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임무 설계

검색결과 680건 처리시간 0.029초

드론을 이용한 다중 임무수행 시스템 설계 (System Design for Multi Mission Drone)

  • 윤현경;김민국;최광훈;김재훈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31-732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드론을 이용하여 재난 현장에서 다수의 조난자를 구조하기 위한 다중임무 수행 시스템을 설계하고 직접 제작한 드론을 이용하여 시스템을 검증해 보았다. 먼저, 조난 영역을 설정하고 라즈베리파이를 이용한 사진 매핑을 통해 조난자의 위치를 파악한다. 다음으로, 우선순위에 따라 임무 수행 순서가 정해지고 이에 따른 임무를 미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재난 현장에서 제안한 시스템을 사용한다면 드론이 스스로 판단하여 임무를 수행하므로 위급상황에 대한 빠른 대처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항공기 임무컴퓨터의 VIOM 설계 (Design on VIOM of Mission Computer for Aircraft)

  • 장한진;염철문;양승열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제38회 하계학술대회
    • /
    • pp.1868-1869
    • /
    • 2007
  • 항공기의 임무컴퓨터는 외부영상과 비행관련 정보들을 시현하기 위한 그래픽 처리를 담당한다. VIOM은 외부영상신호를 임무컴퓨터의 각 모듈에 전달하고, 내부모듈에서 생성한 비행관련정보들을 원하는 시현장치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현재 개발하고자 하는 KHP용 임무컴퓨터의 VIOM은 영상수신처리회로, 영상분배 및 선택회로, 모듈영상수신 및 분배회로, 모듈영상선택회로, 그리고 영상선택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데이터 인터페이스 등으로 구성된다. 본 논문은 KHP 임무컴퓨터 VIOM 의 전체 인터페이스 구성과 이를 위한 각 회로 설계에 대한 정보를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 PDF

자율무인잠수정을 위한 임무 언어 개발 (Development of Mission Language for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 김방현;이필엽;심형원;전봉환;이판묵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0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7 No.1(C)
    • /
    • pp.554-559
    • /
    • 2010
  • 자율무인잠수정은 탐사 목적에 따라 다양한 임무를 수행해야 하며, 임무에 따라 자율무인잠수정 행동의 유형과 순서는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자율무인잠수정은 한정된 임무에 대하여 프로그램 내부에 고정된 행동 유형으로 동작하며, 다른 유형의 임무를 수행해야 할 경우에는 프로그램을 수정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율무인잠수정이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임무를 명시할 수 있는 임무 언어를 개발하였다. 이 임무 언어는 명령어의 실행 순서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문과 자율무인잠수정의 행동을 지정하거나 자율무인잠수정의 상태를 입출력 할 수 있는 명령어, 그리고 변수 정의를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율무인잠수정의 임무를 자유롭게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임무 언어로 작성된 임무 파일은 전용 어셈블러에 의해 이진 형식의 실행이미지로 변환된 후에, 자율무인잠수정 내장 소프트웨어 내부의 가상기계 기억장치에 적재되어 실행된다. 실행이미지를 가상기계에서 해석하고 실행하는데 필요한 시스템의 자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임무 언어는 자율무인잠수정의 임무를 표현하기 위한 필수적인 부분만을 고려하여 설계되었으며, 문법은 ARM v5 어셈블리와 유사한 형태이다. 개발된 임무 언어는 한국해양연구원에서 개발한 이심이100 자율무인잠수정에 적용되었으며, 이후 개발할 6,000m급의 이심이6000 자율무인잠수정에도 사용될 예정이다.

  • PDF

저궤도 위성과 지상국간 접속 환경을 활용한 임무수행능력 지상 검증 시험 (Mission Operation Capability Verification Test for Low Earth Orbit(LEO) Satellite by Utilizing Interface Environment between LEO Satellite and Ground Station)

  • 이상록;구인회;임성빈
    • 항공우주기술
    • /
    • 제13권2호
    • /
    • pp.142-149
    • /
    • 2014
  • 저궤도위성은 발사 이후 초기 운영[1] 및 검보정 단계를 거쳐 정상 운영 단계로 진입한다. 정상 운영 단계에서는 이상 현상에 대한 대응조치[2], 궤도조정 작업 이외의 대부분 기간 동안 지상국으로부터 임무 명령을 수신하고 영상 촬영 및 전송 임무를 수행하게 된다. 저궤도위성과 지상국 시스템이 모두 관여된 임무수행능력은 저궤도위성 프로그램 성공 판단의 핵심 지표이고, 저궤도위성 프로그램 추진 목적과 일치하는 항목이기 때문에 지상 시험 단계에서 철저한 검증을 통해 신뢰성을 확보해야 한다. 지상 시험단계에서 지상국과 위성의 역할을 검증함으로써 임무수행능력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저궤도위성의 실제 운용 상황과 유사한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명령을 생성하여 위성에 전달하며, 영상과 건강상태 텔레메트리(Telemetry) 데이터를 수신하는 등의 임무수행 전체 주기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이 논문은 저궤도위성과 지상국간 접속 환경을 활용해 수행된 임무수행능력 지상 검증 시험 설계 및 수행 결과에 대해 다룬다. 시험 설계시 고려되어야 할 항목과 이를 바탕으로 설계된 시험에 대해 상세히 서술하고 결과에 대해 정리하였다.

설계구조행렬(DSM) 및 인터페이스 매트릭스 설계를 통한 전투체계 임무신뢰도에 관한연구 (A Study on the Mission Reliability of Combat System through the Design Structure Matrix and Interface Matrix)

  • 이정완;박찬현;김소정;김의환;장중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9호
    • /
    • pp.451-458
    • /
    • 2019
  • 무기체계 개발 및 운용과정에서의 신뢰도는 시스템이나 구성요소가 지정된 기간 동안 지정된 조건에서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능력의 핵심 척도이며 임무달성의 평가를 위한 임무신뢰도는 전투의 승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임무신뢰도는 특정 기간 동안 주어진 임무가 이벤트나 환경상황에서 성공과 실패할 확률을 나타내며, 신뢰도 산출시 장비의 동작여부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시스템의 임무를 물리적 및 기능적으로 구분하여 임무의 수행 신뢰도를 산출하게 된다. 기존의 임무신뢰도는 임무에 따른 물리적인 연결만을 가지고 신뢰도 블록선도를 작성한 후 신뢰도를 산출하였다. 하지만, 현대 무기체계들은 발전하여 고도화되면서 장비 구조가 복잡해져 기능적 또는 물리적 연결에 따른 임무 구분이 필요한 경우 임무 연관성 표현이 불가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설계구조행렬과 인터페이스 매트릭스 기법을 사용하여 물리적 구조와 기능적 구조의 연관성을 표현하여 함정 전투체계 시스템 중 한 부분인 함포통제 시스템에 대하여 임무신뢰도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임무신뢰도 검증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SysML설계기법을 통한 전투체계 임무신뢰도 분석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Mission Reliability in the Combat System through SysML)

  • 이정완;장중순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9권1호
    • /
    • pp.31-38
    • /
    • 2020
  • 임무신뢰도란 제품개발 시 목표가 되었던 요구조건하에서 임무를 완수할 확률을 나타내며, 전투체계의 경우 상용 장비와 달리 임무신뢰도가 승패를 좌우할 중요한 요소이다. 기존의 국내 전투체계의 임무신뢰도는 임무수행에 연관된 장비의 물리적 연결만을 고려해 산출되었으나, 장비들이 점차 고도화되어지고 복잡해져 물리적 연결만으로 임무연관성 판단이 불가하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물리적 연결뿐만 아니라 기능적 연결을 고려한 방법으로 시스템 설계모델링 언어인 SysML을 활용하여 정확도가 향상된 임무신뢰도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개발되는 전투체계 임무신뢰도 검증자료로 활용 되기를 기대한다.

한국형발사체를 사용한 달궤도선의 임무 설계 (Mission Design for a Lunar Orbiter Launched by KSLV-II)

  • 송은정;박창수;조상범;노웅래
    • 항공우주기술
    • /
    • 제8권1호
    • /
    • pp.108-11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한국형발사체를 사용한 달 탐사 위성의 궤적 설계를 수행하였다. 발사체는 달탐사위성과 킥모터 스테이지를 지구 저궤도에 투입하고, 이후 킥모터 스테이지의 연소에 의해 직접전이궤도 또는 고타원궤도에 투입된다. 설계된 궤적에 대해 TLI 및 LOI 기동을 실제와 가깝게 finite burn으로 모델링하여 요구속도 및 필요한 추진제량을 계산하여, 한국형 발사체를 사용할 경우 발사 임무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PDF

추진계 방식에 따른 정지궤도 복합위성의 구조설계 비교연구

  • 박종석;최정수;김형완;최재동;김창호;한조영
    • 천문학회보
    • /
    • 제37권2호
    • /
    • pp.179.1-179.1
    • /
    • 2012
  • 정지궤도 복합위성 2호는 현재 기상 및 해양관련 관측임무를 수행중인 천리안위성의 임무승계를 위해 현재 개발이 진행 중이다. 천리안위성에 비해 수명이 확대되고, 임무 탑재체의 중량도 증가하여 추진제량의 대폭 증가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로 인해 추진제 탱크의 확장이 불가피하여 현재 가용한 탱크를 기반으로 구조체 설계에 대한 비교 연구가 수행되었다. 정지궤도위성의 추진제 탱크 수용은 크게 측면 고정식 구형 탱크의 수직 배치방식과 극 고정식 실런더형 탱크의 수평 배치방식으로 구분된다. 추진제량 확대에 따라 두가지 방식 모두 구조체 내부에 충분한 강성확보와 하중전달을 목적으로 튜브형 구조물이 적용되며, 이를 토대로 구조체 설계가 이루어 진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추진계 탱크 수용 방식을 기반으로 정지궤도 복합위성에 적용될 구조체 설계 개념을 제시하고, 비교 연구를 통해 각 방식이 갖는 구조체 설계의 장단점을 기술하고자 한다.

  • PDF

행성 근접 통과를 이용한 목성 탐사선의 최적 발사 시기 (LAUNCH OPPORTUNITIES FOR JUPITER MISSIONS USING THE GRAVITY ASSIST)

  • 송영주;유성문;박은서;박상영;최규홍;윤재철;임조령;김방엽;김한돌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1권2호
    • /
    • pp.153-166
    • /
    • 2004
  • 향후 우리나라의 행성 탐사 임무에 대비하여 행성 근접 통과를 이용한 목성 탐사 임무의 최적 발사 가능 시기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관련 비행 궤적을 설계할 수 있는 자체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일련의 과정을 통해 그 성능을 검증하였다. 목성까지의 비행 궤적 중 직행 임무(Direct mission), 단일 행성 근접 통과를 이용한 임무(Single planet gravity assist mission) 그리고 복수 행성 근접 통과를 이용한 임무(Multi planet gravity assist mission)에 대한 비행 궤적을 각각 설계하였으며 이에 대한 최적의 발사시기를 선정하였다. 목성 탐사 비행 궤적 중, 지구-화성-지구-목성의 비행 궤적 (Earth-Mars-Earth-Jupiter Gravity Assist, EMEJGA Trajectory)을 갖는 복수 행성 근접 통과 임무가 약 29.231$Km^2$/$S^2$의 발사 에너지($C_3$)값을 필요로 하였으며 이는 직행 임무의 발사 에너지($C_3$)값 75.756$\textrm{km}^2$/s$^2$및 화성 근접 통과만을 고려한 단일 행성 근접 통과 임무의 발사 에너지($C_3$)값 63.590$Km^2$/$S^2$보다 현저하게 낮은 수치이다. 이러한 결과는 행성간 탐사선의 비행 궤적 설계 시 행성 근접 통과를 고려하였을 경우 발사 에너지의 절감 효과 및 한번의 발사로 하나 이상의 행성의 탐사가 가능함으로 임무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 주고 있다. 또한 복수 행성 근접 통과를 이용하였을 경우 요구되는 총 임무 기간은 약 4.6년으로 직행 혹은 단일 행성 근접 통과를 이용하였을 경우(각 약2.98년 및 약2.33년의 총 임무 기간)에 비해 임무 기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음을 확인 시켜 주고 있다.

가변 저추력을 이용한 달탐사 임무궤도 설계 (Mission Trajectory Design for Lunar Explorer using Variable Low Thrust)

  • 이승현;박종오;심은섭;송영주;박상영
    • 항공우주기술
    • /
    • 제7권1호
    • /
    • pp.91-98
    • /
    • 2008
  • 제 2의 우주경쟁 시대를 맞이하여 세계 각국은 달을 선점하기 위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달에 영구기지를 2020년까지 건설하겠다는 미국을 비롯하여 유럽, 일본, 중국은 달탐사선을 성공적으로 발사하였으며 인도는 발사를 준비 중이다. 이와 같은 국제적인 분위기 속에 우리나라도 2020년까지 달에 탐사선을 보낼 계획을 발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가변저추력을 이용한 달탐사 위성 설계에 기본 자료로 사용될 수 있는 달탐사 임무궤도를 설계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SMART-1과 비슷한 제원을 갖는 가상의 달탐사 임무를 설정하여 비행궤적을 산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