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일상 대화

Search Result 119,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Daily conversation service platform (일상 대화 서비스 플랫폼)

  • Yun, Jae-Min;Jee, Min-Seong;Shin, Dong-Chun;Ko, Yeon-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1a
    • /
    • pp.243-244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일상대화를 연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플랫폼을 제안하였다. 본 플랫폼을 통해서 자동으로 일상대화를 수집하고, 정제하고, 학습하여, 사람과 시스템간의 일상대화를 연속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현재 트랜드가 반영된 대화를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 PDF

KoDialoGPT2 : Modeling Chit-Chat Dialog in Korean (KoDialoGPT2 : 한국어 일상 대화 생성 모델)

  • Oh, Dongsuk;Park, Sungjin;Lee, Hanna;Jang, Yoonna;Lim, Heuise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457-460
    • /
    • 2021
  • 대화 시스템은 인공지능과 사람이 자연어로 의사 소통을 하는 시스템으로 크게 목적 지향 대화와 일상대화 시스템으로 연구되고 있다. 목적 지향 대화 시스템의 경우 날씨 확인, 호텔 및 항공권 예약, 일정 관리 등의 사용자가 생활에 필요한 도메인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도메인 별로 목적에 따른 시나리오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대화는 사용자에게 명확한 발화을 제공할 수 있으나 자연스러움은 떨어진다. 일상 대화의 경우 다양한 도메인이 존재하며, 시나리오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자연스러운 발화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상 대화의 경우 검색 기반이나 생성 기반으로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검색 기반의 경우 발화 쌍에 대한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하지만, 생성 기반의 경우 이러한 데이터베이스가 없이 모델의 Language Modeling (LM)으로 부터 생성된 발화에 의존한다. 따라서 모델의 성능에 따라 발화의 품질이 달라진다. 최근에는 사전학습 모델이 자연어처리 작업에서 높은 성능을 보이고 있으며, 일상 대화 도메인에서도 역시 높은 성능을 보이고 있다. 일상 대화에서 가장 높은 성능을 보이고 있는 사전학습 모델은 Auto Regressive 기반 생성모델이고, 한국어에서는 대표적으로 KoGPT2가 존재한다. 그러나, KoGPT2의 경우 문어체 데이터만 학습되어 있기 때문에 대화체에서는 낮은 성능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화체에서 높은 성능을 보이는 한국어 기반 KoDialoGPT2를 개발하였고, 기존의 KoGPT2보다 높은 성능을 보였다.

  • PDF

CommonAI: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for automatic-generation of Commonsense Reasoning sentence suitable for AI (AI에 적합한 일반상식 문장의 자동 생성을 위한 정량적, 정성적 연구)

  • Hyeon Gyu Shin;YoungSook S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153-159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이 생성하는 일상 대화의 품질 향상을 위해 상식 추론을 정의하고 설문을 통해 정량적, 정성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정량적 평가에서는 주어진 문장이 에게 학습시키기에 적합한가'라는 수용성 판단을 요청한 질문에서 40대 이상의 연령이 20, 30대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정성적 평가에서는 '보편적 사실 여부'를 AI 발화 기준의 주요한 지표로 보았다. 이어서 '챗봇' 대화의 품질에 대한 설문을 실시했다. 이를 통해 일상 대화를 사용한 챗봇의 대화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는 먼저, 질문의 요구에 적절한 정보와 공감을 제공해야 하고 두 번째로 공감의 정도가 챗봇의 특성에 맞는 응답이어야 하며 세 번째로 대화의 차례에 따라 담화의 규칙을 지키면서 대화가 진행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이 세 가지 요건이 통합적으로 적용된 담화 설계를 통해 완전히 인공지능스러운 대화가 가능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Reducing Toxic Response Generation in Conversational Models using Plug and Play Language Model (Plug and Play Language Model을 활용한 대화 모델의 독성 응답 생성 감소)

  • Kim, Byeong-Joo;Lee, Geun-Ba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433-438
    • /
    • 2021
  • 대화 시스템은 크게 사용자와 시스템이 특정 목적 혹은 자유 주제에 대해 대화를 진행하는 것으로 구분된다. 최근 자유주제 대화 시스템(Open-Domain Dialogue System)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됨에 따라 자유 주제를 기반으로 하는 상담 대화, 일상 대화 시스템의 독성 발화 제어 생성에 대한 연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대화 모델의 독성 응답 생성을 제어하기 위해 일상 대화 데이터셋으로 학습된 BART 모델에 Plug-and-Play Language Model 방법을 적용한다. 공개된 독성 대화 분류 데이터셋으로 학습된 독성 응답 분류기를 PPLM의 어트리뷰트(Attribute) 모델로 활용하여 대화 모델의 독성 응답 생성을 감소시키고 그 차이를 실험을 통해 정량적으로 비교한다. 실험 결과 어트리뷰트 모델을 활용한 모든 실험에서 독성 응답 생성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 PDF

Context-aware and controllable natural language generation model for task-oriented dialogue systems (목적 지향 대화 시스템을 위한 문맥 기반의 제어 가능한 자연어 생성 모델 )

  • Jina Ham;Jaewon Kim;Dongil Ya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71-76
    • /
    • 2022
  • 목적 지향 대화 시스템은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시스템으로 일상 대화와 다르게 시스템이 정보를 명확히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최근 연구에서 목적 지향 대화 시스템을 위한 자연어 생성 모델은 정해진 대화 정책에 따라 알맞은 응답을 생성할 수 있도록 의도와 슬롯 정보를 담은 대화 행위(Dialog Act)를 활용한다. 하지만 대화 행위는 생성하는 문장을 탁월하게 제어하는 반면에 대화의 흐름과 상황에 맞게 다양한 문장을 생성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목적에 부합하는 내용을 명확하게 자연어로 생성하기 위해 대화 행위를 사용하면서 동시에 일상 대화 생성 모델과 같이 문맥을 고려하여 대화 흐름에 어울리는 자연스러운 문장을 생성할 수 있는 문맥 기반의 제어 가능한 자연어 생성 모델을 제안한다. 실험에서는 KoGPT2 사전 학습 모델과 한국어 대화 데이터셋을 사용하였으며 실험을 통해 대화 행위 기반의 자연어 생성 모델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문맥 기반의 제어 가능한 자연어 생성 모델을 비교하였다. 결과적으로 대화 행위를 단독으로 학습한 모델보다 일정 문맥을 함께 학습한 모델이 유의미한 BLEU 점수 향상을 보인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 PDF

Hierarchical Bayesian Networks for Mixed-Initiative Interaction between Human and Service Robot (사람과 서비스 로봇의 상호주도형 의사소통을 위한 계층적 베이지안 네트워크)

  • 송윤석;홍진혁;조성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250-252
    • /
    • 2004
  • 서비스 로봇은 일상생활에서 사람들의 업무를 보조한다. 이때, 효과적인 서비스를 위해서는 사람과 로봇 사이의 상호작용이 매우 중요하다 대화는 사람과 로봇이 보다 유연하고 풍부한 의사전달을 하는데 도움을 준다. 전통적인 로봇 연구에서는 명령과 같은 간단한 질의 둥을 처리하는 것이 의사소통의 전부였으나, 실제 사람들 사이의 대화에서는 배경 지식이나 대화의 문맥 둥에 의해 중요한 정보가 대화에서 생략되기도 한다. 이런 상황은 여러 불확실성을 포함하게 되는데 대화의 문맥이나 불확실성을 다루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상호-주도' 방식을 통해 사람이 쓰는 일상 대화를 계층적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처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제 로봇의 시뮬레이션 환경은 제안하는 방법의 유용함을 보여주었다.

  • PDF

Developing a dialog system based on a meaning base for intel1igent traffic information serivce (지능형 교통정보 서비스를 위한 의미베이스 기반 대화시스템의 개발)

  • Oh, Young-Jin;Chang, Moon-Soo;Kang, Sun-M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5.11a
    • /
    • pp.253-256
    • /
    • 2005
  • 언어는 단순히 인간의 의사소통의 수단이 될 뿐만 아니라 사고, 추론, 판단 등의 지적활동의 도구로서 활용된다. 컴퓨터에서는 인간의 언어를 사용하여 인간과 유사한 지적활동을 실현하고 자 하는 연구로 일상언어 컴퓨팅(everyday language computing)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일상언어 컴퓨팅을 실현하는 한 예로 교통정보 서비스를 위한 대화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시스테믹 기능문법(Systemic Functional Grammar: SFG)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발화를 3개의 메타기능을 통하여 의미를 분석하고, 메타기능으로 표현된 의미로부터 시스템의 발화를 생성한다 기존 교통정보 서비스는 DB의 질의검색과 일률적인 정보제공이 일반적인 것에 비해, 제안하는 대화시스템은 대화의 의미 속에 포함된 사용자의 의도 및 의미를 분석함으로써 보다 적절한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서비스만족도를 향상 시키는 교통정보서비스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웹과 연동되는 VXML(Voice Extend Makeup Language)을 대화시스템에 적용함으로서 실용적인 인터페이스를 실행하였다.

  • PDF

Research on the Fundamental Dialogues for Communication Skills Improvement of Mixed Crew (혼승 선박에서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 대화 연구)

  • Park, Kyeung-Eun;Park, Ji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7.11a
    • /
    • pp.30-31
    • /
    • 2017
  • 본 연구는 내항상선에 승선하는 외국인 선원을 대상으로 한 표준 해사한국어 교육과정의 설계를 위한 기초 연구이다. 현재 국내선원의 부족으로 외국인 선원이 증가함에 따라 의사소통 문제를 둘러싼 여러 논의가 진행 중이다.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혼승 선박에서의 보다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일상 업무의 수행에 필요한 주요 대화를 선정하여 이것을 외국인 선원을 위한 표준 해사한국어 교육과정에 반영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여기에서는 문헌 연구와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부원의 일상 업무를 목록화하고 이들 업무의 중요도와 빈도를 조사하였다. 먼저 각국 대학에서 사용 중인 해사영어 교재와 내항상선의 외국인 선원을 교육하기 위한 교육 자료를 살펴봄으로써 1차적으로 공통되는 업무를 추출하였다. 다음으로 승선 유경험자로 구성된 전문가 위원회의 자문을 통해 업무의 범주를 설정하고 세부 업무 내용을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들 업무의 중요도와 빈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에서 주요 대화를 선정하기로 한다.

  • PDF

Cognitive Topic in the Production and Interpretation of Conversation (무엇에 관해 이야기 할까요?--인지학적 논제)

  • Lee, Chang-I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3.10a
    • /
    • pp.249-260
    • /
    • 1993
  • 우리 일상 생활에서 매일 이루어지는 대화(conversation)를 살펴보면, 모든 대화는 어떤 '논제(topic)'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이 논문은 이런 논제 중심의 대화를 인지학적인 견해에서 재고해보고자 한다:논제는 우리의 인지구조로부터 어떻게 선택되며, 채택된 논제는 어떻게 상대방에게 전달되는가?

  • PDF

부부간의 대화와 성생활로 활력 찾기

  • 대한가족보건복지협회
    • 가정의 벗
    • /
    • v.37 no.12 s.436
    • /
    • pp.20-21
    • /
    • 2004
  • 성(性)이라는 한자가 지니는 의미는 마음(心)과 몸(生)이 합쳐져 있는 것이다. 성이 단순히 쾌락만을 의미하지 않으며 몸과 마음이 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뜻이다. 부부간의 많은 대화와 성생활을 통해서 일상에서의 활력을 찾을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