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임상구조

Search Result 998,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Survey and Improvement Scheme for Clinical Practice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Students in the Convergence Society (융복합 사회에서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 Jung, Sang-Wo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1
    • /
    • pp.287-299
    • /
    • 2017
  •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improvement plan for clinical practice after examining the reality and the situation of clinical practice of EMT students. Clinical practice is as important as right to a variety of job experience in the convergence society and heating up according to appearance of NCS. Subjects were 115 EMT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or Jun. 16-17(2016), and analyzed by SPSS v. 18.0. Sophomores, who experienced only ER have a negative view about their future job prospect. On the other hand, juniors, who experienced ER and 119 rescue team have not virtually changed the way they view their future job prospect, supposedly due to the halo effect of the 119 rescue team clinical practices. Both groups wish to hav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diverse clinical practices. This study suggests that will help students have a positive view about their job prospects by providing clinical practice institutions and solve the problem of difficulty in getting job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Nursing Records for the Nursing Process for Use Within the Health Level 7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HL7 임상문서구조의 기반 한 간호과정을 위한 간호기록지의 설계 및 구현)

  • Kim, Hwa-Sun;Tran, Tung;Kim, Hyung-Hoi;Lee, Eun-Joo;Cho, Hune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9 no.8
    • /
    • pp.1054-1066
    • /
    • 2006
  • This study proposes a new paradigm hospital information system through the nursing classification system and design of the HL7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Health Level Seven CDA) for information-sharing among various healthcare institutions. Nursing information CDA are included coding systems of nursing diagnosis, nursing intervention, nursing activity and outcomes. And, we have developed CDA generator for active generation of XML document. This study aims to facilitate the optimum care by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required for individuals to nursing specialists in real-time, to help improvements in health, to improve the quality of productive life.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an expansion and redefining process conducted, founded on the HL7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and reference information model, to apply international standards to Korean contexts. Second, we propose a next-generation web based hospital information system that is based on the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In conclusion, the study of the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will include an electronic health record (EHR) and a clinical data repository (CDR), and also make possible healthcare information-sharing among various healthcare institutions.

  • PDF

A label induction method in the conditional random fields expressing long distance transition between separate entities in clinical narratives (임상 문서에서 서로 떨어진 개체명 간 전이 관계 표현을 위한 조건부무작위장 내 라벨 유도 기법 연구)

  • Lee, Wangjin;Choi, Jinwo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172-175
    • /
    • 2018
  • 환자의 병력을 서술하는 임상문서에서 임상 개체명들은 그들 사이에 개체명이 아닌 단어들이 위치하기 때문에 거리상으로 서로 떨어져 있고, 임상 개체명인식에 많이 사용되는 조건부무작위장(conditional random fields; CRF) 모델은 Markov 속성을 따르기 때문에 서로 떨어져 있는 개체명 라벨 간의 전이 정보는 모델의 계산에서 무시된다. 본 논문에서는 라벨링 모델에 서로 떨어진 개체명 간 전이 관계를 표현하기 위하여 CRF 모델의 구조를 변경하는 방법론을 소개한다. 제안된 CRF 모델 디자인에서는 모델의 계산효율성을 빠르게 유지하기 위하여 Markov 속성을 유지하는 1차 모델 구조를 유지한다. 모델은 선행하는 개체명의 라벨 정보를 후행하는 개체명 엔터티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선행 개체명의 라벨을 뒤 따르는 비개체명 라벨에 전이시키고 이를 통해 후행하는 개체명은 선행하는 개체명의 라벨 정보를 알 수 있게 된다. 라벨의 고차 전이 정보를 전달함에도 모델의 구조는 1차 전이 구조를 유지함으로 n차 구조의 모델보다 빠른 계산 속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모델의 성능 평가를 위하여 서울대학교병원 류머티즘내과에서 퇴원한 환자들의 퇴원요약지에 병력과 관련된 엔터티가 태깅된 평가 데이터와 i2b2 2012/VA 임상자연어처리 shared task의 임상 개체명 추출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기본 CRF 모델들(1차, 2차)과 비교하였다. 피처 조합에 따라 모델들을 평가한 결과 제안한 모델이 거의 모든 경우에서 기본 모델들에 비하여 F1-score의 성능을 향상시킴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Generation, Storing and Management System for Electronic Discharge Summaries Using HL7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HL7 표준임상문서구조를 사용한 전자퇴원요약의 생성, 저장, 관리 시스템)

  • Kim, Hwa-Sun;Kim, Il-Kon;Cho, Hune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33 no.2
    • /
    • pp.239-249
    • /
    • 2006
  • Interoperability has been deemphasized from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in general, because it is operated independently of other hospital information systems. This study proposes a future-oriented hospital information system through the design and actualization of the HL7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A clinical document is generated using the hospital information system by analysis and designing the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after we defined the item regulations and the templates for the release form and radiation interpretation form. The schema is analyzed based on the HL7 reference information model, and HL7 interface engine ver.2.4 was used as the transmission protocol.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an expansion and redefining process conducted, founded on the HL7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and reference information model, to apply international standards to Korean contexts. Second, we propose a next-generation web based hospital information system that is based on the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In conclusion, the study of the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will include an electronic health record (EHR) and a clinical data repository (CDR), and also make possible medical information-sharing among various healthcare institutions.

Health Level 7 Version 3 based Generating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for Medication Administration System (HL7 버전 3 기반의 투약관리시스템을 위한 임상문서구조의 생성)

  • Kim, Genun-Hee;Cho, Su-Mi;Lee, Eun-Joo;Kim, Hwa-Sun;Cho, Hune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1 no.3
    • /
    • pp.386-397
    • /
    • 2008
  • This study proposes the actualization of a standard data model for activiti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 for medication administration using the health level 7 development frameworks(HDF) process based on object oriented analysis and development method of health level 7 V 3. Medication administration is the most common activity performed by clinical professionals at healthcare settings. A standardized information model and structured hospital information system are necessary to achieve evidence-based clinical activities. We had used HDF and various tools(Rose tree, RMIM designer, V3 generator) to create the clinical document architecture(CDA). This allowed us to illustrate each step of the HDF in the administration of medication. This study generated a information model of the medication administration process, which is one clinical activity. It should become a fundamental conceptual model for understanding international standard methodology by information technology(IT) developers with the objective of modeling healthcare information systems.

  • PDF

안면의 심미적 평가

  • Jang, Yeong-Il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 /
    • v.26 no.12 s.235
    • /
    • pp.1091-1095
    • /
    • 1988
  • 안면의 미에 대한 연구는 최근에 이르기 까지 화가,조각가,철학가들의 영역이었다고 볼수 있다. 이에 대한 판정으느 주관적이었으며 관찰자의 눈에 의해 정의되었다. 그러나 임상적으로 안모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됨에 따라 보다 객관적인 미적 기준이 필요하게 되었다. 안면구조의 크기 형태와 내적관계에 대한 표준이 환자가 평균적으로 얼마나 벗어나고 어느정도로 임상적 중재를 해야 하는지 정하는데 필요했다. 정상적인 안모구조가 상실된 상황에서는 구조전 크기와 안모구조들의 정확한 위치에 대한 지식을 요구했다. 본 란에서는 심미적 안모를 양적으로 측정하는 일반기준과 교정학적 안모형태를 계측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ACLS Simulation Examination between Korean and American Paramedic students (한국과 미국 응급구조 학생간에 전문심장구조술 시뮬레이션 시험)

  • Lee, Christopher C.;Kim, Tae-Min
    •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 /
    • v.13 no.3
    • /
    • pp.71-76
    • /
    • 2009
  • 서론(Introduction) : 의학 시뮬레이션(medical simulation)은 교육생 학습과정에서 내재된 위험이 환자에게 가해짐 없이 교육생이 실제적인 환자 상황을 경험할 수 있게 하고 여러 다양한 임상내용이 포함한 상황에 적용될 수 있다. 시뮬레이션 기술의 사용은 의학교육(medical education), 인증서(certification), 면허교부(Licensure)와 의료의 질 형성에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복강경 수술, 내시경검사, 전문심장구조술, 응급기도관리와 외상소생을 포함한 다양한 임상시술의 수행에서 시뮬레이션이 교육생의 술기를 달성하고, 측정하고, 유지하는 유효성을 증명하였다 컴퓨터로 조절되는 시뮬레이터는 맥박, 혈압, 호흡, 대화가 가능하고, 중증질환 또는 외상환자의 치료에 필요한 같은 인명구조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의학 시뮬레이션은 의사, 간호사, 응급구조사와 응급 진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를 치료하는 사람에게 필요하다. 최신 전문심장구조술 과정수업은 전통적인 강의와 제한된 팀 상호작용이 포함된 이틀 과정이다. 우리는 비 영어권 국제 응급구조학생의 전문심장구조술 술기능력을 알아보고, 그것을 미국 응급구조학생과 비교하고자 한다. 목적(Objective) : 이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전문심장구조술 증례 시나리오를 가진 의학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미국과 한국의 응급구조 학생의 능력을 비교하는 것이다. 시행 장소(Site Location) : 이 연구는 한국 제주도에 위치한 제주한라대학 스토니브룩 응급의료교육원에서 진행되었다. 학생들의 평가는 스토니브룩에 위치한 스토니브룩 대학 의료원의 한 명의 평가자(Dr. lee)에 의해 수행되었다. 방법(Methods) : 15명의 한국 응급구조학생들은 세 팀으로 무작위로 선정하였다. 5명이 한 팀이 되어 같은 증례의 시나리오를 받았다. 세 가지 시나리오는 : 첫째, 천식지속상태(Status asthmaticus), 둘째, 긴장기흉을 동반한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with tension penumothorax) 그리고 마지막으로 메가코드(megacode)를 가진 심정지 이다. 세 팀을 각각 그리고 기본인명구조술(BLS)과 전문심장구조술(ACLS)과정을 마친 미국 응급구조학생들과 비교하였다. 15명의 미국 응급구조학생들 또한 세 팀으로 무작위로 선정하였다. 이 응급구조 학생들은 플러싱병원 의료원 소속으로 그곳에서 이 연구에 참여할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의학교육(CME)이수를 받았다. 이들에게도 같은 세 가지 증례의 시나리오가 주어졌고 Dr lee는 총 여섯 팀을 평가하였다(한국 세 팀과 미국 세팀). 결과(Results) : 양 국가의 모든 15명의 학생이 의학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전문심장구조술 메가코드시험을 포함한 시험에 모두 통과하였다. 비록 학생들을 무작위로 세 팀으로 나누었지만 한 팀이 이 모든 세 증례에서 다른 팀보다 뛰어났다. 제주한라대학 2번 팀은 더 나은 기도관리, 리듬인식과 임상술기를 가진 모든 중요한 활동을 얻기에서 우수했다. 그들은 핵심요구사항을 90% 이상 충족시겼다. 한국의 2번팀(G2K)은 메가코드에서 기도개방, 호흡평가, 순환징후 그리고 흉부압박수와 같은 신체검진 술기에서도 탁월했다. 게다가 다른 팀과 비교 시 리듬인식, 약물지식과 임상술기에서도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2번팀(G2K)이 6팀 중에 가장 뛰어나게 역활수행을 하였다. 결론(Conclusion) : 이 비교 연구에서 한국학생과 미국학생간에 전문심장구조술 메가코드 시험의 통과율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미국학생은 세 팀 사이에 더 적은 변이로 더 일괄된 점수를 받았다. 한국학생들도 모든 세 가지 증례를 통과하였지만 이 세 팀은 미국학생 팀보다 점수에서 더 큰 변이를 보였다.

  • PDF

Comparison of Effectiveness on Hospital-based Skill Training in Level 2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2급 응급구조사 병원임상실습교육 효과 비교)

  • Kim, Dong-Ok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8 no.5
    • /
    • pp.104-109
    • /
    • 2014
  • This study is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index of hospital-based skill training (HST) in level 2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ffective operation. The survey carried out to 70 level 2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who participate in HST from July 29 to August 22 in 2013. From the study, self evaluated operation skills scale were 3.09 before training and 3.80 after training. I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nhancements. satisfaction index were 3.80. appopriate education periods were (1~2) weeks (64.3%). the longer the time had been since their training completion, the higher education satisfaction. The multilateral studies on problems and needs of HST and development of training programs that includes hospital training monitoring are necessary.

Symbolic tree based model for HCC using SNP data (악성간암환자의 유전체자료 심볼릭 나무구조 모형연구)

  • Lee, Tae Rim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5 no.5
    • /
    • pp.1095-1106
    • /
    • 2014
  • Symbolic data analysis extends the data mining and exploratory data analysis to the knowledge mining, we can suggest the SDA tree model on clinical and genomic data with new knowledge mining SDA approach. Using SDA application for huge genomic SNP data, we can get the correlation the availability of understanding of hidden structure of HCC data could be proved. We can confirm validity of application of SDA to the tree structured progression model and to quantify the clinical lab data and SNP data for early diagnosis of HCC. Our proposed model constructs the representative model for HCC survival time and causal association with their SNP gene data. To fit the simple and easy interpretation tree structured survival model which could reduced from huge clinical and genomic data under the new statistical theory of knowledge mining with SD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