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일본어

Search Result 360,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A Japanese Input Method for Platform-Free System Environment (플랫폼독립 시스템환경에서 일본어 입력 방법)

  • Song, Soo-Bum;Lee, Hyong-Jick;Byun, Jeo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a
    • /
    • pp.589-592
    • /
    • 2002
  • 현행 일본어 입력방법은 운영 체제 의존적 문자입력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즉 운영 체제가 채택하는 문자입력방법과 문자 코드체계에 의존적이다. 특히 인터넷의 발전으로 세계 어느 곳에서나 인터넷을 이용하여 정보 검색이나 진자상거래와 같은 일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문자코드체계의 발전으로 일본어지원 운영체제가 아니더라도 일본어 폰트만 있으면 일본어로 된 웹사이트를 볼 수 있다. 그러나 일본어 입력은 운영체제의 문자입력기(IME : Input Method Editor)에 의존하기 때문에 일본어지원 운영 체제가 아니면 일본어를 입력 할 수가 없다. 이러한 이유로 웹에서 플랫폼에 상관없이 일본어를 입력 할 수 있는 기능이 절실히 필요하다. 본 논문은 플랫폼 독립적인 환경에서 인터넷을 통한 일본어 입력방법의 필요성과 그것이 가지는 한계점을 검토하고 응용프로그램과 연동하는 일본어 입력방법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 PDF

Japanese composition system design based on writing Korean (한국어 작성에 의한 일본어 작문지원시스템 설계)

  • Chang, Won;Yhu, Sang-Hwa;Sim, Chul-Min;Kim, Tae-Wa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7.10a
    • /
    • pp.296-302
    • /
    • 1997
  • 본 논문은 일본어 작문지원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일본어에 대한 언어지식이 전혀 없더라도 한국어 작성 능력만으로 일본어를 작문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일본어 작문지원 시스템 개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일본어 작문지원 시스템은, 사용자가 일어로 작문하고자 하는 문장을 한 국어의 어절단위 또는 연속된 문자열로 작성해 나가면, 시스템이 자동개입하여 한국어 분석기술과 일본어로의 변환/생성 기술로 일본어의 대응 문자열을 생성해 준다. 따라서 한국어 작성능력만으로 일본어를 작문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한국어 분석의 중의성과 일본어 변환시 대응어 선택의 중의성 문제가 있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시스템이 사용자 대화창에 제공하는 한국어 도움말 정보를 참조하여 선택함으로서 문제점을 해소하여 정확한 작문을 유도한다.

  • PDF

Comparative Study on Korean Vowels and Japanese Vowels by Korean Speakers and Japanese Speakers (한국어와 일본어의 모음에 관한 한국인과 일본인의 포먼트값 대조 분석)

  • 이재강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c
    • /
    • pp.403.2-408
    • /
    • 1998
  • 한국인과 일본인의 한국어 모음 포먼트값 차이 비교 연구에서, 한국어 [이]는 한국인이 일본인에 비하여 혀의 높이가 낮게 나타났으며 한국어 [에, 애, 오] 모음에서 한국인은 일본인에 비하여 혀의 높이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추론되었다. 후설 모음 [오, 우, 으]에서 한국인은 일본인에 비하여 혀 위치는 보다 후설성으로, 한국어 [어]는 한국인이 일본인에 비하여 혀 위치가 전설성으로 발음하는 것으로 추론되었다. 한국인과 일본인의 일본어 모음 포먼트값 차이 비교 연구에서, 일본어 [이]를 제외한 모든 모음에서 한국인은 일본인에 비하여 혀의 높이는 높게 나타났으며 일본어, [오, 우]에서 혀 위치에 한국인은 일본인에 비하여 보다 후설성으로 발음하는 것으로 추론 가능했다.

  • PDF

An Acoustic Analysis on the Plosives of Korean and Japanese

  • Lee Seungmie
    • MALSORI
    • /
    • no.21_24
    • /
    • pp.111-122
    • /
    • 1992
  •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에 있어서 세 가지 유형의 파열음과 일본어에 있어서 두 가지 유형의 파열음과 일본어에 있어서 두 가지 유형의 파열음이 보여주는 시간적 특성을 어두 위치 및 모음간 위치로 나누어 비교해 보았다- 한국어에 있어서 세 가지 유형의 파열음은 어두 위치에서 모두 무성음으로 실현되므로 성의 대립으로는 이들을 유형화 할 수 없고, 그보다는 조음의 힘과 기식의 유무에 따라 연음, 무기 경음, 유기 경음으로 분류하는 것이 타당하다. 이에 비해 일본어 파열음은 유성음인 연음과 무성음인 경음의 두가지 유형으로 대립된다. 유성음과 무성음, 그리고 유기음과 무기음의 구분에는 파열음의 개방에서부터 성대 진동까지의 시간인 성 시작 시간(VOT)과 기식의 길이가 변수가 된다. 경음과 연음의 구분에는 선행 모음의 길이, 폐쇄 지속 시간, Vl/(Vl+CL)의 비율이 유용한 정보가 된다. 양국어 어두 파열음의 VOT를 비교해 볼 때, 일본어 유성음은 음수의 VOT를 가지며, 한국어 무기 경음에서는 VOT가 10msec정도로 짧게 나타나고, 그 다음으로 한국어 연음. 일본어 무성음, 한국어 유기 경음의 순서로 길어진다. $\frac{선행 모음의 길이}{(선행 모음의 길이+폐쇄 지속 시간)}$의 비율은 언어의 특성도 반영해 주는데, 한국어의 경우 연음: 무기 경음: 유기 경음의 비는 0.63: 0.30:0.35, 일본어의 경우 유성음:무성음의 비는 0.69: 0.45로 나타났다. 청취 실험을 통해 한국인의 자음 인식 경향을 살펴본 결과, 성대 진동의 유무를 변별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한국인 화자는 일본어 유성음은 연음으로, 무성음은 경음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일양언어의 음운조직과 일본어청취의 상관분석

  • 정혜경
    • Proceedings of the KSPS conference
    • /
    • 1996.10a
    • /
    • pp.534-534
    • /
    • 1996
  • 본 연구는 한국인 일본어학습자의 일본어 청취상의 난점을 한일 양언어의 음운 조직의 차이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문제의 소지와 그 해결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으로서는, 초급일본어 학습자인 일어일문학 전공학생 1학년 30명을 대상으로 두재의 다른 종류의 청취태스트를 2회에 걸쳐 실시, 그 자료를 통계적으로 분석.고찰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분석내용은, 첫째 청취테스트의 결과로부터 한국인 일본어학습자의 일본어 청취에 있어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오류의 패턴을 분석하고, 둘째 그 오류의 패턴의 원인을 한일 양언어의 음운조직의 상이함을 대조.분석하므로써 구조적 원인을 이론적인 측면에서 보다 명백히 밝혀냈다. 끝으로, 한국인 일본어학습자의 일본어 청취상의 난점과 문제점을 미리 예측하고 제시할 수 있는 항목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효과적인 일본어 교육은 물론 동시에 한국어교육에 있어서도 이 연구의 결과가 적용.응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A Case Study on Universal Dependency Tagsets of Japanes (일본어의 Universal Dependency 태그셋 적용 사례 연구 - 한국어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Lee, Jin;Han, Jiyoon;Kim, Hansaem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8.10a
    • /
    • pp.323-328
    • /
    • 2018
  • 한국어는 교착어적 특성으로 인하여 어미와 조사가 매우 발달되어 있다. 그러므로 영어와 같은 굴절어를 중심으로 설계된 UD를 한국어에 적용하는 것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형태통사적 특성이 유사한 일본의 UD 적용 사례를 살펴보고 한국어의 UD 적용 양상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서 한국어의 UD 적용 및 개선 방안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한국어와 일본어는 동일한 교착어로서 비슷한 특성을 지니고 있으나, 주석의 기본 단위 설정에서 차이를 보이면서 UD를 적용하는 양상이 달라졌음을 확인하였다. 일본어의 UD 주석에서 형태 분석 기본 단위인 단단위(Short unit word, 長單位)를 기본 구문 주석 단위로 하되 장단위(Long unit word, 短單位)와 문절 정보를 이용하는 것처럼, 한국어에서도 형태 분석 단위를 기준으로 의존 관계를 주석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PDF

The Effect of Orthography on Electronic Character Reading and Comprehending Ability in Japanese Education using ICT (ICT를 활용한 일본어 교육에서 문장 표기 형식이 영상문자 낭독 및 내용 파악에 미치는 효과)

  • Kang, Shin-Cheol;Kim, Min-Ki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7 no.6
    • /
    • pp.85-93
    • /
    • 2004
  • We investigated the proper display environment for japanese electronic character reading lessons through the experiment with a projection TV and a computer. For the purpose of finding out the effect of prior learning activities at the context of authentic Japanese text orthography, which includes dual notation, words spacing, etc., we also made an experiment on comprehending the web documents which are extracted from japanese web sites.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we acquired a conclusion that two approaches are needed to enhance the ability of comprehending Japanese web documents which is newly added to the 7th curriculum revision. For short-term approach, we need to utilize Japanese web documents as learning materials. For long-term approach, we have to reconsider whether the orthography of the current Japanese textbooks is suitable or not.

  • PDF

ETRI신기술-한.일 자동번역 기술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4 no.4 s.58
    • /
    • pp.131-132
    • /
    • 1999
  • 일본어로 구성된 일본어 웹 정보를 한국어로 자동 번역하여 주는 한.일 자동 번역 시스템으로서 다중 사용자를 지원하는 서버 형태로 구현되었으며, 일본어 어휘 분석, 일-한 변환, 한국어 생성을 수행하는 번역 엔진부와 일-한 자동 번역에 필요한 한.일 자동 번역용 사전(20만 단어), 번역 규칙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PDF

Japanese Predicate Generation in Korean-Japanese Machine Translation (한일 기계변역에서 일본어 술부생성)

  • Kwak, Jong-Geun;Kim, Eun-Ja;Lee, Jong-Hyeok;Lee, Geun-Ba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4.11a
    • /
    • pp.173-176
    • /
    • 1994
  • 서로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 사이에 언어의 장벽을 넘기 위한 수단으로 컴퓨터를 이용한 기계번역이 각광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일 기계번역 시스템에서 한국어로부터 일본어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에 관해 다룬다. 일본어는 한국어와 문법적 특성이 거의 유사하여 기계번역의 방법 가운데 직접 번역 방식이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일본어의 한 술부내의 문법형태소들은 한국어와 비교해 볼 때, 상이한 점이 많아서 다른 부분에 비해 자연스러운 생성이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한일 기계번역에서 일본어의 생성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 PDF

The Method of Deriving Keywords Using Concept Rules (개념 규칙을 이용한 키워드 도출방법)

  • 이태헌;박기홍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d
    • /
    • pp.685-687
    • /
    • 2002
  • 일반적으로 인간이 사용하는 몇 개의 주요단어를 이용하여, 문서의 분야나 주제어가 되는 일본어 키워드를 추출하는 점에 주목한다. 먼저, 학술논문에서 저자 자신이 부여한 키워드 중 분야 명이나 주제어가 문서 중에 출현하지 않는 경우를 분석하고, 단어의 개념정보를 기초로 복합어 생성규칙을 구축한다. 문서 의미와 상관없는 키워드의 추출을 억제하기 위해 중요도 결정법을 새롭게 제안한다. 추출된 키워드의 타당성 검사를 위해 자연.음성언어에 관한 일본어 논문 65파일의 타이틀과 초록부분을 이용하여 추출된 키워드의 타당성에 대한 실험을 한 결과 추출 정밀도는 중요도의 상위 1개를 출력한 경우 75%가 되어 제안방법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