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임상데이터

Search Result 761, Processing Time 0.03 seconds

Implementation of database and E-CRF for efficient integration of Korean clinical data (한의 임상 정보의 효율적 통합을 위한 한의임상 데이터베이스 및 E-CRF 입력 시스템 구축)

  • So, Ji Ho;Jeon, Young Ju;Lee, Bum Ju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6 no.5
    • /
    • pp.205-212
    • /
    • 2016
  • Recently, researches for the integration and standardization of clinical data in the Western medicine and Korean medicine is in progress. If an integration of similar clinical data as well as heterogeneous clinical data is possible based on one standardization, we can able to derive implicit medical knowledge from integrated clinical data. In this paper, we implemented Korean clinical database based on internationally known CDISC standardization to efficiently store Korean clinical data and constructed E-CRF system for convenient data input in clinical sites. Furthermore, we showed example of an integration of Korean clinical data from 4 clinical sites. The results of our study will help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the extraction of implicit medical knowledge from integrated clinical data. Also, our results may support efficient management through data integration, prevention of repetitive or unnecessary clinical trials, facilitation of collaborative study and convenient research through the distribution of refined clinical dat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tandard Metadata for Digital Forest Cover Type Map (수치임상도 표준 메타데이터 설계 및 구현)

  • Kim, Kyoung-Min;Kim, Cheol-Min;Kim, Tae-Ky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1 no.4
    • /
    • pp.51-63
    • /
    • 2008
  • It is important to develop standard metadata to give more plentiful information about the forest cover type map and to promote distribution by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Clearinghouse. In this study metadata for the forest cover type map was designed based on TTAS.IS-19115 and it consisted of 10 packages and 50 elements. Also metadata editor was developed to implement metadata with standard schema and metadata viewer to service more user friendly interface. This work was about the first standard metadata for forest GIS data. So it would be a useful reference to develop metadata for other digital map concerning forest.

  • PDF

Design of Clinical Big data-based Verifiability Identification Process through Characterization of Medical Device (의료기기의 특성 분석을 통한 임상 빅데이터 기반 검증 가능성 식별 프로세스 설계)

  • Choi, Yoo-Rim;Park, Ye-Seul;Lee, J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753-756
    • /
    • 2017
  • 의료기기는 사람의 생명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다른 분야의 기기보다 안전성에 대한 검증이 필수적이다. 의료 분야에서는 안전성 검증을 위해 기기의 허가 심사 조건으로서 소수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수행되는 임상 시험이 존재한다. 그러나 임상 시험의 경우 의료기기를 직접 사람에게 적용하여 검증을 진행하기 때문에, 인체에 미칠 위해성을 고려하여 전임상 시험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전임상 시험은 동물이나 가상의 물체를 대상으로 수행하여 실제 사람에 대한 적용이 아니기 때문에, 임상 시험에 비해 검증에 대한 효력을 갖지 못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피험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고, 임상 빅데이터에 축적된 실제 환자의 사례를 활용한 신뢰성 있는 검증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러나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제공되고 있는 의료기기 품목군은 개발하고자 하는 의료기기의 임상 빅데이터 기반 검증 가능성을 식별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의료기기에 대한 다양한 특성 분석을 통해 임상 빅데이터 기반 검증 가능성을 식별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프로세스에서는 의료기기의 검증에 요구되는 데이터의 식별을 통해 임상 빅데이터를 이용한 테스트 데이터 수집 및 이를 활용한 신뢰성 높은 검증을 가능케 한다.

EDC System Development based on CDISC Standard (CDISC 국제표준을 기반으로한 EDC 시스템 개발)

  • Wang, Bo Ram;Park, Ji Yun;Ro, Mi Jung;Park, Seung Ho;Jang, Kwang Soo;Park, Bum Jun;Choi, In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93-394
    • /
    • 2011
  • 국내 임상시험기관에서 수행되는 다국가 임상시험은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국내 임상시험의 대부분은 종이기반 시스템이 주로 사용되면서 데이터 오류와 시간 및 비용의 증가등의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또한 다국적 임상시험의 경우 임상 데이터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 CDISC 표준을 이용한 전자 임상자료 관리 시스템 사용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표준에 적합한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와 기존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CDISC 표준을 기반으로 한 전자데이터관리(EDC)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유효성 확보뿐만 아니라 실험실 데이터를 통한 안전성 분석의 효율적 진행, 시간 단축 등의 효과를 거두고 있다.

  • PDF

Effect Analysis of Electronic Clinical Trial Systems (효율성 측정지표를 활용한 전자적 임상시험프로세스 효과분석)

  • Lee, Hyun-Ju;Choi, In-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1
    • /
    • pp.350-356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examine how much the electronic clinical trial data management system actually enhances its efficiency. While the development of clinical trial markets highlights the significance of data management with increasing rate of adoption of electronic systems, its effects have not been fully supported with rigorous evidences. Particularly, the adoption rate of electronic clinical trial systems is low in domestic clinical trials markets.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systems for reminding the importance of e-data management in clinical trials. The measurement indicator is experimented with the time related data collected from a multi-center clinical trial case. The result showed that the speed of the electronic clinical trial processes can be improved.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lies in its first attempt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electronic clinical data management systems. Furthermore, application of the indicator in conjunction with electronic clinical trial processes is expected to facilitate strategic data management.

Establish data collection and management system for successful clinical trials of korean medicine (한의학의 성공적인 임상시험을 위한 데이터 수집 및 관리 체계 구축)

  • So, Ji-Ho;Jeon, Young-Ju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4 no.4
    • /
    • pp.387-392
    • /
    • 2018
  • Clinical trials are an important part of developing new medical devices or developing new drugs. However, it takes many time and expense to conduct clinical trial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define the standard format of the data collected in clinical trials in major countries and in Korea. Clinical trials are also underway in korean medicine to develop new medical devices. If it define the standards for the data we collect in clinical trials, there are likely to be a variety of ways to use them. If it collect and manage various clinical trial data as one standardized data, you will be able to draw various results. Based on these findings, we established a system for collecting and managing integrated data on clinical trials. And let's look at how to use it.

A Performance Evaluation Framework for e-Clinical Data Management (임상시험 전자자료 관리를 위한 평가 프레임웍)

  • Lee, Hyun-Ju
    • Journal of Internet Computing and Services
    • /
    • v.13 no.1
    • /
    • pp.45-55
    • /
    • 2012
  • Electronic data management is getting important to reduce overall cost and run-time of clinical data management with the enhancement of data quality. It also critically needs to meet regulated guidelines for the overall quality and safety of electronic clinical trial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the performance evaluation framework in electronic clinical data management. Four key metrics in the area of infrastructure, intellectual preparation, study implementation and study completion covering major aspects of clinical trial processes are proposed. The performance measures evaluate the extent of regulation compliance, data quality, cost and efficiency of electronic data management process. They also provide measurement indicators for each evaluation items. Based on the key metrics, the performance evaluation framework is developed in three major areas involved in clinical data management - clinical site, monitoring and data coordinating center. As of the initial attempt how to evaluate the extent of electronic data management in clinical trials by Delphi survey, further empirical studies are planned and recommended.

Review of Lung Cancer Survival Analysis with Multimodal Data (다중 모드 데이터를 사용한 폐암 생존분석 검토)

  • Choi, Chul-woong;Kim, Hyeon-Ji;Shim, Eun-Seok;Im, A-yeon;Lee, Yun-Jun;Jeong, Seon-Ju;Kim, Kyung-bae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11a
    • /
    • pp.784-787
    • /
    • 2020
  • 폐암 환자의 생존율을 예측할 때 미국암연합회(AJCC)의 TNM병기 분류체계에 의해 진단되는 최종병기를 많이 사용한다. 최종병기는 폐암환자의 임상데이터 중 하나로 종양의 위치, 크기, 전이정도를 고려하여 환자의 폐암 상태를 판별하는 정보이다. 최종병기는 개략적인 환자의 상황을 설명하는 데 효과적이지만, 보다 구체적인 생존분석을 위해서는 임상데이터 뿐만 아니라 PET/CT와 같은 영상 데이터를 함께 분석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데이터 과학적 접근을 통해 폐암환자의 임상데이터, CT영상과 PET영상 등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함께 활용하는 생존분석기법을 검토한다. 실험을 통해 다중 모드 데이터를 활용하는 생존분석을 위해 비선형모델 개발과 Feature임베딩 기법 고도화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The value and sharing of medical research data (의학연구데이터의 가치와 공유의 의미)

  • Kim, Na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7.08a
    • /
    • pp.104-104
    • /
    • 2017
  • 연구 데이터란 과학적 연구에서 사용된 일차 자료와 연구자에 의해 직접 작성된 연구의 결과로서 수치, 문자, 이미지, 음성 등의 사실적 기록을 의미한다. 이 연구의 주제 분야인 의학은 잠재적 가치와 활용 가능성이 높고 공익적 성격을 가지고 있는 학문 분야로 의학 연구 데이터의 종류와 관리의 필요성을 통해서 그 가치와 공유 의미를 찾아보고자 한다. 또한 연구 데이터의 대표적인 임상 시험 기록과 연구 논문의 발표와 공유 현황에 대해서도 살펴보고 그 안에서 도서관의 역할이 어떤 것인가를 짚어보고자 한다. 의학 연구 데이터는 환자 진료기록, 건강 검진 기록, 임상 기록, 사망 기록, 임상 시험 기록, 유전체 정보, 연구 논문 등 그 종류와 형태가 다양하며 대용량인 경우가 많다. 의학 연구는 개인 정보보호와 윤리적인 문제 등 연구 수행 과정에서 어려운 점이 많은 성격을 가지고 있으나 질병 치료나 예방 나아가 인류의 건강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학문 분야로 의학 연구 데이터의 보존과 공개, 공유를 위한 관리는 큰 의미가 있다. 의학 연구 데이터관리는 새로운 연구의 밑받침이 될 뿐만 아니라 중 저개발 국가의 연구자들에게도 큰 기회를 부여하여 세계적인 의학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임상 시험 결과에 대한 은폐와 거짓 연구 방지에도 의미가 있어 미국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학술 연구 논문 발표에 사용된 데이터는 등록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임상 시험 등록으로 공인된 사이트는 NIH의 ClinicalTrials.gov, ICTRP의 Primary Registry 등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도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에서 관리하는 CRIS 등이 있다. 의학 연구자들은 연구의 시작부터 연구 데이터를 수집, 사용, 보존, 공유의 문제를 고려해야 하나 시간적 물리적인 문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는 도서관에서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분야로 Virginia Commonwealth 대학 도서관과 Emory 대학 도서관 등에서 시도되고 있다. 이 서비스는 연구 과정에서 사서의 지원이 가능한 새로운 기회로 연구자의 데이터관리를 위한 단계별 스토리를 조직하고 DMP 작성 지원 및 교육 등을 통해서 학술 커뮤니케이션에서 새로운 역할자로 자리잡을 수 있을 것이다.

  • PDF

CDISC Extension for Supporting Multinational Clinical Trials (다국적 임상시험 지원을 위한 CDISC 표준의 확장)

  • Yeom, Ji-Hyeon;Chai, In-Young;Kim, Suk-Il;Kim, Hyeak-Man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15 no.8
    • /
    • pp.566-575
    • /
    • 2009
  • Clinical Data Interchange Standards Consortium (CDISC) developed global and platform-independent data standards to improve ineffective processes of clinical trial studies. Regardless of its objective toward global cooperation, the current version of the CDISC standard cannot describe clinical trial data in various languages for multi-national investigators or reviewers. This problem applies not only to tabulated datasets in Study Data Tabulation Model (SDTM) but also to extensible markup language representation of the datasets in Operational Data Model (ODM) instances. In order to address this issue, we propose to extend the current version of SDTM and ODM to collect clinical data for multi-national clinical trials. SDTM needs to have new special-purpose domain for multi-language representation purpose. Additionally, ODM is recommended to extend its XML schema using subtyping or type inheritance mechanism respectively. Our extension of SDTM and ODM enable to represent any granule of study data tabulation model or XML data entities to describe in efficient languages. This result will contribute to collect multi-language data easily for multi-national clinical t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