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원경제지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2초

조선후기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인제지(仁濟志)」 속의 구황(救荒) (Famine Relief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in 『Limwomgyungjeji』 「Injeji」)

  • 김승우;차경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13-233
    • /
    • 2013
  •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famine was the main cause of climate ecological background, such as frequent floods and droughts, the Little Ice Age (小氷期), and epidemic. In addition, it influenced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such as failure toprovide Yiangbeop (移秧法), breakout of war and revolt, loss of farming cattle, grain consumption due to brewing, the concentration of wealth, and tenacity of shamanism. "Limwongyungjeji" "Injeji" of the last part had been written about the famine; wild plants to raw, dried, or dried powder, or processed pharmaceutical goods. Grain couldbe replaced in more than 330 types of famine relief food and recipes; 170 species of vegetables, 34 species of vegetation, and 33 kinds of fruit - the botanic foods were mainstream. Edible parts of these plant foods are those of 14 kinds: 175 species of leaves, 113 species of sprouts, 99 kinds of buds, and other fruits, roots, stems, flowers, etc. The recipe (poaching, salting, and oil-marinated) was written 186 times or forsoup, raw, and boiled.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와 조선(朝鮮) 양생(養生)의 지향(志向)에 대한 연구(硏究) - 몸-자연-사회의 연계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ims of Cultivation Techniques of Joseon and the Imwon-gyeongje-ji, With a Focus on the Interconnection of Body-Environment-Society)

  • 전종욱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77-98
    • /
    • 2022
  • Objectives : This paper intends to examine the essence of Joseon's cultivation techniques as written in the vast encyclopedia Imwon-gyeongje-ji. Methods : Items related to cultivation techniques in the Imwon-gyeongje-ji were brought together and analyzed through various cases that match the theme and structure of this paper,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of Body-Environment-Society Results & Conclusions :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Imwon-gyeongje-ji, it could be said that Seo Yu-gu consistently attempted to secure and improve health, well-being, and welfare in all levels of an individual's body, environment, and society while stating to have integrated Buddhist and Daoist methods based on Confucius cultivation. This thought is linked to the ideals of Zhongyong, one of the main scriptures of Confucianism, which could be summarized by the concept of the Heaven-Earth Cultivation. In specific, contents within the 16 treaties of the Imwon-gyeongje-ji such as the Boyang-ji, Inje-ji, Jeongjo-ji, Yewon-ji, Yiwun-ji, Yuye-ji, Yegyu-ji, etc., that could be categorized as personal, environmental and societal cultivation has great implications for people today in that it could lead us to an integrated path of cultivation through the inter-connection of body, environment, and society.

풍석(楓石) 서유구(徐有榘)의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인제지(仁濟志)」 '탕액운휘(湯液韻彙)'와 처방 제형에 대한 연구 - '방(方)'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angaek-Unhoei(湯液韻彙)' Index of Herbal Medicine in the Inje-Ji(仁濟志) of the Imwon-Gyeongje-Ji(林園經濟志), by Seo-Yugu(徐有榘) Focusing on 'Fang(方)')

  • 전종욱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5-40
    • /
    • 2023
  • Objectives : This paper studies the Tangaek-Unhoei(湯液韻彙) index of herbal medicine in the Inje-Ji(仁濟志) of the Imwon-Gyeongje-Ji(林園經濟志), which contains about 4,800 formulas. Created by 19th-century Joseon scholar Seo, Yugu, it not only lists the formulas according to their names, but also provides index by topic, which enabled the collection and effective application of massive medical information. Methods : We quantitatively examined the nearly 4,800 herbal medicines in the Tangaek-Unhoei and their categorization. Any uncommon or particular categorization was examined further by analyzing the original text. Results & Conclusions : The prescriptions contained in the Inje-Ji are categorized under 26 headings. They are listed according to the 106 units of the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and organized by double headings. This unique index makes it easy to browse the contents of such a vast book containing massive medicinal knowledge. In addition, the fifty or so remedies called 'Fang(方)' exemplify the author's attitude toward medicinal knowledge, which is both rational and inclusive. This is an attitude that should be recognized beyond tradition.

서유구(徐有榘)의 복식관(服飾觀) - 「섬용지(贍用志)」 '복식지구(服飾之具)'의 분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stume View of Seo Yu-Gu - Focused on the Analysis of 「Seomyongji」 'Boksikjigu' -)

  • 차서연;장동우
    • 복식
    • /
    • 제62권6호
    • /
    • pp.80-97
    • /
    • 2012
  •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Seo Yu-gu's views on constumes that are based on 'Boksikjigu[服飾之具]' of Seomyongji[贍用志] in Imwonkyungjeji[林園經濟志]. In 'Boksikjigu', Seo Yu-gu explained different situations and problems that were related to costumes and proposed solutions for the problems. This study examined the contents, and divide the items into caps, accessories, and cloth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eo Yu-gu in he rited the tradition of erudition. Seo Yu-gu classified various costume items systematically, and explained in detail about the origin, history and materials of the costume items. Second, he emphasized frugality, effective use, and welfare. Seo Yu-gu argued that the sleeves should be shortened for convenience and tried to improve practicality in the functional aspect. Also, he wanted to enrich people's life 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goods used in daily life. Third, he tried to establish identity as a Confucian intellect. This idea was clearly shown in 'costumes'; therefore, they served as evidences that Seo Yu-gu used to correct wrong practices through precise historical investigation and review of Shim-ui[深衣], the symbol of the practice of Jujagarye[朱子家禮]. In his later years, he discovered the plain dress that was worn as a casual wear by ZhuXi[朱熹]and tried to wear it in dailylife.

첨가제가 배접용 풀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콩, 석회, 황랍, 백반 첨가제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Additives on the Properties of Pasting)

  • 백영미;조경실;이영희
    • 보존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61-268
    • /
    • 2011
  •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전통적인 방법으로 풀을 조제하여 배접하는 경우 첨가제가 풀의 성질 및 접착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한 결과이다. 본 연구는 향후 회화문화재의 보존처리용 천연접착제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접착제에 첨가제가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거가필용사류전집(居家必用事類全集), 다능비사(多能鄙事), 죽여산방잡부(竹嶼山房雜部)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백반과 황랍을, 장황지(裝潢志)와 제민요술(濟民要術)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석회를 첨가제로 사용하여 그 특성 즉, 점도, pH, 유연성, 박리강도, 항균성, 방미성, 보존성 등을 측정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 첨가제 고유의 특성이 풀의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백반은 유연성을 증가시켰으나, 점도, 접착강도, pH는 감소시켰으며, 황랍은 유연성, 점도, 접착강도, pH를 모두 감소시켰으며, 석회는 유연성, 점도, pH, 접착강도를 모두 증가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고대 혼파(混播)원리와 응용기술로서의 가설(假說) 연구 (A Study on Principle of Ancient Mix Seeding and Hypothesis by Practical Technology)

  • 구자옥;국용인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94-400
    • /
    • 2011
  • 중국에서 발상되어 우리나라에서 일반화하였던 고대 농법 혼파는 재해대책의 하나로서 최소한의 식량곡물을 확보하는 수단이었다. 이들 기술에 대한 역사적 흐름도를 중국농서인 "제민요술"(5세기 전후)와 "왕정농서"(1313)부터 우리나라 고대농서인 "농사직설"(1429)"한정록"(1610) "색경"(1676) "증보산림경제"(1766) "과농소초"(1799) "임원경제지"(1843)로부터 인용 제시하였다. 이들 혼파원리를 응용하는 무비 무농약 벼 이품종 혼파법은 아졸라 투입 무경운 벼 다품종 직산파를 전제로 하여 새로운 생력친환경 농법으로 제시하였다. 아울러 기존 연구결과들을 인용하여 현실적 타당성을 제시하여 평가하였다.

조선시대에 사용된 천연염료의 한의학적 활용 가능성 고찰 (A Study on the Therapeutic Usage of Natural Pigments in the Joseon Period)

  • 윤은경;이상빈;백유상;김종현;안진희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77-99
    • /
    • 2024
  • Objectives : This study examined the possibility of therapeutic application of natural pigments in the Joseon Period other than aesthetic purposes. Methods : The medicinal properties of natural pigments as written in the texts Sangayorok, Gyuhapchongseo, Imwongyeongjeji were searched and analyzed in the texts Bencaogangmu, Encyclopedia of Eastern Medicine, and the Encyclopedia of Chinese Medicinals focusing on their Qi, flavor, effects and application. Of the conditions they treated, we examined whether they treated skin conditions using external application. The Korean Medical effects of these pigments were examined based on the content of the skin chapter of the Donguibogam. Results : We were able to extract 47 kinds of natural pigments, most of which had cold nature and bitter tasting properties. In addition, most of the pigments had the effect of treating skin conditions, illnesses due to micro-organisms, and of detoxifying. Conclusions : After consideration of medicinal properties and effects of the herbs that were used as pigments in the Joseon period, it could be concluded that as these herbs not only function as pigments but also hold properties that prevent skin conditions, their therapeutic functions could have been considered when using them as pigments.

취병(翠屛)의 조성방법과 창덕궁 주합루(宙合樓) 취병의 원형규명 (Studies on the Construction Method of Chwibyeong and Investigating Original Form of the Chwibyeong at the Juhapru in the Changdeok Palace)

  • 정우진;심우경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7권2호
    • /
    • pp.86-113
    • /
    • 2014
  • 본 연구는 고문헌 분석을 통해 조선시대 취병의 특성과 제요소를 분석하고 주합루 취병의 원형적 물상을 고찰한 것으로서 다음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임원경제지", "증보산림경제" 등의 문헌분석결과 취병은 지지대의 종류, 식물소재, 식재형식에 따라 분류되었다. 지지대는 대나무, 진장목(眞長木), 기류(杞柳)에 따라 분류되며, 사용된 식물소재는 소나무, 주목, 측백나무 등의 상록침엽교목의 사용이 우세했다. 식재방법은 자연지반에 심는 것이 일반적으로 나타났으나, 분을 사용하여 인공지반에도 조성하였다. 둘째, 문헌에서 취병은 상록수를 사용한 식물 병풍에서만 사용된 용어였으며, 이의 상위범주어는 '병(屛)'으로 지시되었다. 즉 취병은 사계절 푸른 상록수의 특성을 일컫는 '취(翠)'와 대나무로 지지대를 만든 수벽 구조물인 '병'을 합성한 말이다. 또한 취병이라는 명칭에는 자연 산수를 묘사하는 문학적 상징성과 무산십이봉에 내재된 신선사상이 융화되어 있었다. 셋째, 1880년대에 촬영된 주합루 취병은 주목으로 보이는 침엽수로 이루어져 있었으며 높이가 거의 2m에 달했다. 일제강점기 때 취병은 철거되었으나 취병의 소재로 사용된 주목이 몇 주 존치되어 있었고, 식재 시기가 불분명한 향나무가 어수문 양 옆으로 줄기를 늘어뜨린 채로 가꿔지고 있었다. 이 향나무는 한일병합 후 일본인에 의해 이입된 것으로 추정되는데, 같은 시기에 어수문 좌우 협문이 변형되어 일본 건물의 합각모양을 한 지붕이 씌워졌던 것으로 판단된다. 넷째, 2008년 창덕궁 주합루 취병은 복구되었으나, 정밀한 고증의 부재로 원형적인 취병과는 거리가 멀었다. 특히 식재된 조릿대가 동해를 입어 상당 부분 고사됨으로써 취병이 제 기능을 못하고 있는 바 가능한 본래의 식물소재를 사용하여 원형을 살리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취병 제작기술의 개발, 현대 조경에 응용하는 것은 과제로 남아있다.

전통주택과 조경공간의 생태학적 해석 - 동계(桐溪) 정온(鄭蘊) 가옥과 전주(全州) 최씨(崔氏) 종택을 중심으로 - (An Ecological Interpretation on Korean Traditional Dwelling Houses and Their Landscape Gardens)

  • 소현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20-130
    • /
    • 2009
  • 본 연구는 생태학에 견줄 수 있는 전통적 관념으로서 생명사상과 전통사상에 착안하여 마련된 '전통경관의 생태학적 해석' 방법론에 대한 사례연구이다. 연구를 통해서 당시의 관점에 근접함으로써 선조들의 생태학적 사고와 그를 기반으로 한 조영방식을 설명하기에 유용한 방법론이 될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 생태학적 해석 도구로써 추출한 '본성(本性; 자연의 정체성 고수)' '중절(中節; 절제)' '효율(效率; 경제적 효용)' '상생(相生; 관계 맺기)' '자생(自生; 자연의 원리 취득)' '중화(中和; 인공을 최소화하여 조화)' '방통(旁通; 소통과 순환)' '변통(變通; 가변성과 다양성)'이라는 전통사상의 개념어들은 우리 문화와 경관 속에 함유된 생태학적 개념을 대신한다. 사례연구를 위해서 서유구의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1827)에 서술된 항목들을 '공간구조' '조경요소' '건축 구조요소'로 구분하여 해석의 대상을 추출하였다. 정온 가옥과 최씨 종택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해석한 결과로 생태학적 조영기법들을 제시하고, 전통주택과 조경공간에 대한 생태학적 특성을 다음과 같이 종합하였다. 자연조건과 세밀한 관계 설정 방식을 가지는 풍토건축으로서 첫째, 자연의 형상을 따르는 토지이용방식('본성' '상생' '중화'), 둘째, 자연과 일체감을 이루는 물리적 공간요소('중절' '상생' '중화'), 셋째, 한정된 자연에너지와 자원을 재활용하면서 지속적인 순환체계 유지('효율' '자생' '방통'), 넷째, 지역에서 얻을 수 있는 자연재료 이용('중절' '효율' '자생'), 다섯째, 미기후를 고려한 평면과 구조 결정('효율' '자생' '변통')으로 정리된다. 이에 전통주택과 조경공간은 다른 유형의 전통공간보다 자연 안에서 효율적인 자원 소비 공간을 목표하였다는 점에서 생태학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고추(번초(番椒), 고초(苦椒))의 어원(語源)연구

  • 김종덕;고병희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47-167
    • /
    • 1999
  • 1. 연구 목적 한국의학사(韓國醫學史)의 한 분야인 식품사(食品史) 및 약물사(藥物史)는 미개척분야라 해도 과언은 아닐 정도로 연구 업적이 부족하다. 특히 식물명칭에 대한 정리는 기초학문이지만 방치되어진 것도 부인할 수 없다. 따라서 본고는 식품문화사(食品文化史)를 정리하는 과정중의 일환으로 고추의 어원(語源)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식품사(食品史) 연구에 도움이 되는 동시에 체질식이요법을 강조하는 사상의학(四象醫學)의 식품 분류에 대한 학술적 근거를 제시하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 1493년 콜럼버스에 의해 알려진 고추는 우리 나라에 들어와 천초(川椒)대신 사용됨으로서 현재 중요한 양념이 되었다. 이에 고추의 도입과정과 호칭변화를 살펴봄으로서 현재 사전류에서 잘못 서술되고 있는 것을 시정하고, 고추가 도입된 이래 우리가 어떻게 이해하고 응용하였는 지에 대하여 문헌고찰을 통하여 의학사적(醫學史的) 입장으로 정리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2. 연구 방법 "산림경제(山林經濟)"(1715),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1827)같은 농서(農書), "물명고(物名考)"(1830),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1850) 같은 유서(類書), "훈몽자회(訓蒙字會)"(1527), "신증유합(新增類合)"(1574)같은 사전류, "지봉유설(芝峰類說)"(1614), "성호사설(星湖僿說)"(1763)같은 문집류, "흠정수시통고(欽定授時通考)"(1737), "본초강목습유(本草綱目拾遺)"(1765)같은 중국본초서(中國本草書) 등과 국내의서 등 을 통하여 고추에 대한 문헌정리를 시도하였다. 3. 연구 결과 고추가 도입된 이래 남만초(南蠻椒), 남초(南椒), 번초(番椒), 왜초(倭椒), 왜고초(倭苦椒), 왜개자(倭芥子), 고초(苦椒), 랄가(辣茄), 고쵸, 등으로 표기되어 왔다. 하지만 고추가 도입되기 전에 출간된 "구급간이방(救急簡易方)"(1489)에 '초(椒) 고쵸, 죠피'라는 기록이 나온다. 이는 천초(川椒)(초피나무)를 의미하는 '고쵸'로 보아야 한다. 후에 고추가 도입됨에 따라 의미가 변하여 고추를 의미하게 되는데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존하는 문헌 중 고추에 대한 최고기록인 "지봉유설(芝峰類說)"(1614)에 근거하여 고추(남만초(南蠻椒))는 임진왜란때 일본에서 도입되었다는 것이 정설이었다. 하지만 임진왜란 이전에 일본을 통하여 고추가 도입되었고 이의 개량종을 오히려 임진왜란때 일본으로 전해주었을 가능성이 높다. 둘째, 현재 대부분의 사전류에서 "훈몽자회(訓蒙字會)"(1527)의 '고쵸 쵸(초(椒))'를 고추에 대한 최초의 어원으로 보고 있으나 이는 잘못된 것이다. "훈몽자회(訓蒙字會)"의 '고쵸(초(椒))'는 고추가 아닌 매운 열매의 총칭으로 호초(胡椒), 천초(川椒), 진초(秦椒)를 의미한다. 이는 "구급간이방(救急簡易方)"(1489)의 천초(川椒)를 의미하는 '초(椒) 고쵸'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현재 대부분의 사전류에서 고추의 한문표기가 고초(苦草)로 되어 있으나 고초(苦椒)로 정정되어져야 한다. 초(草)(상성(上聲))와 초(椒)(평성(平聲))는 발음은 같지만 성조(聲調)가 다르며, 또한 "본사(本史)"(1787)에 고초(苦椒)와 고초(苦草)는 서로 다른 식물로 기록되어 있다. 넷째, 고초(苦椒)는 '고쵸'라는 우리말에 맞추어 만든 국자(國字)로 고추가 천초(川椒)와 비슷하지만 맵고 쓰다라는 뜻으로 사용된 것이다. 다섯째, 맵고 뜨거운 성질이 있는 고추는 냉증(冷症)을 유발시킬 수 있는 냉성(冷性)야채를 중화(中和)시키는 작용을 한다. 여섯째, 고추는 소음인 식품의 경향성을 띈 훈채류에 속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