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임업

Search Result 54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ISO/TC 23 농임업용 트랙터 및 기계류

  • 박완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3.07a
    • /
    • pp.43-63
    • /
    • 2003
  • 1) 명칭 농ㆍ임업용 트랙터 및 기계류(Tractors and machinery for agriculture and forestry) 2) 작업범위 동물과 관련하여 모든 기준이 되는 전자/전기적 측면과 전자신분인식장치를 포함하여 사용되는 원예, 조경, 관개 및 기타 관련 분야의 장비뿐만 아니라, 농ㆍ임업 분야에서 사용되는 트랙터, 기계류, 장치, 초지 작업 및 관련 장비에 대한 표준화 (중략)

  • PDF

임업에도 대량복제 묘목생산시대 열다 - 침엽수종 품종화 및 산림자원화에 크게 기여

  • 한국산림경영인협회
    • 산림경영
    • /
    • s.143
    • /
    • pp.46-48
    • /
    • 2000
  • 산림청 임업연구원(원장 노의래)은 최근 침엽수종인 소나무, 낙엽송 및 리기테다소나무 등 체세포배에 의한 복제 묘목을 대량생산하는 생물공학적 기술을 개발하는데 성공하였다. 지금까지 임업에서는 접목이나 꺾꽂이 등의 무성증식방법으로 특정형질을 가진 복제묘목을 생산하여 왔다. 특히 이러한 방법은 유실수, 포플러 등에 오랫동안 적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체세포배에 의한 복제기술이 주로 활엽수 등에서 성공한 바 있다. 이번에 개발한 체세포배에 의한 복제기술은 내년부터 솔잎혹파리에 강한 내충성 소나무, 형질이 월등히 우수한 낙엽송 및 리기테다소나무의 대량생산에 적용하여 단기간내에 솔잎혹파리 내충성 소나무 복제묘목을 보급함으로써 솔잎혹파리 피해가 없는 우량소나무 조림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캐나다 및 뉴질랜드와 같은 임업 선진국가에서는 체세포배에 의한 복제기술을 이용하여 새로운 우수 품종을 산업적인 규모로 대량 생산하고 있으나, 우리나라 소나무와 같이 2엽송(二葉松)인 경우 체세포배에 의한 복제 식물체를 생산한 것은 세계적으로 드문 일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유전자조작 등의 첨단 생물공학 기법을 나무에 적용하기 위한 필수적인 전(前)단계로서 침엽수 육종에서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다고 볼 수 있으며 특히 임업도 농작물과 같이 특수한 품종을 육성할 수 있는 길을 터놓아 산림자원화와 산주소득증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lkaloids from fruits of Piper nigrum (후추(Piper nigrum) 열매의 Alkaloids)

  • Park, Il-Kwon;Lee, Hak-Ju;Lee, Sang-Gil;Shin, Sang-Chul;Park, Ji Doo;Choi, Don-Ha;Ahn, Young-Joo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1 no.5
    • /
    • pp.88-95
    • /
    • 2003
  • Five amide alkaloids were isolated from the fruits of Piper nigrum. The structures were determined as : pellitorin (I), quineensine (II), pipercide (III), retrofractamide A (IV), and piperine (V) respectively on the basis of spectrosopic data.

Experiments on the Muscadine Transmission in the Silkworm Larvae, Bombyx mori L. and Pine Caterpillar, Dendrolimus Spectabilis B. (잠아와 송충과의 경화병균 전염시험성적)

  • 박병희;한수용;조성일
    • Journal of Sericultural and Entomological Science
    • /
    • v.1
    • /
    • pp.15-21
    • /
    • 1960
  • 4231년 농림부산림국에서 송충구제책으로 경기도 임업시험장에서 인공배양한 No.7호균외 수종을 사용할 계획인바 비에 대한 임업시험장 시험보고에 의하면 핵균은 송충에 대하여 맹독성이지마는 잠아에 대하여서는 기독성이 경미하다는 보고 이였으므로 양잠가에 대한 의문을 풀기 위하여 송충 및 잠아에 대한 전염성의 강약을 비교 시험하여 그 독성정도를 구명코저 함. 1. 경기도 임업시험장 연구보고 제1호에 기재된 No.7 호균의 시험성적과 본시험성적과를 대조하면 그 이병률은 일정한 경향을 표시치 않으며 다소 상치된 결과이었다. 즉 별표에 의하면 송충은 72~100% 잠아에 있어서는 4289년도에 0~2% 4290년도이 0~20%였으나 본시험결과 (표 1,2,3)는 송충은 표준구에 6.6% 처리구에 13.3~20%이고 잠아는 5~50%의 이병률이였다. 따라서 송충에는 그 감염도가 높으며 잠아는 그 감염도자 낮다고하는 근거를 인정키 난하다. 2. 본시험에 공시된 접종균 No.7호균은 경기도 임업시험장에서 호칭하는 황황강균(Insarica farinosa)이 었으나 핵균 배양시에 이균이 침입된 관계인지는 모르나 본시험에서 폐사를 검정한 결과 백강균(Botrytis Bassiana)이였다. 따라서 No.7호균에 대한 순도가 의심되며 시험결과의 정확을 기할수가없었다. 3. 경기도 임업시험장연구보고 제1호에 접수된 양년간시검성적에 의하면 경화병균 28종중 가장 이병률이 낮다고하는 No.7호균이 본시험결과에서 잠아에 5~50%의 이병률을 나타내는것으로 보아 소위 경기도 임업시험장에서 순수분리한 균은 어느것이라도 송충에 접종하여 산지에 산포하면 그 균이 중간기생 (인교목, 직교목)을 통하여 야생화되어서 더욱 잠아에 대한 전염력을 강렬하게됨으로 양잠상 위험할것이다. 일본의 소산씨 문헌(경기도 임업시험장도서관)에 의하면 야생혼충에서 전염되는 경화병균의 독성은 잠아에 대하여 강력하다는 점과 $\ulcorner$잠업지조선$\lrcorner$제11호에 전라남도 원잠종제조소 강본태대랑씨의 시험성적(참고문헌)이 이를 여실히 입증하는 바이다. (중략)

  • PDF

Forestry Profitability in Korea with Evaluating Stumpage Prices (입목가 평가를 통한 임업의 수익성 분석)

  • Min, Kyungtae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8 no.3
    • /
    • pp.405-417
    • /
    • 2019
  • We analyzed the profitability of Korea's forestry by evaluating stumpage prices of the main economic tree species. Stumpage prices are evaluated with a market value formula, subtracting logging and transporting costs from market prices of logs. If trees are sold at the current cutting age, the stumpage price of larch is about 4.5 million KRW per hectare and that of Korean pine is about 3.7 million KRW per hectare. The stumpage prices do not cover reforestation cost, which is about 6.1 million KRW per hectare. If government subsidies did not support the cost of reforestation and silviculture, there would be no profits at all. The cost of forestry is very high in terms of planting and silviculture. In the future, the prices of logs are not predicted to rise and the wages for labor are not predicted to fall. Without reforming the current forestry regime, Korean forestry is, thus, not sustainable. Therefore, low-cost forestry efforts like natural regeneration should be adopted to make forestry viable. Investments in forestry infrastructure like forest roads are also required to decrease the timber logging and transporting c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