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일반 노드

Search Result 45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Method to Improve Location Estimation of Sensor Node (센서노드 위치 측정 정확도 향상 방법)

  • Han, Hyeun-Jin;Kwon, Tae-Wook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4 no.12B
    • /
    • pp.1491-1497
    • /
    • 2009
  • Existing methods to measure are based on ToA (Timer of Arrival), RSS (Received Signal Strength), AoA(Angle of Arrival) and other methods.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mpensation of ToA and RSS methods to measure more precisely the distance of nodes. The comparison experiments with the traditional ToA method show that the average error value of proposed method is reduced 30%. We believe that this proposal can improve location estimation of sensor node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Benchmarking a commodity server as a Compute node of Linux Cluster System (리눅스 클러스터 시스템 계산노드용 단일서버 벤치마크)

  • Hong, Tae-Young;Hong, Jeong-Woo;Kim, S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52-54
    • /
    • 2005
  • Beowulf 타입의 리눅스 클러스터 시스템의 핵심노드인 계산노드는 일반적으로 범용 엔트리급 서버 및 PC 등을 이용하여 구성되며, 이 계산노드의 성능은 전체 클러스터의 계산 성능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 시중에서 유통 중인 대표적인 로엔드 플랫폼-Xeon, P-IV, Opteron, Athlon64-들을 대상으로 HPL, NPB, stream등 고성능 컴퓨팅 분야에서 널리 쓰이는 벤치마킹 테스트 도구를 사용하여 개별 노드의 성능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f WSN data sending algorithm using bloom filter (센서 네트워크에서 bloom filter를 이용한 데이터 전달 방법에 대한 연구)

  • Kim, Jung-Sik;Jang, Hyun-Jun;Im, Eul-G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d
    • /
    • pp.225-228
    • /
    • 2007
  • 센서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자원이 극히 한정되어있는 센서 노드를 이용하여 구성이 되게 된다. 센서노드의 대역폭, 계산 능력, 메모리, 전력과 같이 많은 부분에서 일반적인 네트워크 노드보다 훨씬 적은 자원만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전력은 센서 노드를 동작하게 해주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전력 사용이 필요하다. 전력 소모를 줄이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존재하게 되는데, 본 논문에서는 센서 노드에서 송신하는 데이터의 크기를 줄이는 방법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제안하는 방법은 bloom filter를 이용하여 데이터의 내용을 필터링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기존 데이터 대신 작은 크기의 필터링 된 값을 베이스 스테이션으로 전송함으로 전력 소모를 줄이게 된다.

  • PDF

A hybrid key pre-distribution scheme for sensor networks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하이브리드 방식의 키 분배 구조)

  • 천은미;도인실;채기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a
    • /
    • pp.448-450
    • /
    • 2004
  • 센서 네트워크는 다양한 탐지 대상 및 환경을 감시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 네트워크에서 센서 노드간 키를 설립하는 것은 보안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요구 사항이다 하지만 센서가 가진 기본 특성인 자원의 제약 때문에 일반 네트워크에서 사용되고 있는 중앙 키 분배 서버를 이용한 키 분배나 공개키 기법을 사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센서 네트워크 특성에 맞는 키의 사전 분배 방식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기법은 클러스터를 기반으로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키를 사전 분배하였기 때문 에 노드간 키 설립확률을 높였을 뿐만 아니라, 악의적인 노드에 의해 다항식이 공개되어 정상 노드가 붕괴되는 것을 막기 위해 클러스터당 헤드를 두어 다항식을 공유하는 노드의 범위를 줄여 보안을 보다 강화 시켰다.

  • PDF

Task Scheduling Algorithm for Parallel Processing in Wireless Sensor Network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병렬 처리를 위한 태스크 스케쥴링)

  • Park, Chong-Myung;Jung, In-Bu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9.04a
    • /
    • pp.859-861
    • /
    • 2009
  • 무선 통신, 제한된 자원 (전력, 프로세서, 메모리 등), 신뢰성, 동적인 토폴로지 등의 특성을 갖는 센서 네트워크는 기존의 실시간 시스템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 이러한 센서 네트워크에서 멀티미디어 데이터 처리와 같은 많은 계산을 필요로 하는 어플리케이션이나 실시간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센서 노드들의 데이터 병렬 처리가 필요하다. 비선점형 스케쥴러를 갖는 센서 노드에서 데이터 전송량이 많을 경우 통신을 위한 태스크 생성이 증가하므로 일반 태스크의 실행에도 지연이 발생하게 된다. 자원 제한적인 센서 네트워크에서 에너지 소모나 지연과 같은 성능은 각 센서 노드들에 태스크를 할당하는 방법에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병렬 처리에 참여하는 센서 노드들의 에너지 소모량과 지연을 고려한 노드 스케쥴링 기법을 제안한다.

An Indirect Localization Scheme for Low- Density Sensor Node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무선 센서 네트워크에서 저밀도 센서 노드에 대한 간접 위치 추정 알고리즘)

  • Jung, Young-Seok;Wu, Mary;Kim, Chong-Gu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v.13 no.1
    • /
    • pp.32-38
    • /
    • 2012
  • Each sensor node can know its location in several ways, if the node process the information based on its geographical position in sensor networks. In the localization scheme using GPS, there could be nodes that don't know their locations because the scheme requires line of sight to radio wave. Moreover, this scheme is high costly and consumes a lot of power. The localization scheme without GPS uses a sophisticated mathematical algorithm estimating location of sensor nodes that may be inaccurate. AHLoS(Ad Hoc Localization System) is a hybrid scheme using both GPS and location estimation algorithm. In AHLoS, the GPS node, which can receive its location from GPS, broadcasts its location to adjacent normal nodes which are not GPS devices. Normal nodes can estimate their location by using iterative triangulation algorithms if they receive at least three beacons which contain the position informations of neighbor nodes. But, there are some cases that a normal node receives less than two beacons by geographical conditions, network density, movements of nodes in sensor networks. We propose an indirect localization scheme for low-density sensor nodes which are difficult to receive directly at least three beacons from GPS nodes in wireless network.

Query Technique for Quick Network Routing changing of Mobility Sensor Node in Healthcare System (헬스케어 시스템에서 이동형 센서노드의 신속한 네트워크 라우팅 변화를 위한 질의기법)

  • Lee, Seung-chul;Kwon, Tae-Ha;Chung, Wa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10a
    • /
    • pp.517-520
    • /
    • 2009
  • Healthcare application system has been actively researched to apply WSN technology to healthcare area with a mobile sensor node of low cost, low power, and small size. Sensor node has the problem for transmission range of RF power and time delay of the wireless routing connectivity between sensor nodes. In this paper, we proposes a new method utilizing mobile sensor nodes with relay sensor nodes for quick network routing changing using query technique in healthcare system. A query processor to control and manage the routing changing of sensor nodes in a wireless sensor network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user's PC transmits the beacon message which will change the quick link routing according to activity status of patient in wireless sensor network. We describe the implementation for query protocol that is very effective of power saving between sensor nodes.

  • PDF

An Efficient Data Aggregation using Mobile Agent in Distributed Sensor Network (분산 센서 네트워크에서 모바일 에이전트를 이용한 효율적인 데이터 수집)

  • Choi, Shin-Il;Moon, S.J.;Eom, Y.H.;Kook, Y.K.;Jung, G.D.;Choi, Y.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b
    • /
    • pp.138-142
    • /
    • 2006
  • 분산 센서 네트워크에 대한 연구는 정보 융합 방법론상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센서 네트워크에서 정보의 융합을 위한 데이터의 수집은 센서 노드가 싱크 노드로 수집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지며 싱크 노드로 수집된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활용된다. 이때 여러 센서 노드가 어플리케이션에 필요한 데이터를 중복적으로 수집할 경우 중복된 데이터를 싱크노드로 전송하는데 있어 불필요한 에너지를 소모하게 된다. 이는 결국 전체적인 센서 네트워크의 수명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는 어플리케이션에 따라 요구하는 데이터만을 선택적으로 수집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수행하기 위해 각 센서 노드가 어플리케이션의 요구사항에 맞도록 데이터 중복성에 대한 처리과정을 수반해야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센서 노드는 자원이 한정이 되어있기 때문에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의 요구에 따른 중복성 처리 프로세스를 모두 가지고 있을 수는 없다. 따라서 모바일 에이전트를 활용하여 데이터의 중복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센서 네트워크에서 고려되는 에너지 효율, 네트워크 대역폭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시스템 확장성이 용이하다.

  • PDF

Implementation of IEEE 802.15.4a Software Stack for Ranging Accuracy Based on SDS-TWR (SDS-TWR 기반의 거리측정 정확도를 위한 IEEE 802.15.4a 소프트웨어 스택 구현)

  • Yoo, Joonhyuk;Kim, Hiecheol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8 no.6
    • /
    • pp.17-24
    • /
    • 2013
  • The localization accuracy in wireless sensor networks using ranging-based localization algorithms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ranging accuracy. Software implementation of HAL(Hardware Abstraction Layer) and MAC(Medium Access Layer) should seamlessly deliver the raw performance of ranging-based localization provided by hardware capability fully to the applications without degrading the raw performance. This paper present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software stack for IEEE 802.15.4a which supports normal ranging mode of the Nanotron's NA5TR1 RF chip. The experiment results shows that average ranging error rate with our implementation is 24.5% for the normal mode of the SDS-TWR ranging scheme.

A Novel Range-Free Localization Algorithm for Anisotropic Networks to enhance the Localization Accuracy (비등방성 네트워크에서 위치 추정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향상된 Range-Free 위치 인식 기법)

  • Woo, Hyun-Jae;Lee, Chae-Woo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7 no.7B
    • /
    • pp.595-605
    • /
    • 2012
  • DV-Hop is one of the well known range-free localization algorithms. The algorithm works well in case of isotropic network since the sensor and anchor nodes are placed in the entire area. However, it results in large errors in case of anisotropic networks where the hop count between nodes is not linearly proportional to the Euclidean distance between them. Hence, we proposed a novel range-free algorithm for anisotropic networks to improve the localization accuracy. In the paper, the Euclidean distance between anchor node and unknown node is estimated by the average hop distance calculated at each hop count with hop count and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anchor nodes. By estimating the unknown location of nodes with the estimated distance estimated by the average hop distance calculated at each hop, the localization accuracy is improved.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has more accuracy than DV-H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