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일치

검색결과 12,957건 처리시간 0.032초

한국인의 한국어와 영어음절 분석 특성 (How do Koreans represent Korean and English Sub-syllabic Units\ulcorner)

  • 권혜원;윤여범;남기춘
    • 한국인지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인지과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31-136
    • /
    • 2002
  • 한국어 CVC 음절의 하위 단위는 초성자음과 모음을 포함하는 음절체(body)와 종성자음(coda)으로 이루어져 있고, 영어 음절은 초성(onset)과, 모음과 종성자음을 포함하는 각운(rime)으로 이루어져 있다고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이 영어의 음절을 한국어 음절 정보처리 방법으로 정보처리 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조건으로는 음절체 일치 조건(예, 각-감, cap-cat), 각운 일치 조건(예, 남감, pat-cat), 그리고 두 자음 일치 통제조건(예, 김-감, cut-cat)과 무관련 통제 조건(예, ***-감, ***-cat)이 사용되었다. 실험 과제로는 점화 어휘판단 과제(primed lexical decision task)를 수행하였다. 만약 음절체 일치 조건에서의 점화효과가 각운 일치 조건에서의 점화효과보다 크다면 한국인의 음절분절 단위가 음절체-종성(body-coda) 구조일 것으로 예상할 수 있고 각운 조건에서의 점화효과가 더 크다면 그 단위가 초성-각운(onset-rime)구조일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실험 결과, 한국어 음절의 경우 각운 일치 조건의 점화 효과가 음절체 일치 조건의 점화 효과보다 크게 나타나 음절체-종성 구조로의 하위 단위 분석을 지지했다. 그러나 영어의 경우에는 각운 일치 조건의 점화 효과가 음절체 일치 조건의 점화 효과보다 크게 나타나 초성-각운 구조로의 분석을 지지하였다. 따라서 한국인이 시각 단어를 재인할 때에는 언어 특정적인 분석을 수행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 PDF

주어-동사 일치의 통사적 유인 (Syntactic Attraction of Subject-Verb Agreement)

  • 장소영;김양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353-358
    • /
    • 2021
  • 본 연구는 주어-동사 일치에 대한 3가지 유형의 통사적 분석을 제공한다. 주어-동사의 수일치는 주어와 서술어간의 연쇄를 체계적으로 설명하기 때문에 이는 핵-핵 일치 또는 계층적 구조에 작용하는 상방향과 하방향 자질침투라는 순수한 통사적 분석으로 제안되어야 한다. 주어-동사 일치의 오류는 선형적 근접성이나 최소간섭이 아닌 일치의 목표와 국소적 유인자인 명사 사이의 계층적 관계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의 자료로 수식어로서의 전치사구 PP 또는 관계절 CP를 포함하는 복합 명사구를 분석하며 이때 복수자질 [+PL]이 강 자질로서 일치오류의 국소 유인자이다. 따라서 일치오류는 화자들이 수식어 전치사구의 복수 명사구 때문에 주절의 단수 주어를 복수로 잘못 분석하거나 복수 주어의 영향으로 수식어 관계절안의 단수 주어가 복수로 잘못 분석되어 관계절 안의 동사가 복수형으로 잘못된 일치 오류가 일어나는 경향이 있다. 즉, 주어-동사 일치는 구조가 형성되는 과정에 내재적으로 불일치하는 일은 없고 특정한 구성소 표현이 국소 유인자로 오인되어 단지 언어분석처리 중에 조작되어 나타난다.

한국어 '일치' 현상의 문제점:-시-를 중심으로 (Arguments against "Agreement" Phenomena in Korean)

  • 최재웅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95년도 제7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310-318
    • /
    • 1995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의 대표적 일치 현상으로 일컬어지는 존대법을 살펴보고, 영어의 일치 현상과 한국어 존대법 '일치' 현상을 동일한 차원에서 다루는데 대한 문제점을 지적한다. 적어도 최근 생성문법에서 영어나 인구어를 중심으로 도입, 활용되는 Agr과 한국어 존대법은 간과 할 수 없는 중요한 차이점이 있음을 밝힌다. 또한 존대법과 공손법 사이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하여 그 둘을 연결하는 공통의 존대요소를 설정하여 일치현상으로 설명하려 할 경우 모순이 생겨난다는 점과, 이러한 문제는 존대법 자체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는 점을 지적한다.

  • PDF

이변량 반복측정자료에서 가중일치상관계수의 추정

  • 강보경;김규성
    • 한국통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통계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61-266
    • /
    • 2000
  • 이변량 반복측정자료에서 Chinchilli 등(1996)이 제안한 가중일치상관계수는 두 변수의 일치성을 나타내는 측도이다. 기존에 제안된 가중일치상관계수 추정법은 변동효과 및 측정오차의 분산성분을 각각 최소제곱법으로 비편향 추정하여 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반복측정자료의 주변 우도함수를 설정한 후, 우도함수에 기초한 분산성분을 구하여 가중일치상관계수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때, 각 분산성분은 유사/의사 우도함수 및 사후 분포에서 반복시행을 통하여 구해진다.

  • PDF

효율적인 다중 일치 프로토콜 (An Efficient Multiparty Consensus Protocol)

  • 김수진;류제철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권4호
    • /
    • pp.17-29
    • /
    • 1992
  •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 내의 모든sote들에게 분산되어 있는 정보들을 수렴하여 일치를 이루고, 그 결과를 모든 site들이 알도록 하는 다중 일치 프로토콜을 위한 효과적인 통신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분산 시스템에 참여하는 computer 또는 site들의 수를 N이라 할때, $O(N^2)$의 message를 필요로하면서 한 round안에 일치를 이룰 수 있는 프로토콜은 message의 수가 너무 많다는 것이 단점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Finite Projective Planes을 이용하여 message의 수를 줄이면서 두 round 안에 일치를 이룰 수 있는 통신 방법을 제안한다. 이때, 각 round마다 필요한 message의 수는 O(N$)이다. 또한, 이 통신 방법에서 이용되는 Finite Projective Planes을 구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한다.

  • PDF

효율적인 다중 일치 알고리즘 (An Efficient Multiparty Consensus Algorithm)

  • 김수진;류재철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1992년도 정기총회및학술발표회
    • /
    • pp.71-80
    • /
    • 1992
  •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내의 모든 site들에게 분산되어 있는 정보들을 수렴하여 일치를 이루고, 그 결과를 모든 site들이 알도록 하는 다중 일치 알고리즘을 위한 효과적인 통신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분산 시스템에 참여하는computer또는 site들의 수를 N이라 할 때, O($N_2$)의 message를 필요로 하면서 한round안에 일치를 이룰 수 있는 알고리즘은 message의 수가 너무 많다는 것이 단점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Finite Projective Planes를 이용하여 message의 수를 줄이면서 두 round안에 일치를 이룰 수 있는 통신 방법을 제안한다. 이때, 각round마다 필요한 message의 수는 O(N√N)이다. 또한, 이 통신 방법에서 이용되는 Finite Projective Planes을 구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 이용자의 지속적인 이용의도에 대한 영향요인 탐색 : 습관과 기대일치모형의 통합 (Predicting users' intention to continue mobile internet services usage : The integration of habit into the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 수실 쿠마르 무나;김승운;강희택
    • 한국산업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업정보학회 2008년도 추계 공동 국제학술대회
    • /
    • pp.404-428
    • /
    • 2008
  • 기대일치이론에 기초한 기대일치모형은 정보시스템 연구 분야에서 정보시스템의 지속적인 사용 혹은 사용의도를 설명하는 핵심 이론으로 언급되어 왔다. 이러한 기대일치모형과 더불어 최근에 정보시스템 분야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또 다른 개념은 자동화된 행동 경향을 의미하는 ‘습관’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두 가지 개념들을 기초로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지속적인 이용 상황에서 습관과 기대일치모형을 통합하는 시도를 하였다. 이에 일치,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 용이성, 습관 등의 수용후 신념, 이용자 만족, 지속적 이용의도로 구성된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J도내 250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기대일치와 지각된 유용성이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의 이용자 만족에 대한 주요 요인으로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유용성, 이용자 만족, 습관은 모바일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지속적 이용의도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지각된 이용 용이성은 이용자 만족과 지속적 이용의도 모두에 대하여 아무런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양화사 구문에서의 예외적 주어-동사 수 일치 규칙 소거 (Eliminating Exceptional Subject-Verb Agreement rules in English Quantificational structure)

  • 이재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529-535
    • /
    • 2014
  • 본 연구는 일반적인 영어교재에서 주어-동사 수 일치를 설명함에 있어서 예외적 규칙들과 다소간의 모호성이 존재하는 양화사 구조 구문에서 수 일치의 일관성을 설립하기 위함이다. 일관성의 부재는 문법성에 치명적 오류를 산출할 수 있다. 영어의 양화사 수 일치 구조에 있어서 일반적인 교재들에서 다루고 있는 예외적 규칙들은 불필요하다고 여겨지고 보편적인 주어-동사 수 일치 문법만으로 충분히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으며 예외적 규칙을 더하는 것은 영어의 문법성을 더욱 복잡하고 어렵게 만드는 것이다. 양화사들에 각기 내재되어 있는 양화사 고유특성들이 양화사가 대명사적으로 사용될 때에도 고유의 특성을 유지하게 되고 그 결과 양화사 구문의 주어-동사 수 일치와 연결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양화사 구문에서의 주어-동사 수 일치와 명사-대명사의 수 일치 규칙을 접목하여 양화사 구문의 수 일치 규칙을 단순화하여 문법성을 체계화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초등학생의 직업기대와 능력지각 및 흥미 일치도 분석 (Correspond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ticipated Vocations, Perceived Competencies, and Interests)

  • 서지윤;김미경;송수용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84-193
    • /
    • 2013
  • 본 연구는 Holland의 RIASEC 모형을 중심으로 초등학생의 직업기대와 능력지각 및 흥미 일치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생 659명을 대상으로 직업기대, 능력지각, 흥미 검사결과를 토대로 Kappa 일치 지표를 이용하여 각 변인들의 일치도 분석과 성별, 학년에 따른 일치도 분석을 실시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직업기대-능력지각, 직업기대-흥미, 능력지각-흥미 일치도는 일반 Kappa, 가중치 Kappa 두 지표 모두 유의미하게 검증되었다. 초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일치도 분석 결과 직업기대-능력지각에서는 남자, 여자 모두 유의미한 일치도를 나타냈다. 직업기대-흥미, 능력지각-흥미에서는 남자만 유의미한 일치도를 나타냈고, 학년에 따른 일치도 분석은 직업기대-능력지각에서는 5학년, 6학년 모두 유의미한 일치도를 나타냈다. 직업기대-흥미, 능력지각-흥미에서는 5학년만 유의미한 일치도를 나타냈고, 6학년은 흥미 항목에 대해 C(관습형)로 응답한 사람이 없었기 때문에 통계량을 계산할 수 없었다. 전체적으로 초등학생의 직업기대, 능력지각, 흥미 간에는 유의미한 일치 관계가 있음을 나타냈다. 이는 초등학교 5, 6학년이 되면 직업인식에서 능력과 흥미요인을 고려한다는 것을 뜻하며, 진로지도와 교육에 있어 이를 고려해야 함을 시사한다.

한국어 명사 어절 처리에서의 어휘 근접 과정 (Lexical Access in Processing Korean Noun Eojeols)

  • 민승기;이광오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05년도 제17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57-62
    • /
    • 2005
  • 한국어 명사 어절의 시간 경과에 따른 처리 양상을 확인해 보기 위하여 점화어절판단과제(primed eojeol decision task)를 이용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점화어 제시 방식은 차폐점화, SOA 100ms, SOA 300ms 조건으로 하였으며, 점화어-표적어의 관계는 어절일치, 어간일치, 통제조건으로 조작하였다. 그 결과 어절일치조건과 어간일치조건에서 촉진효과가 있었으며, SOA가 증가함에 따라 어절일치조건과 어간일치조건에서의 촉진효과도 함께 증가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 점화어의 제시 방식과 점화어-표적어의 관계간의 상호작용도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심성어휘집에서의 어절 표상의 실재성과 어절 속성과 어간 속성이 어절 처리 과정에 관여하는 방식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