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일본건축사대회

Search Result 10,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협회소식

  •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 Korean Architects
    • /
    • no.10 s.223
    • /
    • pp.94-96
    • /
    • 1987
  • PDF

제9회 아카시아 포럼 참가기

  •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 Korean Architects
    • /
    • no.2 s.346
    • /
    • pp.74-83
    • /
    • 1998
  • 우리 협회가 회원국으로 가입되어 있는 아시아건축사협의회(ARCASIA : Architects Regional Council for ASIA)가 격년제로 개최하고 있는 아시아건축사대회 및 아카시아토론회가 지난해 9월20일부터 24일까지 일본 동경에서 개최되었다. "아시아건축의 미래"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제9회 아카시아토론회는 JIA(신일본건축가협회) 창립 10주년 기념행사를 비롯해 건축기행 등 다채로운 행사와 연계해 아카시아회원국과 세계 각국의 유명 건축가들이 대거 참여한 가운데 성대히 거행되었다. 이번 포럼에는 우리 협회에서도 아시아 회원국간의 건축정보교류 및 협력증진을 위하여 김영수 회장을 단장으로 한 20명의 회원이 참석하였다.

  • PDF

몽골건축을 찾아서(1)

  • Park, Seo-Hong
    • Korean Architects
    • /
    • no.9 s.317
    • /
    • pp.64-69
    • /
    • 1995
  • 본지에서 소개하고 있는 '한국의 건축가' 기획연재는 그동안 게재 되었던 이희태(95년 3월호 ~ 5월호), 김정수(95년 6월호 ~ 8월호)에 이어 건축가 김수근(1931~1986)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이번호부터 소개되는 건축가 김수근편 에서는 그가 태어난 1931년부터 1960년까지의 유년시절과 건축의 수련기(성장배경과 서울의 북촌, 일본에서의 건축교육)를 시작으로 1960년부터 1972년까지의 한국건축의 새로운 이념형을 찾아서(김수근 건축연구소,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인간환경 계획연구소), 공간시대(1972년~1986년)등으로 구분하여 그의 작품세계를 지난해 12월 15일 개최됐던 제6차 아시아건축사대회 기간 중 우리 협회와 몽골건축사협회가 상호 협력을 위한 협정체결을 합의, 서명함으로써 이루어진 이번 여행은 몽골건축사협회 공식 초청으로 지난 7월 22일 시작됐다. 6박 7일의 일정으로 한몽 건축기술 정보교류 및 우호증진과 상호 긴밀한 유대 관계를 위해 김규태 우리협회 회장을 단장으로 한 방문단은 협회이사와 국제위원 7인을 단원으로 구성, 찬란한 역사를 지닌 몽골을 찾았다. 이글은 초원의 나라 몽골을 다녀와서 방문단의 일원으로 참여한 박서홍(희산건축)씨가 몽골건축을 중심으로 그 문화를 소개, 연재한다.

  • PDF

KSEA Message to SEWC 2002

  • Korean Structural Engineers Association
    • 건축구조
    • /
    • v.9 no.4
    • /
    • pp.18-18
    • /
    • 2002
  • 지난 10월 9일 부터 10월 12일까지 일본 Yokohama에서 열린 SEWC2002 대회 Opening ceremony에서 SEWC2002 대회장인 Dr. Yano의 개회사에 이어 각 이사 단체 (Board Menber)의 대표가 보내온 축하메시지가 연단 배면 대형 스크린에 차례로 비추어 졌는데 다음은 당일 방영된 우리회 유병억 회장의 축하 메시지 내용이다.

  • PDF

ARCASIA(아시아건축사협의회)란 무엇인가

  •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 Korean Architects
    • /
    • no.2 s.358
    • /
    • pp.53-55
    • /
    • 1999
  • 제10회 아카시아 토론회가 본 협회(KIRA) 주최로 오는 9월 13일부터 17일까지 인터컨티넨탈호텔 국제회의장에서 개최된다. "아시아에서의 기술, 전통 그리고 건축"을 주제로 열리는 이번 토론회에는 우리나라를 비롯해 중국, 일본 등 아시아지역 16개 회원국 대표단과 행사관계자, 그리고 일반참가자 등 약 1천여명이 참가해 아시아지역 건축사들간 유대를 강화하고 주제 토론을 통한 기술교류 및 건축정보를 교환하게 된다. 5박6일간의 일정으로 진행될 이번 행사는 토론회와 함께 공식행사로 아카시아 이사회와 교육위원회 회의가 열리며 아시아건축상 시상식과 각종 전시회, 건축탐방, 한국건축소개 등 다양한 부대행사가 열린다. 특히 "건축문화의 해"를 맞아 개최되는 이번 ARCASIA Forum 행사에는 지명도가 높은 외국 건축사들이 상당수 우리나라를 찾을 것으로 예상돼 많은 건축인들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으며 아울러 한국에서의 대규모 국제행사 개최를 계기로 침체돼 있는 우리 건축계에 활력을 불어넣고 한국건축의 위상을 한단계 끌어 올리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우리 협회는 88년아카시아대회를 제외하고는 국제관련 행사가 주로 외국에서 열렸던 관계로 직접적으로 행사에 관계했던 인사나 일부 관심있는 국내 건축사 이외에는 아카시아의 성격과 역할 등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고 그만큼 관련행사에 대한 관심도가 적었던 것 같다. 그러나 국제사회는 국가간의 개방과 정책에 따라 사회 전 분야에 걸쳐 새로운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건축관련부문은 민간사업뿐 아니고 정부 조달시장까지도 개방되어 외국 업체가 참여하고 있는 실정이다. 건축설계 또한 시장개방의 압력을 직간접적으로 받고 있을 뿐 아니라 그것이 점차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우리 건축계는 지속적인 국제교류를 통해 세계 건축시장이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 그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적절한 대처가 필요한 상황이다. 그동안 아카시아는 회원국의 현안에 대해 서로의 정보교환과 토론이 있었으며, 아시아 각국의 입장을 대변하여 서방세계와 의견교환을 통해 지속적인 대화를 해 왔다. 이와 관련하여 본지에서는 ARCASIA Forum의 서울개최를 계기로 ARCASIA에 대한 독자 여러분의 이해를 돕고자 아카시아의 연혁과 성격 그리고 관련행사 및 회의구성 등을 요약하여 소개하고 또한 지난 85년 이후 우리 협회가 한국대표로 참가해 활동한 내용 등을 정리해 이번호부터 게재코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Choryang-Waegwan (초량왜관의 조영활동에 관한 연구)

  • Chung Ye-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5.10a
    • /
    • pp.195-216
    • /
    • 2005
  • This study concerns especially Choryang-Weagwan which was the largest Japanese House left in Pusan through Chosun Dynasty.Choryang-Waegwan was known to have been jointly constructed by Korean and Japanese carpenters. Therefore, Weagwan was a place for exchange of architectural tradition (special features such as sliding door and straw mat) between Korean and Japan. Judging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certain that mutual influences helped to shape architecture of Choryang-Weagwan. After establishment Choryang-Weagwan was gradually extended, owing to the prosperity of trade with Japan. But since late 18th century government of Chosun did not give as much care to maintaining Choryang-Weagwan as a result of deteriorating condition of commercial and diplomatic relations with Japan. From the beginning of Choryang-Weagwan construction, Superintendents of the construction were called Hun-do and Byl-cha, who acted as official interpreters as well. And, during construction works, they were called Gamdong-gwan. At the start of construction, Weagwan was built partly in Japanese-style by the carpenters from Tokugawa Shogunate. But as time passed, the participation rate of Japanese carpenters diminished gradually. After 1831, Japanese technician vanished extremely and repairing construction was continued by the Korea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