 분류한 것을 단지 수치화한 것이다. 그러므로 더욱 객관적이고 정량화된 데이터의 비교 분석을 통해 임플란트 시술 부위의 골질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 임플란트시술은 치과의료분쟁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객관적인 검사와 합리적인 치료방법을 도입하여 임플란트 시술이 이루어진다면 의료분쟁에서 보다 합리적인 결과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며, 임플란트 시술의 실패율도 낮아 질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객관적이고 정량화된 데이터를 기초로 한 법적으로 새로운 기준을 만들어서 환자뿐만 아니라 치과 임상의에게도 발생될 수 있는 의료분쟁을 최소화하고 하고자 하는 것이다.

  • PDF

나사 시멘트 유지형 임플란트 보철물의 잔여 전부하 및 시멘트 파손에 대한 임상평가 (Clinical evaluation of retained preload and cement washout in screw- and cement-retained implant prosthesis)

  • 정재헌;손미경;김석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301-309
    • /
    • 2015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지대주 나사 잔여 전부하 비율과 시멘트 파손유무 평가를 통해 나사 시멘트 유지형 임플란트 보철물(screw- and cement-retained implant prosthesis: SCP)의 임상적 수행 능력을 알아보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구치부 부분 무치악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플란트가 식립되었으며 3 - 6개월의 치유기간 후 SCP임플란트 보철물이 장착되었다. 추적관찰을 통해 임플란트의 생존율이 평가되고 보철물 성공률도 평가되었다. SCP 보철물의 나사 잔여 전부하 비율 및 시멘트 파손 비율이 측정되었다. 결과: 20명의 환자로부터 21개의 SCP보철물(43개의 임플란트)이 최대 64개월까지 관찰되었다. 관찰기간(평균 34개월) 동안 골융합에 실패한 임플란트는 하나도 없었다. 지대주, 나사, 도재 혹은 보철물 프레임 파절이나 나사 풀림 등은 없었으므로 보철물 성공율은 100%였다. SCP 보철물의 나사 잔여 전부하 비율은 97.61% (${\pm}16.29$), 그리고 시멘트 파손비율은 9.5%이었다. 결론: 본 실험의 한계 내에서, 나사 풀림과 시멘트 파손이란 관점에서 SCP 디자인의 임플란트 보철물은 양호한 단기 임상 결과를 보였다.

나사유지형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의 적합도와 캔틸레버가 지지골조직의 응력분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crew Retained Prosthesis Misfit & Cantilever on Stress Distribution in Bone Around the Implant)

  • 이재인;김태영;조혜원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3호
    • /
    • pp.224-235
    • /
    • 2013
  • 임플란트의 장기적인 성공을 위해 고정체의 형태, 외과적 술식, 골조직의 조건, 보철물 적합성, 주기적인 검사, 환자의 구강 위생 등에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많은 연구에서 임플란트 지지 보철물의 적합도에 따른 임플란트의 예후에 관해 보고되었다. 보철물이 수동 적합되어야 임플란트의 상부구조및 하부구조에 해로운 응력을 야기하지 않는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현재의 임플란트 보철물의 제작과정으로 진정한 수동 적합을 얻는 수 없다고 인정된다. 임상과정과 기공과정을 포함하여 임플란트 치료의 전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며, 이는 보철물을 변형을 야기하고 이는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과 지대주 사이의 오차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오차는 보철물 장착 후 보철물의 파절, 나사의 헐거움(screw loosening), 골소실, 골유착 실패와 같은 문제를 야기한다. 이런 오차에 의한 문제점은 cantilever의 존재, 과도한 교합력이 존재할 경우 더욱 증가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ITI 임플란트를 하악골의 견치후방의 무치악부에 3개를 식립하고 4-unit 캔틸레버 고정성 국소의치를 다양한 위치의 $100{\mu}m$ gap을 생성한 후 제작하고 gap을 생성하지 않은 고정성 국소의치와 30 lb의 하중하에서 광탄성 응력분석을 시행하여 응력분포 양상과상대적인 응력의 크기를 비교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