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임계온도

Search Result 561,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산화 그래핀 나노유체의 파울링 현상에 따른 시스템의 안전성에 대한 연구

  • Gang, Hye-Won;Kim, Hyo-Seok;Kim, Nam-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382.1-382.1
    • /
    • 2016
  • 비등 열전달 시스템은 각종 발전 시스템, 열교환기, 냉방 및 냉동 시스템과 같이 다양한 산업에서 이용되며 매우 중요시 되고 있다. 또한 비등 열전달 시스템에서의 임계 열유속은 열전달 시스템의 한계 및 안정성을 나타내는 중요한 인자이다. 따라서 비등 열전달 시스템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임계 열유속을 향상시키려는 연구 및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작동유체를 나노유체로 사용할 경우 임계 열유속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하지만 작동유체를 나노유체로 사용할 경우 나노입자가 열전달 표면에 침착되는 현상을 유발하며 열전달 시스템의 성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화 처리된 그래핀 나노유체의 파울링 현상에 따른 열적 특성을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산화 처리된 그래핀 나노 파울링은 유속과 파울링을 위한 코팅시간이 증가할수록 산화 처리된 그래핀 나노유체의 임계 열유속이 크게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임계 열유속은 증가하나 비등 열전달 표면의 온도가 크게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열전달 계수는 유동이 없는 순수 물 비등 열전달 계수와 비교하여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탄소나노튜브 나노유체의 파울링 현상에 따른 열적 특성에 대한 연구

  • Mun, Ji-Eun;Kim, Yeong-Hun;Kim, Nam-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383.1-383.1
    • /
    • 2016
  • 열전달 시스템에서 임계 열유속 발생 시 시스템의 물리적 손상을 야기하기 때문에 비등 열전달에서 임계 열유속은 열전달 시스템의 한계 또는 안전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열전달 시스템의 안정성을 위해서는 임계 열유속 향상이 필수적이다. 최근에는 나노유체를 열전달 시스템에 적용할 경우 임계 열유속이 증가한다고 보고되었다. 하지만 나노유체는 원전 및 각종 열전달 시스템에 적용 시 나노입자가 열전달 표면에 침착되는 파울링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 때문에 시스템의 열효율이 크게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열전달 시스템에 나노유체를 적용했을 때, 나노유체의 침착현상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속과 코팅시간이 증가할수록 산화처리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 나노유체의 임계 열유속이 크게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나노입자 침착정도와 유속이 증가할수록 비등 열전달 표면과 유체의 포화온도의 차이인 과열도가 상당히 크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며, 열전달 계수는 순수 물의 0 m/s의 비등 열전달 계수와 비교하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Research on the critical current of high-Tc superconducting tapes with external magnetic field. (외부자장 영향에 따른 HTS 선재의 임계전류 변화에 관한 연구)

  • Choi, S.J.;Lee, S.J.;Sim, K.D.;Bae, J.H.;Cho, J.W.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6.07b
    • /
    • pp.697-698
    • /
    • 2006
  • 고온 초전도 선재는 자장의 세기, 방향 그리고 온도에 따라 임계전류가 달라지는 특성이 있다. 임계전류가 달라지는 특성은 초전도 선재를 사용하는 초전도 기기에 매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자장의 세기, 인가 방향이 선재의 임계전류에 비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prototype magnet을 제작하고, 선재에 전압 tap을 부착하여 실험을 하였다. 자장의 세기와 고온 초전도 선재가 받는 자장의 방향을 변화시켜가며 실험을 하였다. 또한, 주파수에 대한 선재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주파수 변화에 따른 선재의 임계전류 변화도 측정을 하였다. 본 논문은 고온 초전도 선재를 이용하여 제작하게 되는 고온 초전도 기기 설계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DC Voltage - Current Characteristics of a High Temperature Superconductor for Superconducting Magnetic Energy Storage in External Magnetic Fields (외부자장하에서 SMES용 HTS도체의 DC 전압 - 전류 특성)

  • Li, Z.Y.;Ma, Y.H.;Ryu, K.;Kim, H.J.;Seong, K.C.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7.07a
    • /
    • pp.937-938
    • /
    • 2007
  • 임계온도가 높아 외부교란에 대하여 대단히 안정한 장점을 지닌 고온초전도체를 이용하여 600 kJ급의 SMES (Superconducting Magnetic Energy Storage)용 마그네트를 개발하고 있으며, 이의 설계 제작에 선행하여 선정된 4-ply도체에 대한 N-value 및 임계전류 특성을 상이한 외부자장의 크기 및 방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4-ply도체의 측정된 N-value는 이의 정의에 사용된 전계영역의 범위에 따라 매우 상이하며, 또한 경사자장 ($\theta=30^{\circ}$)에 대하여 측정된 임계전류는 4-ply도체 면에 수직한 자장성분으로부터 계산된 임계전류와 비교적 잘 일치함을 알 수 있다.

  • PDF

인플레이션과 검은구멍의 생성

  • Jo, Jeong-Yeon;Hyeon, Jeong-Jun
    • Publications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6 no.1
    • /
    • pp.27-37
    • /
    • 1991
  • 두 스칼라장 $\phi_1$, $\phi_2$를 사용한 원시 검은 구멍 생성모형을 살펴보았다. $\phi_1$은 Linde의 혼돈 인플레이션장을, 그리고 $\phi_2$는 SU(5) 대통일 이론의 Higgs장을 사용하였다. 인플레이션은 $\phi_1$에 의해서 일어난다고 가정하였는데, 재가열(reheating) 온도가 $\phi_2$장의 임계온도(${\sim}1.31{\times}10^{14}GeV$)보다 높을 경우 재가열 직후에 검은 구멍이 생성됨을 알 수 있었다. 재가열 온도가 $1.48{\times}10^{14}GeV$정도 되면, 질량이 1kg쯤인 검은 구멍이 생성되는데, 현재의 지평선에 해당되는 당시의 영역 내에서 생성되었던 검은 구멍들의 총 질량이 ${\sim}10^{55}g$($\approx$현재 우주의 지평선 질량)이 되어, 그 증발과정이 우주론적으로 중요해질 수 있다.

  • PDF

Thermo-chemical Conversion of Poplar Wood (Populus alba × glandulosa) to Monomeric Sugars by Supercritical Water Treatment (초임계수에 의한 현사시나무의 당화 특성)

  • Choi, Joon-Weon;Lim, Hyun-Jin;Han, Kyu-Sung;Choi, Don-Ha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4 no.6
    • /
    • pp.44-50
    • /
    • 2006
  • To characterize thermo-chemical feature of su gar conversion of woody biomass poplar wood (Populus alba${\times}$glandulosa ) by sub- and supercritical water was treated for 60s under subcritical (23 MPa, 325 and $350^{\circ}C$) and supercritical (23 MPa, 380, 400, and $425^{\circ}C$) conditions, respectively. Among degradation products undegraded poplar wood solids existed in aqueous products. As the treatment temperature increased, the degradation of poplar wood was enhanced and reached up to 83.1% at $425^{\circ}C$. The monomeric sugars derived from fibers of poplar wood by sub- and supercritical treatment were analyzed by high performance anionic exchange chromatography (HPAEC). Under the subcritical temperature ranges, xylan, main hemicellulose component in poplar wood, was preferentially degraded to xylose, while cellulose degradation started at the transition zone between sub and supercritical conditions and was remarkably accelerated at the supercritical condition. The highest yield of monomeric sugars amounts to ca. 7.3% based on air dried wood weight (MC 10%) at $425^{\circ}C$.

Effects on Resident of human body at fire outbreak for apartment building using CFAST (화재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공동주택 화재발생시 거주자의 인체에 미치는 영향)

  • Park, Joo-Won;Kwon, Jin-Suk;Choi, Jae-Hyou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89-189
    • /
    • 2011
  • 최근 공동주택은 보편적인 도시주거 유형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지만, 성장 위주의 경제 산업 정책에 따른 안전의식미약, 사회구조개편에 따른 급격한 증가, 생활환경 변화와 에너지 사용 증가 등 화재 유발인자의 다양화로 인해 인적 물적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다른 건물들과는 달리 공동주택의 거주자가 유아, 노인, 신체장애자 등 다양한 인적 구성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서 화재 발생 건수에 비해 인명피해가 월등히 높은 편이다. 공동주택에서의 화재에 대한 위험성을 인식하고, 그에 대한 인적 물적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본 논문은 CFAST(Consolidated Model of Fire Growth and Smoke Transport)를 사용하여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실물 화재 실험을 실시하고 공간화재에서의 화재 성상을 파악하여 화재 시 개구부의 개폐 여부에 따라 발생되는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온도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개구부를 개방 했을 경우에 외부창문의 개폐 여부에 상관없이 모든 방의 온도 분포가 뚜렷하게 나타났지만 개구부를 폐쇄 할 경우에는 발화지점인 거실의 온도 분포만 나타났다. Flashover현상과 Back Draft현상은 개구부의 개폐여부에 상관없이 외부 창문을 폐쇄 했을 경우에 나타났지만 특히 모든 개구부와 외부창문을 폐쇄 했을 경우에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각 실은 점화 후 4분경에 최고 온도를 보였으며 다른 방에 비해 발화지점인 거실의 온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온도에 의해서는 두 가지 영향이 일어날 수 있는데, 하나는 비교적 장시간에 걸쳐 발생하는 열응력이고, 다른 하나는 짧은 시간에 발생할 수 있는 화상이다. 만약 피부온도가 $45^{\circ}C$에 이르면 인체는 고통을 느끼게 되며, 이보다 더 높은 온도에서는 깊은 피부조직까지 손상을 줄 수 있다. 움직이지 않는 사람에 대한 고통 유발 임계온도는 약 $200^{\circ}C$이며, 인체는 땀의 발산으로 온도에 대한 내성이 증가하지만 이체가 장시간 열을 받으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결론적으로 공동 주택을 대상으로 CFAST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 플래쉬오버 현상으로 인해 화재가 성장하여 급격히 온도가 상승하다가, 산소 부족으로 인해 화재가 성장하지 않고 온도가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화재 시 온도, 산소, 이산화탄소를 고려하였을 때 약 3분 이내에 대피해야 온도 및 가스로 인한 피해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Measurement and Modeling of Bubble Points for Binary Mixtures of Carbon Dioxide and N,N-Dimethylformamide (이산화탄소와 디메틸포름아마이드 혼합물의 기포점 측정 및 모델링)

  • Jung, Joon-Young;Lee, Byung-Chul
    • Clean Technology
    • /
    • v.17 no.1
    • /
    • pp.19-24
    • /
    • 2011
  • The bubble point pressures of binary mixtures of carbon dioxide ($CO_2$) and N,N-dimethylformamide (DMF) were measured by using a high-pressure experimental apparatus equipped with a variable-volume view cell, at various $CO_2$ compositions in the range of temperatures above the critical temperature of $CO_2$ and below the critical temperature of DMF. The experimental bubble point pressure data were correlated with the Peng-Robinson equation of state (PR-EOS) to estimate the corresponding dew point compositions at equilibrium with the bubble point compositions. The experimentally measured bubble point pressures gave good agreement with those calculated by the PR-EOS. The variable-volume view cell equipment was verified to be an easy and quick way to measure the bubble point pressures of high-pressure compressible fluid mixtures.

Measurement of Bubble Points of Dimethyl Carbonate and Carbon Dioxide Mixtures (디메틸카보네이트와 이산화탄소 혼합물의 기포점 측정)

  • Ahn, Joon-Yong;Lee, Byung-Chul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20 no.1
    • /
    • pp.94-98
    • /
    • 2009
  • The bubble point pressures of dimethyl carbonate and carbon dioxide mixtures were measured by using a high-pressure experimental apparatus equipped with a variable-volume view cell, at various $CO_2$ compositions in the range of temperatures above the critical temperature of $CO_2$ and below the critical temperature of dimethyl carbonate. The experimental bubble point pressure data were correlated with the Peng-Robinson equation of state (PR-EOS) to estimate the corresponding dew point compositions at equilibrium with the bubble point compositions. The experimentally measured bubble point pressures gave good agreement with those calculated by the PR-EOS. The variable-volume view cell equipment was verified to be an easy and quick way to measure the bubble point pressures of high-pressure compressible fluid mixtures.

Characteristics of Liquid Fuel Jet Injected into Supercritical Environment (초임계 환경으로 분사되는 액체 연료 제트의 분사 거동 특성)

  • An, Jeongwoo;Choi, Myeung Hwan;Lee, Jun;Koo, Jay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50 no.5
    • /
    • pp.333-338
    • /
    • 2022
  • The single jet of decane/methylcyclohexane mixed fuel that is surrogate for kerosene was injected into supercritical environment and visualized using shadowgraph technique. The injection pressure drop of the fuel jet of Tr = 0.484 was kept constant at 0.5 MPa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above the critical point of the mixed fuel, and the reduced temperatures of the chamber was changed from 1.00 to 1.23, and the reduced pressures was 1.00 and 1.38. As an index for reducing the density of jets sprayed into the supercritical environment, the brightness intensity of the post-processed jet image was observed with the internal temperature and pressure of the chamber. It was confirmed that the decrease in the brightness intensity of the jet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hamber increased, and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chamber was higher at the same temperature, the decrease in the brightness intensity of the jet was delayed. When the pressure inside the chamber is high, it is thought that the change in brightness intensity is delay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pseudo-critical temperature of the fuel and the increase in the temperature required to reduce the density of the fuel j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