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일산대교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Analysis on Effects of the Ilsan Bridge by a Two-dimensional Flow Model (이차원 흐름모형을 이용한 일산대교 영향 분석)

  • Lee, Nam-Joo;Lee, Sam-Hee;Park, Su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68-168
    • /
    • 2011
  • 본 연구는 일산대교의 교각이 한강 하류부의 지형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준비단계로서, 이차원 흐름모형을 사용하여 일산대교 교각에 의한 흐름변화를 분석하였다. 일산대교 교각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일산대교 상류 쪽 1.2 km부터 하류 쪽 1.7 km까지 약 2.9 km 구간을 대상으로 RMA-2 모형을 사용하여 흐름을 예측하였다. 이 구간의 하상고는 EL. -5.01 m ~ EL. 2.20 m이다. 일산대교의 교각이 있을 경우에 대한 절점 개수가 7,083개, 유한요소의 개수는 2,799 개이며, 교각이 없을 경우에 대해서는 절점 개수가 7,121개, 유한요소의 개수는 2,856개이다. 일산 대교에 의한 영향 검토 결과, 교각으로부터 상하류로 200 m 정도 떨어진 영역에서는 유속 벡터의 경향에서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산대교 근처에서는 교각의 방향에 따라 흐름 방향이 유도되고 직상류에서 흐름의 방향이 급격히 변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반면, 일산대교 하류에서는 교각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Wintering Habitat Use of white-naped Cranes Grus vipio in Han River Estuary, Korea (한강하구에 도래하는 재두루미의 서식지 이용 현황)

  • Kang, Tae-Han;Yoo, Seung-Hwa;Kim, Hwa-Jung;Lee, Ki-Sup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3 no.3
    • /
    • pp.250-257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habitat use of White-naped Cranes Grus vipio in Han river estuary during the wintering period from 2006 to 2008 (October$\sim$March). The average numbers of wintering White-naped Cranes were 106.6$\pm$21.7 (Mean$\pm$SD) individuals, and the highest number of 140 individuals were recorded in the early January, 2008. The wintering habitat use of White-naped Cranes between rice field and mudfla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Mann-Whitney test. p=0.40) during the wintering period. However, White-naped Cranes spent more time on the rice field in the early winter (p<0.01), and on the mudflat in the late winter(p<0.01). There was not a difference of the habitat use rate on middle winter. White-naped cranes used four different sites of rice field: Hongdopyoung, Pyoungdong, Ihwadong and Janghang rice fields. Among them, Hongdopyoung was the main foraging sit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of habitat use ratio in the early and mid winter ((Kruskal-wallis test. p<0.01). White-naped Cranes used mudflat area from Gimpo Daegyo to Nusanri of Han river estuary. Especially, they preferred four sites from Gimpo Daegyo to Ilsan Daegyo more than the other sites. Habitat use rate of mud fla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each site during the wintering period (Kruskal-wallis test. p<0.01)

A Study on the Wetland Restoration for the prevention of Stream Aggradation (하천 육역화방지를 위한 습지복원방안에 관한 연구)

  • Ahn, Ho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18-218
    • /
    • 2020
  • 우리나라의 하천은 홍수방어와 토지이용을 목적으로 제방을 설치하고 하도를 직강화화 시켰으며, 저수로와 홍수터를 분리하는 단면의 조성 그리고 하천의 홍수터를 농경지나 공원 및·주차장 등으로 활용하는 등 홍수터를 인위적으로 고착화시켜왔다. 더욱이, 상류의 댐 및 저수지에서 방류량을 조절함으로써 중소규모의 홍수가 줄어드는 등 하천 흐름의 변화를 나타내는 유황이 단순해져 하상변화가 감소되고 건조화됨으로 인하여, 식생침입 등에 따른 하천 수림화가 진행되고 이로 인하여 하천이 습지라고 볼 수 없는 육역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기 위한 올바른 하천환경 관리를 위하여 해당하천에 대한 육역화의 원인규명 및 대책수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1986년에 신곡 수중보가 건설되었고 이로인하여 하류의 수리적 환경 등의 여건변화로 사주의 변화가 급격히 진행된 한강의 장항습지를 대상으로 하천 육역화 현황 분석 및 외국의 하천 육역화 복원사례를 통하여 장항습지에서의 복원방안을 제안하였다. 장항습지는 한강하구를 향하여 우안으로 가늘고 길게 형성된 사주로서, 본 연구에서는 종단길이 약 7.5km(신곡수중보~일산대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구간 내 사주의 폭은 최장 약 500m, 최단 약 60m 정도이다. 장항습지의 경년별 면적비교 결과, 장항습지는 1985년대비 현재 약 11.7배로 확대되었으며, 특히 2016년도에 급격히 증가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Case Study on Local Scour Evaluation of Il-San Bridge (일산대교 교각세굴 평가 사례 연구)

  • Lee, Ju-Hyung;Kwak, Ki-Seok;Park, Jae-Hyeon;Chung, Moon-Kyung;Yoon, Hyu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5.03a
    • /
    • pp.667-676
    • /
    • 2005
  • In this research, the reasonable local scour estimates considered conditions of the bed material and the flow was accomplished on two piers P14 and P17 of Il-san bridge. Especially, the Il-san bridge was located on the lower Han-river where is influenced by the tides of In-chon, and it has hydraulic condition that can cause the bridge piers local scour because of tides at ordinary times, as well as a flood. Therefore, the local scour depth has been presented influenced by the maximum velocity of the flow when a flood after construction and the tides on construction on the basis of the standards of river design and road design, furthermore, the results was made a comparative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local scour depth on the basis of the standards of river design was higher than it on the basis of the standards of road design(SRICOS), and the local scour depth influenced by the maximum velocity of the flow when a flood after construction was determined the final local scour depth of P14 and P17 at the Il-san bridge. It was ascertained that the local scour depth did not exceed the inserted depth of bridge found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