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일상 생활

검색결과 3,826건 처리시간 0.032초

뇌성마비 아동의 일상생활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Factors Contributing to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 박은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206-217
    • /
    • 2009
  • 이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손상, 손기능, 대동작 기능과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 간의 인과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통해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만 6~12세 뇌성마비 아동 105명을 대상으로 근긴장도, 근력, 관절가동범위, 선택적 운동조절 능력, 손기능, 대동작 기능,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운동손상 변인 중 근긴장도, 근력, 선택적 운동조절 능력은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의 하위 영역과 상관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 < .05); 둘째, 대동작 기능과 손기능은 일상생활동작 하위 영역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5); 셋째,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손상, 손기능, 대동작 기능과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한 결과, 이 연구의 모형은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손상, 손기능, 대동작 기능과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 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통해 규명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뇌졸중 환자의 실행증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praxia on Activity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 신수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6호
    • /
    • pp.527-533
    • /
    • 2016
  • 본 연구는 실행증이 일상생활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뇌졸중 환자 38명이 참여하였으며 대상자들에게 Birmingham Cognitive Screen(BCoS) 실행증 검사와 일상생활동작 검사인 K-MBI 평가를 실시하였다. BCoS 실행증 검사의 cutoff score를 이용하여 환자들의 실행증 유무를 판별하고 실행증이 있는 환자들은 특징적인 유형으로 구별하여 일상생활수준을 ANOVA로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실행증 환자는 18명, 실행증이 없는 환자는 20으로 구분되었으며, 두 환자 군의 일상생활수준의 차이는 없었다(p>0.05). 그러나 실행증 환자군을 세부유형으로 분류하고 비교한 결과 개인위생, 식사하기, 용변처리, 계단오르기, 대변조절, 소변조절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F=4.431~9.193, p<0.05). 실행증은 일상생활 수행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므로 뇌졸중 환자를 관리하는 다 영역의 전문가들은 실행증 여부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서로 공유하여 잠재적 일상생활의 문제를 고려한 정책 및 치료 프로그램을 고안해야 할 것이다.

장애인의 대인관계가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중심 (The Effec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the Disabled on Daily Life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 김은영;이미애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8호
    • /
    • pp.145-154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대인관계가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연구대상은 장애인고용패널 5차 자료(2019)의 등록장애인 3,907명이며, 자료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관계가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정적(+)으로 유의한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대인관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정적(+) 유의수준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효능감이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정적(+) 유의수준을 파악하였다. 넷째, 대인관계가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정적(+) 부분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장애인의 일상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대인관계와 자기효능감을 증진시켜야 하는 것을 규명하였다. 이를 통해 장애인의 일상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일상생활 속 맥락 기반의 학습 서비스 디자인 - 과학 학습을 중심으로 - (Designing learning service in real life contexts using smart device - focused on science learning -)

  • 최호정;류한영
    • 디자인융복합연구
    • /
    • 제14권4호
    • /
    • pp.151-167
    • /
    • 2015
  • 일상생활 속에서 자주 접하는 대상 또는 경험을 학습에 활용하면 학생들로 하여금 공부에 대하여 보다 더 관심을 가지게 하고, 주변 환경 및 실생활과의 연계성을 파악하게 하는데 효과적이다. 하지만 일상생활 속 소재를 이용한 기존의 학습방식은 학생들이 공부에 좀 더 쉽고 편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습 설명을 위한 예시나 상황 배경으로만 실생활 소재를 사용한다는 부분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다. 학생들은 일상생활 속에서 다양한 상황을 접할 수 있는데, 그 중 학습과 연계할 수 있는 상황 맥락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일상생활 속 상황 맥락에 맞춰 적절한 학습이 이루어지게 되면 학습자는 자신이 마주하고 있는 상황이나 대상을 통해 공부할 수 있어, 보다 높은 몰입감을 경험하고 이해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일상생활 속의 맥락을 활용하는 학습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사례를 통하여 제안함으로써 학습의 효용성을 보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을 통하여 일상생활 속 맥락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학습의 교육적 의의와 이에 대한 지원도구로써 스마트 디바이스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학습 경험에 대한 사용자조사를 통하여 일상생활 속 맥락 기반의 학습서비스를 디자인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사례 연구로써 과학 학습을 제공하는 학습 시나리오를 제안하고 구체적인 UI화면을 디자인하였다.

노인의 일상생활분석을 통한 노인용 활동보조장치 설계 요인 연구 (A Study of Activity Aid Equipment Design Variables for the Aged by Analysis of ADL of the Aged)

  • 정하일;임지현;이면우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2002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
    • /
    • pp.778-784
    • /
    • 2002
  • 노인인구가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노인을 위만 제품의 개발에 있어서의 인간공학적 디자인 개념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노인의 일상 생활 활동에 대한 기존 연구는 주로 Home Tasks나 ADL의 관점에서 이루어져 왔으나 이러한 연구들은 제품 개발을 위해 이루어진 것이 아니며 노화로 야기되는 인간 기능의 저하와 노인의 일상 생활 활동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노인의 인간성능의 저하에 관한 선행연구와 노인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노인의 일상생활의 활동 Item을 추출하였다. 한편 연구의 목적을 고려하여 적절한 인간 성능 항목으로 계층도를 구성하였고, 추출된 Item과 인간성능 계층도 간의 Matrix 분석을 통해서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에 동윈되는 정도가 높은 인간성능을 분석 및 선별하였으며 선별된 인간성능을 토대로 노인은 활동 보조 장치의 설계 시 반영 할 인간성능 요소와 그 설계 방향을 제안하였다.

  • PDF

지리과 생활중심 교수-학습의 의미와 실제 (Meaning and Practice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Everyday Life in Geography Subject Matter)

  • 장의선;김일기;이민부;박승규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47-261
    • /
    • 2002
  • 본 논문은 지리과 교수-학습에서 학습자의 일상생활경험을 바탕으로 한 내용과 방법이 지리지식과 접목되었을 때, 지리과 교육의 목표성취에 보다 효과적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생활중심 교수-학습에서는 지리학과 지리교육과정에서 도출된 과학적.체계적인 비일상적 지리개념이 내용선정의 범위를 이루고, 그러한 개념들의 체계적인 위계가 내용조직의 계열성을 대신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내용 구성의 실제에 있어서는 이러한 개념들이 학습자들의 생활세계에서 경험되는 자연발생적이고도 일상적이며. 구체적인 지리적 요소로부터 이해될 수 있도록 선정.조직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지리과 생활중심 교수-학습 내용의 선정준거로는 일상적으로 학습자의 생활이 이루어지는 지역공간을 토대로 한 내용, 체계적인 지리개념을 효과적으로 인식 할 수 있는 일상생활의 구체적 내용, 변화하는 생활공간에 대한 학습자들의 지리적 생활경험을 반영하는 내용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시된 준거를 바탕으로 지리과 교육과정의 '환경문제와 지역문제'단원을 선정하여, 생활중심 교수-학습의 실제내용을 선정 개발하였다.

일상적 만남의 담화분석을 통한 정보탐색행위에 관한 연구: 기러기엄마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through the Discourse Analysis of Casual Interactions among Wild-Goose Mothers)

  • 박주범;정동열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93-112
    • /
    • 2012
  • 본 연구는 일상생활 정보탐색의 맥락에서 개인에게 생활의 모니터링 도구로 기능할 수 있는 주변 사람과의 반복적 접촉인 일상적 만남에 대해 탐색한 연구이다. 의도적 정보행위와 비의도적 정보행위의 조합인 일상적 만남의 특성을 밝히기 위해 일상생활 정보탐색 이론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9명의 기러기엄마와 일대일 면접을 수행하였다. 결론적으로 일상적 만남에서의 정보요구, 정보탐색과정, 정보탐색행위의 특성 등을 밝혀내고, 연구 참여자의 해석에 기초한 일상적 만남의 레퍼토리를 분석함으로써 정보원으로서의 가치를 살펴보았다.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참가와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성공적 노화의 관계 (Relation between Leisure Sports' Activities among Older Adults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Successful Aging)

  • 김경식;이은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424-432
    • /
    • 2010
  • 이 연구는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경험에 따른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성공적노화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 참가정도가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는 서울시에 거주하고 노인대학 및 노인복지관, 노인체육동호인조직에 소속된 65세 이상의 노인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유목적표집법을 활용하여 300명을 표집하였다, 그러나 실제 분석에 사용된 사례수는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자 162명, 비참가자 128명으로 총 290명이다. 요인분석결과 일상생활수행능력의 경우 수단적, 기본적 일상생활수행능력, 그리고 성공적노화의 경우 사회적, 심리적 노화의 하위요인이 도출되었다. 신뢰도는 일상생활수행능력 $\alpha$=.876이상, 성공적 노화 $\alpha$=.807이상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통계분석 방법은 ANCOVA, 다중회귀분석, 경로분석의 통계기법이 활용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경험에 따라 일상생활수행능력은 차이가 없다. 둘째,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노인이 비참가 노인에 비해 성공적 노화를 더 높게 성취한다. 셋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강도가 높을수록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은 높다. 넷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참가빈도가 많고 참가강도가 클수록 사회적인 성공적 노화, 그리고 참가빈도가 많고 참가기간이 길수록 심리적인 성공적 노화를 경험한다. 다섯째,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 참가정도는 일상생활수행 능력 및 성공적 노화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일상생활에 중점을 둔 가상현실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Virtual Reality Training Focus on ADL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s)

  • 박인혜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321-329
    • /
    • 2019
  •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 중점을 둔 가상현실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고자 하였다. 만성 뇌졸중 환자 2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모든 대상자는 실험군 10명과 대조군 10명으로 배정되었다. 두 군은 하루 30분, 주 5회, 4주 동안 보편적인 재활치료를 받았다. 실험군은 일상생활에 중점을 둔 가상현실 훈련을 각 회기마다 30분 추가로 받았으며, 대조군은 일반적인 가상현실 훈련을 30분 받았다. 상지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Fugl-Meyer 평가를 수행하였고, 일상생활활동 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능적 독립척도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두 군은 중재 전과 후로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두 군의 중재 전과 후의 변화량을 비교한 결과,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Fugl-Meyer 평가 하위항목 중 손목과 기능적 독립척도 총점과 자기관리, 대·소변 관리에서 유의하게 더 큰 향상이 있었다(p<.05). 본 연구의 결과는 일상생활에 중점을 둔 가상현실 훈련이 일반적인 가상현실 훈련보다 뇌졸중 환자의 손목 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더 나은 효과가 있음을 제안한다.

지역사회 노인의 라이프스타일 위험요인이 일상생활 활동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festyle Risk Factors on Daily Life and Cognitive Function of the Older Adults in the Community)

  • 임영명;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12권4호
    • /
    • pp.111-122
    • /
    • 2023
  • 목적 : 연구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15년 노인코호트 database를 이용하여 지역사회 노인의 라이프스타일 위험요인이 일상생활 활동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독립변수로 설정한 라이프스타일의 위험요인은 체질량지수, 흡연, 음주, 격렬한 운동, 중간정도 운동, 걷기 운동에 대한 변수를 분류하여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종속변수는 기본적/수단적 일상생활 활동 그리고 인지기능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성별과 연령에 따른 일상생활과 인지기능은 t-test와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라이프스타일 위험요인과 일상생활 활동, 인지기능 간의 상관관계와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 분석(Pearson correlation)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지역사회 노인의 라이프스타일 위험요인이 기본적/일상생활 활동과 인지기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력을 보였다. 기본적 일상생활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과 걷기 운동이었으며, 설명력은 1.7%로 나타났다. 수단적 일상생활 활동은 연령과 음주, 걷기 운동이었으며, 설명력은 2.6%를 보였다. 그리고 인지기능은 성별과 연령, 체질량지수, 격렬한 운동과 걷기 운동이었으며, 설명력은 5.3%로 나타났다. 결론 : 지역사회 노인들에서 라이프스타일 위험요인이 기본적/수단적 일상생활 활동과 인지기능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생물학적 노화에 직면한 노년기 노인들의 건강한 삶을 개선 및 유지하기 위해 라이프스타일 위험요인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