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일변화

Search Result 148,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On the Diurnal Variations of CO and $CO_2$ in the Underground Atmospheric Environments (지하대기중의 CO 및 $CO_2$의 일변화 특성에 관한 연구)

  • 이동인;이지연
    •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
    • v.3 no.4
    • /
    • pp.381-391
    • /
    • 1994
  • This paper presents the disributions and variations of CO, $CO_2$, number of people and temperature in underground shopping center and subway of Seomyeon and Jagalchi in Pusan, Korea for two times during October and November in 1993, respectively. NDIR analyzer is used for the analysis of CO and $CO_2$. The temperature is obtained from a mercury therometer. The results o( observation and analysis show that the variation of $CO_2$ is strongly related to number of people and temperature.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emperature, COB and Number of people are higher than 0. at both of places. The pollution of CO2 of Seomyeon is higher than that of Jagachi in underground shopping center. However, CO is not correlated with the temperature and the Number of people. From the results, we found that the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is needed for the prevention of the underground air Pollution.

  • PDF

Shipboard Measurement Data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the Atmosphere Over the Yellow Sea in 1999 (선박을 이용한 1999년 황해에서의 휘발유성유기화합물 측정 자료)

  • 김용표;이승복;나광삼;진현철;윤용석;배귀남;문길주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v.16 no.5
    • /
    • pp.553-560
    • /
    • 2000
  • 인천∼청도를 왕복하는데 콘테이너 여객선 향설란호에서 1999년 6월 12∼15일 과10월 23∼26일에 또 한국해양연구소 연구선 이어도호 상에서 1999년 8월 8일∼15일에 황해상의 휘발성 유기화합물 농도를 정량화하였다. 황해상의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는 대부분 8ppb 이하로, 도시지역의 농도에 비해 매우 낮았다. 주성분은 방향족, 염화유기화합물, 탄소가 작은 알칸족이었다. 황해상에서의 휘발성유기화합물의농도는 주배출원인 육지에서의 거리에 의해 좌우되면, 농도의 일변화에 의한 영향을 적은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다목적 실용위성 1호로 관측한 저위도 상부이온층의 태양 활동에 따른 전자 온도 및 밀도의 변화

  • 김희준;이재진;박재흥;민경욱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3.10a
    • /
    • pp.102-102
    • /
    • 2003
  • 다목적 실용위성 1호로 2000년 6월 28일에서 2001년 8월 1일까지의 고도 685 Km, 22:50LT 지역시(Local Time)인 상부 이온층을 조사하였다. 위성에 탑재된 이온층 측정 센서(Ionospheric Measurement Sensor)로부터 전자 온도와 전자 밀도 데이터를 얻었으며, 자기 위도로 -60$^{\circ}$ ~ +60$^{\circ}$사이의 중ㆍ저위도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관측 기간은 지자기 변화를 나타내는 Kp index나 태양 활동을 나타내는 F10.7이 크게 변화한 태양 극대기 기간으로, 특히 일변화의 F10.7을 통해 전자 온도와 전자 밀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측정 시간이 야간(22:50)임에도 불구하고 태양 활동을 나타내는 F10.7에 따라 전자 온도와 전자 밀도가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10.7이 250이하일 때는 F10.7이 커질수록 전자밀도는 거의 선형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전자온도도 증가는 하나 그 정도는 전자 밀도보다 작게 나타났다. F10.7이 250을 넘어가면 전자 밀도가 일정하거나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부가적으로 비슷한 고도의 DMSP-F15의 데이터와 비교를 통해 다목적 실용위성 1호의 관측결과의 신뢰성을 높였다.

  • PDF

Diurnal Variations of Air Quality under the Various Synoptic Wind Fields for Each Season over Taegu City (종관바람장에 따른 대구시의 계절별 대기질의 일변화)

  • 송은영;윤희경
    •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
    • v.5 no.2
    • /
    • pp.113-130
    • /
    • 1996
  • Diurnal variations of air quality for each season over Taeau city were analyzed using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various synoptic wind fields. The air quality data which were monitored by four stations are the hourly averaged sulfur dioxide($SO_2$), total suspended particulate(TSP) and oxidants ($O_3$) during the period of 1989 to 1992. The various synoptic wind fields obtained from the 850 hPa geopotential height were divided in to four geostrophic wind directions and two geostrophic wind speeds for each seasons. The synoptic weather conditions were again subdivided info two categories using the lotal cloud amounts, The results shows that diurnal and seasonal variations of the air quality over Taegu city, such as sulfur dioxide, total suspended particulate and oxidants reseal the various characteristics under the same synoptic weather conditions.

  • PDF

Diurnal Variation of the Surface Wind in the Coastal Boundary Layer (沿岸境界層에서의 表層風의 日變化)

  • Choi, Hyo
    • 한국해양학회지
    • /
    • v.19 no.2
    • /
    • pp.210-216
    • /
    • 1984
  • Diurnal variations of coastal surface wind speed are analyzed with five years of hourly wind from Port Aransas, Texas. These data reveal the highest frequency of occurrence of the nighttime wind maximum near midnight, especially during those seasons when onshore flow prevails. Nighttime wind maxima with a southerly component occurred approximately three times more frequently than with a northerly component on the annual average. The neutral atmospheric stability prevails near the coast. Thus it allows downward transfer of momentum from the nocturnal low level jet under the onshore wind situation and strong wind shear between an elevated frontal and ground-based inversion for offshore wind, resulting in the nocturnal coastal surface wind maximum.

  • PDF

Vertical Ozone Distributions over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n June (서울지역 6월 오존의 연직분포)

  • 김유근;이화운;오인보;정우식;송상근;임윤규;황미경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113-114
    • /
    • 2003
  • 도시지역 하층대기의 오존 연직분포는 지표부근의 NOx배출의 영향과 대기경계층의 일변화 및 구조적 특성에 의해 시·공간적으로 큰 변화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야간에는 역전층 내의 건성침적과 NOx 적정작용에 의해 오존농도가 감소하며, 하층 안정층과 분리되어 있는 잔류층(residual layer)의 오존농도와 큰 차이를 보이게 된다. 아울러 일출 후 안정층 파괴와 혼합고 성장에 의해 지표부근의 오존농도가 증가하고 연직적으로 비교적 일정한 오존분포가 나타난다(Zang et al., 1998; Berkowitz et al., 2000). (중략)

  • PDF

Time Course of $CO_2$ Exchange of Sweetpotato Cultures In Vitro with Different $CO_2$ Concentration under Forced Ventilation (고구마 조직배양묘의 $CO_2$교환량 연속 측정)

  • 오양숙;고재풍수;정순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7.05a
    • /
    • pp.17-22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고구마 조직배양묘의 $CO_2$ 교환량을 측정하기위해 개방형 광합성측정장치의 원리를 이용해 자체제작한 $CO_2$ 교환량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공기 주입구와 배출구의 $CO_2$ 농도를 연속측정하고, 명기와 암기에 있어서의 $CO_2$ 교환량의 일변화를 분석했다. 내용적 1.48$\ell$의 배양기에 32개의 식물체를 이식했을 때 식물체당 일일 $CO_2$ 교환량은 19일째에 포화에 달했다. 식물체 생장에 있어서는 자연환기구보다 강제환기구의 생장이 촉진되었고, 강제환기구에서는 $CO_2$ 시용구가 무시용구보다 생장이 촉진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고구마 조직배양묘를 강제환기와 $CO_2$ 시용등 배양환경의 개선함으로써 순환과정을 거치지 않고 포장정식이 가능한 배양묘나 삽수의 생산이 가능함을 시사한다고 사료된다.

  • PDF

Characteristics of Air Pollution at a Junction Area Contaminated with Vehicle Emissions (자동차 배출가스에 의한 도심 교차로의 대기오염 특징)

  • Lee, Seung-Bok;Bae, Gwi-Nam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Automotive Engineers
    • /
    • v.18 no.4
    • /
    • pp.48-53
    • /
    • 2010
  • Roadside measurement of ultrafine particles, black carbon, and NOx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ir pollution at a junction area contaminated with vehicle emissions in Seoul from March 19 to 23, 2007. Diurnal variation of ultrafine particles, black carbon, and $NO_x$ concentrations at a roadside showed minimum at around 2-4 a.m. and two peak modes during the morning and evening rush hours. Since these pollutants might be mainly emitted from vehicles, the roadside was highly contaminated with vehicles.

천리안위성 기상영상기 영상위치보정 성능: 정규운영 초기 1년

  • U, Jin;O, Hyeon-Jong;Lee, Byeong-Il;Kim, Yong-Seok;Son, Seung-Hui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212.1-212.1
    • /
    • 2012
  • 2010년 6월 성공적으로 발사된 천리안위성(COMS; 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의 기상영상기(MI; Meteorological Imager)를 통해 관측된 원시 기상영상은 지상국인 국가기상위성센터에서 지표기준과 위성궤도 및 자세 정보를 이용하여 영상위치보정 과정이 수행된다. 본 연구에서는 정규운영 초기 1년 동안의 운영 자료를 분석하여 계절 및 일변화를 나타내는 천리안위성 기상영상의 영상위치보정 성능 및 특성을 기술하였다. 이를 통하여 천리안위성 기상영상 가시 및 적외 채널의 영상위치결정 정확도 및 영상 위치유지 정확도는 기준값인 $56{\mu}rad$(약 2km) 이내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천리안위성 기상영상이 우수한 품질의 위치정확도를 가지며 기상현상 분석 및 응용 연구에 높은 효용성을 가지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후속 기상위성 영상위치보정 시스템 설계에도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 PDF

Diurnal Variation of the Dust Concentration in a Railway Tunnel (도시철도 터널 내 부유먼지의 일변화 특징)

  • Woo, Sang Hee;Kim, Jong Bum;Hwang, Moon Se;Tahk, Gil-Hyun;Yoon, Hwa Hyeon;Yook, Se-Jin;Bae, Gwi-Nam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19 no.3
    • /
    • pp.280-287
    • /
    • 2016
  • In railway tunnels, dust is generated when trains run due to the contact between the wheels and the rails. The generated dust is suspended due to the train-induced airflow, with some of it deposited due to gravitational sedimentation. In this study, the diurnal variation of the dust concentration was investigated in a railway tunnel. A single lane of a tunnel was selected in which to observe more easily the dust concentration due to the passing of a train. Four particle-measuring instruments were utilized to detect dust ranging from 5nm to $20{\mu}m$. To synchronize the train passing time at the measuring location, a three-dimensional ultrasonic anemometer and a video camera were used. It was found that the dust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50{\mu}g/m^3$ to $150{\mu}g/m^3$ due to the train. Particularly, the dust concentration was greatly increased to more than $250{\mu}g/m^3$ during the morning rush-hour t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