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일본건축가

검색결과 22건 처리시간 0.038초

일본의 대표적인 건축가이자 도시계획가-Kenzo Tange

  • 김수진
    • 주택과사람들
    • /
    • 통권193호
    • /
    • pp.54-55
    • /
    • 2006
  • 일본 히로시마 평화 센터 프로젝트 설계 참여로 유명세를 치른 건축가 단게 겐조. 그는 이에 만족하지 않고 도시계획에 이르기까지 그 영역을 확대하여 공간에 관한 그만의 재능을 유감없이 보여주었다.

  • PDF

한국의 건축가 - 김수근(1)

  • 정인하
    • 건축사
    • /
    • 9호통권317호
    • /
    • pp.56-63
    • /
    • 1995
  • 본지에서 소개하고 있는 '한국의 건축가' 기획연재는 그동안 게재 되었던 이희태(95년 3월호 ~ 5월호), 김정수(95년 6월호 ~ 8월호)에 이어 건축가 김수근(1931~1986)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이번호부터 소개되는 건축가 김수근편 에서는 그가 태어난 1931년부터 1960년까지의 유년시절과 건축의 수련기(성장배경과 서울의 북촌, 일본에서의 건축교육)를 시작으로 1960년부터 1972년까지의 한국건축의 새로운 이념형을 찾아서(김수근 건축연구소,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인간환경 계획연구소), 공간시대(1972년~1986년)등으로 구분하여 그의 작품세계를 분석ㆍ소개하고자 한다.

  • PDF

한국의 건축가(9) - 김중업(1), 김중업의 일생

  • 조인철
    • 건축사
    • /
    • 3호통권335호
    • /
    • pp.82-87
    • /
    • 1997
  • 이번호부터 소개되는 건축가 김중업편에서는 출생후 평양과 일본동경에서의 생활(1922~1945)을 시작으로 해방후 남한에서의 생활(1946~1951), 유네스코주최 제1회 세계예술가회의에 한국대표의 한 사람으로 참석하면서부터 르꼬르뷔제의 문하에서의 생활, 귀국후의 활발한 건축활동 시기(1952~1971) 그리고 또다시 9년간의 외국생활이후 남은 건축인생기(1972~1988)등으로 구분하여 먼저 김중업의 일생(1회:부인 김병례여사와의 대담내용을 중심으로)에 대하여 소개한다. 그리고 다음 2회와 3회에서는 필자가 김중업 선생 생전에 대담한 내용을 정리ㆍ소개하고 그의 건축가로서의 역정과 작품에 대한 필자의 해석을 싣고자 한다.

  • PDF

몽골건축을 찾아서(1)

  • 박서홍
    • 건축사
    • /
    • 9호통권317호
    • /
    • pp.64-69
    • /
    • 1995
  • 본지에서 소개하고 있는 '한국의 건축가' 기획연재는 그동안 게재 되었던 이희태(95년 3월호 ~ 5월호), 김정수(95년 6월호 ~ 8월호)에 이어 건축가 김수근(1931~1986)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이번호부터 소개되는 건축가 김수근편 에서는 그가 태어난 1931년부터 1960년까지의 유년시절과 건축의 수련기(성장배경과 서울의 북촌, 일본에서의 건축교육)를 시작으로 1960년부터 1972년까지의 한국건축의 새로운 이념형을 찾아서(김수근 건축연구소,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인간환경 계획연구소), 공간시대(1972년~1986년)등으로 구분하여 그의 작품세계를 지난해 12월 15일 개최됐던 제6차 아시아건축사대회 기간 중 우리 협회와 몽골건축사협회가 상호 협력을 위한 협정체결을 합의, 서명함으로써 이루어진 이번 여행은 몽골건축사협회 공식 초청으로 지난 7월 22일 시작됐다. 6박 7일의 일정으로 한몽 건축기술 정보교류 및 우호증진과 상호 긴밀한 유대 관계를 위해 김규태 우리협회 회장을 단장으로 한 방문단은 협회이사와 국제위원 7인을 단원으로 구성, 찬란한 역사를 지닌 몽골을 찾았다. 이글은 초원의 나라 몽골을 다녀와서 방문단의 일원으로 참여한 박서홍(희산건축)씨가 몽골건축을 중심으로 그 문화를 소개, 연재한다.

  • PDF

전후 한국현대건축에 미친 미국과 일본건축의 영향 -미국에서 연수한 김정수와 일본에서 유학한 김수근을 중심으로- (Influence of American and Japanese Architecture on Building the Post-war Korean Contemporary Architecture)

  • 안창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974-5983
    • /
    • 2011
  • 본 논문은 6.25전쟁이후 한국현대건축 형성에 미국과 일본건축이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다. 2차세계대전 종전과 함께 광복을 맞이한 후 미군정과 6.25전쟁을 거친 한국 건축계는 미국의 원조를 통해 미국식 건축교육시스템과 건축생산시스템의 영향권에 빠르게 편입되지만, 동시에 일제강점하에 형성된 인적 제도적 관성에 기초한 일본건축의 지속적인 영향 속에서 재편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과 일본에서 수학한 두 건축가(김정수와 김수근)의 작품을 분석하여 미국과 일본의 건축이 전후 한국의 현대건축 형성기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밝히는데 있다. 전재 복구가 마무리된 후 경제개발 과정에서 낙후된 한국의 건축생산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해야 하는 당면과제를 김정수는 개인적 차원에서 새로운 재료와 구법 그리고 국제주의건축의 구현을 통해 실현시켰다면, 김수근은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를 통한 국가적 지원을 통해 극복하고자 했다. 두 건축가가 취한 해법의 차이는 국비와 개인부담이라는 유학자금, 미국 연수와 일본유학이라는 교육배경과 유학동기의 차이에 기인하고 있음을 밝혔다.

제9회 아카시아 포럼 참가기

  • 대한건축사협회
    • 건축사
    • /
    • 2호통권346호
    • /
    • pp.74-83
    • /
    • 1998
  • 우리 협회가 회원국으로 가입되어 있는 아시아건축사협의회(ARCASIA : Architects Regional Council for ASIA)가 격년제로 개최하고 있는 아시아건축사대회 및 아카시아토론회가 지난해 9월20일부터 24일까지 일본 동경에서 개최되었다. "아시아건축의 미래"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제9회 아카시아토론회는 JIA(신일본건축가협회) 창립 10주년 기념행사를 비롯해 건축기행 등 다채로운 행사와 연계해 아카시아회원국과 세계 각국의 유명 건축가들이 대거 참여한 가운데 성대히 거행되었다. 이번 포럼에는 우리 협회에서도 아시아 회원국간의 건축정보교류 및 협력증진을 위하여 김영수 회장을 단장으로 한 20명의 회원이 참석하였다.

  • PDF

미국 건축 및 조경디자인에 나타난 일본양식에 관한 고찰 (An Examination of Japanese Modes Expressed in American Spatial Design)

  • 김신원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89-214
    • /
    • 1995
  • 본 연구는 미국의 건축 및 조경공간 형성에 미친 일본문화를 파악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일본문화 및 공간디자인의 특성과 미국건축 및 조경에 나타난 그 면모에 관한 것이다. 1853년 미국과 일본의 문화교류를 시작으로 일본의 예술과 건축이 미국에 소개되었고, 특히 1893년 Chicago에서 열렸던 Wor1ds Columbian Exposition에서 선보인 일본의 건축물은 당시 미국의 건축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그후 일본의 공간디인은 건축뿐만 아니라 조경분야에도 영향을 미쳐 현재 미국의 공간디자인을 구성하고 있는 특성 가운데 하나로 자리잡고 있다. 필자는 미국의 공간디자인에 영향을 준 일본문화의 실재를 파악하기 위하여 한국과 중국의 문화와 구별되는 일본만의 독특한 문화적 특성을 고찰해보고, 미국 현대건축의 선구자인 Frank Lloyd Wright, Greece and Greene, Philip Johnson, Richard J. Neutra의 작품 및 조경디자이너인 Ethelbert E. Furlong, James C. Rose의 작품속에 나타난 일본식 공간디자인의 면모를 살펴보았다. 장래 이 분야의 연구에서는 미국문화의 특성이 고찰되어 미국과 일본의 두 문화가 비교 파악되기 위한 개념적 근거가 마련되고, 일본식 공간디자인이 미국에서 어떻게 이해되고 해석되어졌으며 미국식 공간 디자인으로 전환되었는지 살펴보며, 어떤 이유에서 일본의 공간디자인 양식이 미국의 건축 및 조경분야에서 문화적으로 일본보다 오랜 역사를 지닌 한국과 중국의 공간디자인 양식보다 커다란 영향을 주고 있는지에 관해 이해를 구하는 방향으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 PDF

건축가 브르노 타우트가 일본 근대건축에 미친 영향에 관한 고찰 (A Research of that Architectural Influence of Bruno Taut on Japanese Modern Architecture)

  • 김기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20-28
    • /
    • 2004
  • This paper aims at researching the characteristics in Bruno Taut of architecture and its influence In Japanese modern architecture. We also can study how to harmonize Japanese traditional architecture with western architecture through activities of Bruno Taut in Japan. Especially, Japanese architectural society had a dispute on their national architectural style in 1910. During the 1930's, however, the rationalist architects denied this 'Jaegwan' style architecture, and insisted a different new Japanese architectural style. Thus Japanese modem architecture adapted two axis of Western and Japan, it had been developed with their conflict and harmony by turns. This activities of Bruno Taut in Japan deeply and freshly influenced on the contemporary Japanese Architectural sit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