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일본어

검색결과 361건 처리시간 0.032초

일본 자동차산업의 전망

  • 대한타이어공업협회
    • 타이어
    • /
    • 통권73호
    • /
    • pp.20-28
    • /
    • 1977
  • 「일본 자동차산업의 전망」,이 원고는 일흥리서어치 센터어의 조사연구(동센터어 투자월보 6월호에서 발표)에 의한 것으로써 일본 자동차산업의 특징, 최근의 동향, 중기전망을 3대지주로 해서 수집한 것이다.

  • PDF

한일 기계번역을 위한 보문의 수식 Scope 해석 (The Modification Scope Analysis of the Embedded Sentences in Korean and Japanese Machine Translation)

  • 이수현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96년도 제8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346-350
    • /
    • 1996
  • 한일 양언어의 복합문은 여러가지의 통어 현상을 가지며, 주어, 목적어 등의 생략 현상으로 문장의 표층상에 나타나지 않는 것이 있기 때문에 수식구조의 처리가 복잡해지고, 구문해석에 있어서 애매성의 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DPN에 의하여 한국어와 일본어의 수식 scope를 해석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한일 양언어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어, 한국어와 일본어의 보문을 표현형식으로 나타내고, 동사의 격정보로부터 DPN을 구성하여 DPN상에서 보문의 수식 Scope를 해석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 PDF

바이그램 색인에 기반한 한-일 교차언어검색 (Korean-Japanese Cross Lingual Information Retrieval Based on Bi-gram Indexing)

  • 이규찬;강인수;나승훈;이종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2 No.1 (B)
    • /
    • pp.448-450
    • /
    • 2005
  • 교차언어검색 시스템은 다양한 언어자원을 필요로 한다. 여기서는 한-일 대역어 사전과 일본어 문서의 바이그램 색인만을 이용해서 교차언어검색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한국어로 된 자연어 질의에서 형태소분석기 등의 도움 없이 간단하게 일본어 대역어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는 방법과, 검색의 성능을 올릴 수 있도록 대역어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실험을 통해 제시한 방법을 평가하고 분석한다.

  • PDF

한국어-일본어 정렬 기법 연구 (Aligning Word Correspondence in Korean-Japanese Parallel Texts)

  • 김태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상)
    • /
    • pp.293-296
    • /
    • 2001
  • 병렬 코퍼스의 확보가 과거에 비해 용이하게 됨에 따라 기계번역, 다국어 정보 검색 등 언어처리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대역 사전 구축의 도구로서 정렬(Alignment) 기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일본어 병렬 코퍼스를 이용한 정렬 기법에 관하여 제안한다.

  • PDF

일-한 기계 번역에 있어서 한국어 술부의 생성과 평가 (Generation of Korean Predicates for Japanese-Korean Machine Translation System and its Evaluation)

  • 김정인;문경희;이종혁;이근배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96년도 제8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329-337
    • /
    • 1996
  • 일-한 기계 번역을 연구하는 많은 연구자들은 양국어의 문절-어절 단위의 어순 일치와 같은 구조적 유사성을 최대한 이용하기 위해 직접 번역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어와 한국어 술부간에는 대응하는 품사의 불일치 및 국부적인 어순의 불일치 등이 어려운 문제로 남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 술부 표현의 불일치를 해결하기 위해 이미 제안하였던 "양상 테이블을 기반으로 한 한국어 술부의 생성 방법"에 대해 좀더 체계적인 평가를 하고자 한다. 이 방법은 술부만을 대상으로 하는 추상적이고 의미 기호적인 양상 자질(modality feature)을 테이블화(양상 테이블)하여, 양국어의 술부 표현의 피봇(pivot)으로 이용함으로써 술부 양상 표현의 효과적인 번역을 가능하게 하였다. 일본어 499 문을 대상으로 실제 술부의 번역처리를 시행해 본 결과, 약 97.7%가 자연스럽게 번역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술부의 생성 부분은 일본어에 의존하지 않는 양상 테이블을 도입함으로써 일-한뿐만 아니라 다른 언어로부터의 한국어 술부 생성에도 적용시킬 수 있을 것이다.

  • PDF

일본어 악센트 특징을 이용한 합성단위 선택 기반 일본어 TTS의 후보 합성단위의 사전선택 방법 (A Pre-Selection of Candidate Units Using Accentual Characteristic In a Unit Selection Based Japanese TTS System)

  • 나덕수;민소연;이광형;이종석;배명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59-165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합성단위 선택 (unit selection) 기반 일본어 합성기에 필요한 후보 합성단위들에 대한 사전선택 (pre-selection)의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인 사전선택 방법은 하나의 억양구에서 음소 열에 대한 비용을 계산하여 이용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일본어는 다른 언어와는 다르게 상대적인 피치의 높낮이로 나타나는 악센트를 가지는 언어이고, 몇 개의 단어가 하나의 악센트구를 형성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일본어의 운율은 악센트 구를 기본 단위로 하여 변화하는 특징이 있어서, 사전선택에서 이러한 악센트 구 단위의 운율 변화를 반영함으로써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악센트 구에서 음소 열에 대한 비용을 계산하여 억양구에서 하는 것보다 계산량을 줄일 수 있다. 제안한 방법은 일본어의 악센트 구를 정의하여 음소 열에서 이것을 분석하고, 각 악센트 구에서 합성 할 음소의 각 후보에 대해 CCL (Connected Context Length)을 구하는 악센트 구 매칭을 이용하여 사전선택을 수행하는 방법이다. 제안한 방법은 Voiceware의 합성기인 VoiceText를 baseline 시스템으로 사용하여 구현하였고, 인지적 에러 (억양 에러, 연결 에러)와 합성시간에 대해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은 합성 음질을 보다 자연스럽게 향상시켰고, 합성 속도를 개선하였다.

과학기술정보-열대어를 이용한 새로운 폐수처리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10권10호통권101호
    • /
    • pp.38-40
    • /
    • 1977
  • 일본열대어연구소에 의하면 가정에서 배출되는 각종 폐수나 식품가공공장 등에서 방기되는 폐수를 열대어로 정화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폐수처리방법을 개발하였다고 한다. 이 방법은 지금까지 널기 사용되어온 물리적, 화학적인 폐수처리방법과는 달리 열대어를 중심으로한 일종의 동식물의 천적이용이란 점에서 매우 흥미로운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더우기 2차 공해의 염려도 없기 때문에 금후 활성오니법(박테리아가 혜우기물을 섭취함으로써 폐수를 정수로 전환케 하는 폐수처리법)등과 같은 다른 처리방법과 함께 일본 각지로 보급될 전망이라고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열대어를 이용한 폐수처리방법에 관하여 소개하리고 한다.

  • PDF

세계 주요타이어회사의 해외진출동향을 추적

  • 대한타이어공업협회
    • 타이어
    • /
    • 통권66호
    • /
    • pp.27-35
    • /
    • 1976
  • 일본의 타이어메이커어에 있어서 수출은 매상고의 약삼분지일을 점하기까지 성장했다. 연이나 일본의 수출은 제품수출(타이어 단체수출)이 대부분이며 자본진출-공장진출은 구미의 타이어메이커어에 비해 굉장히 적다. 그래서 인니 이란 양공장을 완성시켜 해외에 4개 공장을 보유한 BS 타이어의 석단상무에게 앞으로의 해외정책에 대해서 인터어뷰우하고 이어서 세계의 타이어 메이커어의 해외공장진출의 움직임을 추적해보았다-편집부

  • PDF

한일 양국어 연결어미의 비교연구 - 일한 번역기에서 ${\sim}$[-아/-고]의 애매성 해소를 통하여 - (A Study on the Korean and Japanese Connective Endings)

  • 허남원;정유진;문경희;이종혁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98년도 제10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153-158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한일 양국어의 연결어미에 관한 문법적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연결어미 번역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일본어 연결어미 가운데서 가장 빈번히 사용되고 있으나 한국어로 기계번역할 경우 심각한 중의성을 보여온 [-아/-고]를 이에 상응하는 대표적 한국어 연결어미 [아/-고] 와 문법적 차원에서 비교 분석하여 자연스럽게 번역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의 일한기계번역 시스템에서는 일본어 연결어미 [-아/-고]의 한국어 번역 정확률이 약 54% 정도에 불과하였으나 제안하는 번역방법을 적용하면 73% 이상으로 개선됨을 보인다.

  • PDF

한-일 기계번역 시스템에서 관형격조사 'no'의 복원 (Restoration of Adnominal Case 'no' in Korean-to-Japanese MT System)

  • 정유진;허남원;이종혁;김태석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99년도 제11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115-120
    • /
    • 1999
  • 기존의 한-일 기계번역 시스템에서는 합성명사의 번역시 별도의 처리과정을 두지 않고 단순히 단어 각각을 일본어로 직역하여 변환시키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합성명사의 번역 방법은 대부분의 경우 잘 적용되지만, 매우 부자연스러운 일본어 표현이 되는 경우도 많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번역 방법이 갖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합성명사를 관형격조사가 삽입된 명사구로 변환시키기 위해 표층 레벨에서의 어휘간 결합력과 명사 간의 의미 관계를 이용한 관형격조사 'no'의 복원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보다 자연스러운 일본어 문장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