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상실무지침서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4초

간호사의 임상실무지침서 사용현황과 근거중심 임상실무지침서 요구도 조사 (Nurses' Usage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 and Demand of Evidence 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

  • 하미숙;박명화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582-592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ffer the baseline data for developing a systematic and high quality of clinical practice guideline by exploring how nurses utilize clinical guidelines and what they need for. Method: This study has been done with 242 nurses of a university hospital in Daegu using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by resear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Data analysis was done with SPSS 11.0 Program. Results: Nurses felt that clinical guidelines were not sufficiently disseminated to update their clinical knowledge education. Nurses showed the strong demand for developing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with the newest and systematic evidence. However, a relatively low number of nurses knew evidence-based nursing and evidence-based clinical guidelines.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for evidence-based nursing and an evidence-based nursing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nurses and to explore the strategies for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evidence-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to solve the urgent and frequent clinical problems.

  • PDF

중환자 간호실무 질 향상을 위한 근거중심 임상실무지침서의 개발 (Development of Evidence 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 to Improve Quality of Critical Care Nursing)

  • 박명화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68-78
    • /
    • 2009
  • Evidence 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 are designed to help healthcare practitioners evaluate and implement the increasing amount of evidence on best practice. Critical care area is one of the clinical sites where evidence 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 is needed most. This paper reviewed the definition of evidence 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the development method of evidence bas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 and the current trends in guideline developing. Traditional method of guideline development is consensus based but it moves into evidence based development. Evidence based guideline is based on best available evidence and uses the strongest method to determine its effect on clinical outcomes. The current trends in guidelines is to develop the guideline at regional/national level and do subsequent modification to suit local circumstances. There is an urgent need of exploring the method of guideline development and adaptation which are appropriate for Korean clinical setting.

  • PDF

요양병원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암성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 및 수행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Cancer Pain Management of Nurses and Nurses' aid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 정선진;김계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649-660
    • /
    • 2014
  • 최근 급증하고 있는 요양병원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암성 통증관리에 대한 지식과 수행 정도를 평가하고자 본 연구는 실시되었다. 광주와 전라남도의 7곳의 요양병원에서 간호사 84명과 간호조무사 72명을 표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독립 t-검정, one-way ANOVA, 피어슨 상관 계수,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대상자의 지식은 30점 만점에 16.84점으로 나타났고, 수행의 평균평점은 4점 만점에 2.88점이었다. 대상자들의 지식은 교육 수준, 직업, 암성 통증관리지침 존재 여부 인식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수행에서는 교육 수준, 직종, 병상 수, 암성 통증관리지침 존재 여부 인식, 암성통증 임상실무지침서 비치 여부에 따라 차이가 관찰되었다. 지식은 수행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지식, 병상 수, 암성통증 임상실무지침서 비치 여부였다. 향후 요양병원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암성 통증관리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할 때 이러한 변수들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소방 1급응급구조사의 병원임상수련 술기 실태 조사 (The Actual State of Hospital-based Skill Training in Level 1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 노상균;이재국;방성환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54-60
    • /
    • 2012
  • 이 연구는 소방 119구급대에서 근무하는 1급 응급구조사의 병원임상수련 실태를 조사한 연구이다. 조사대상은 소방에 근무하는 1급 응급구조사 42명으로 하였으며, 2012년 5월 11일부터 2012년 5월 12일까지 구조화된 무기명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한 설문조사에 의하였다. 연구결과 1급 응급구조사의 업무범위를 한 번 이상 직접 경험한 경우는 56.5 %였고, 이들 중 기관내삽관 66.9 %, 후두마스크 8.4 %, 정맥로확보 76.6 %, 니트로글리세린 설하투여 61.2 %, 기관지확장제 흡입 50.0 %, 수액투여 73.8 %, 인공호흡기 사용 57.6 %, 포도당 주입 57.6 %를 경험하였으며, 1급 응급구조사 업무범위를 16개 의료기관별로 살펴본 결과 58.0 %가 한 번 이상 직접 경험하였다. 향후 1급 응급구조사의 교육 요구도에 대한 지속적 연구가 필요하며, 병원임상수련의 문제점 분석, 임상실습지침서의 보완과 실무중심의 교육프로그램 운영 및 관리에 대한 규정과 지속적인 평가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