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일반화가법모델

Search Result 4,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A Model-Fitting Approach of External Force on Electric Pole Using Generalized Additive Model (일반화 가법 모형을 이용한 전주 외력 모델링)

  • Park, Chul Young;Shin, Chang Sun;Park, Myung Hye;Lee, Seung Bae;Park, Jang Woo
    •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 /
    • v.6 no.11
    • /
    • pp.445-452
    • /
    • 2017
  • Electric pole is a supporting beam used for power transmission/distribution which accelerometer are used for measuring a external force. The meteorological condition has various effects on the external forces of electric pole. One of them is the elasticity change of the aerial wire. It is very important to perform modelling. The acceleration sensor is converted into a pitch and a roll angle. The meteorological condition h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and selecting significant explanatory variables for modeling may result in the problem of over-fitting. We constructed high deviance explained model considering multicollinearity using the Generalized Additive Model which is one of the machine learning methods. As a result of the Variation Inflation Factor Test, we selected and fitted the significant variable as temperature, precipitation, wind speed, wind direction, air pressure, dewpoint, hours of daylight and cloud cover. It was noted that the Hours of daylight, cloud cover and air pressure has high explained value in explonatory variable. The averag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Squared) of the Generalized Additive Model was 0.69. The constructed model can help to predict the influence on the external forces of electric pole, and contribute to the purpose of securing safety on utility pole.

Modelling of a Spatial Distribution of the Species Richness of Fishes, Plants, and Birds Using Environmental Factors on a Wide-Ranging Scale1 - Focusing on the Major Drainage Systems in Japan - (광역스케일의 환경 인자를 이용한 어류, 식물, 조류 종수의 공간적 분포에 대한 모델링 - 일본의 주요수계를 중심으로 -)

  • Han, Mi-Deok;Lee, Gi-Bae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2 no.4
    • /
    • pp.347-355
    • /
    • 2008
  • This study analyzed and model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pecies richness of fish, plant, and bird and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climatic and geographical variables based on data collected from 109 major drainage systems in Japan from 1990 until 2005. As a result, the most parts of the distributions of the fish, plant, and bird species richness were clarified by the average annual atmospheric temperature, dimension of drainage areas, and annual rainfall, respectively. In addition, this study predicted the value of each organism species distributed in national drainage areas in Japan using GAMs(Generalized Additive Models) for each organism model created by environmental factors on a wide-ranging scale, and also mapped out the value. Mapping out the predicted value could make it easier for its managers to newly set up the areas needing to be protected to obtain diversity of the organism species and to assess their availability of conservation for bio-diversity.

Long-Term Arrival Time Estimation Model Based on Service Time (버스의 정차시간을 고려한 장기 도착시간 예측 모델)

  • Park, Chul Young;Kim, Hong Geun;Shin, Chang Sun;Cho, Yong Yun;Park, Jang Woo
    •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 /
    • v.6 no.7
    • /
    • pp.297-306
    • /
    • 2017
  • Citizens want more accurate forecast information using Bus Information System. However, most bus information systems that use an average based short-term prediction algorithm include many errors because they do not consider the effects of the traffic flow, signal period, and halting time. In this paper, we try to improve the precision of forecast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error, thereby making the convenience of the citizens. We analyzed the influence factors of the error using BIS data. It is shown in the analyzed data that the effects of the time characteristics and geographical conditions are mixed, and that effects on halting time and passes speed is different. Therefore, the halt time is constructed using Generalized Additive Model with explanatory variable such as hour, GPS coordinate and number of routes, and we used Hidden Markov Model to construct a pattern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traffic flow on the unit section. As a result of the pattern construction, accurate real-time forecasting and long-term prediction of route travel time were possible. Finally, it is shown that this model is suitable for travel time prediction through statistical test between observed data and predicted data. As a result of this paper, we can provide more precise forecast information to the citizens, and we think that long-term forecasting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decision making such as route scheduling.

Ecological Assessment Technique of Connectivity to Disconnected Floodplains by Levee (격리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의 생태적 연계성 평가 기술)

  • Cho, Kang-Hyun;Jin, Seung-Nam;Cho, Hyun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7-7
    • /
    • 2017
  • 범람파동 개념에 따르면 하도와 홍수터의 횡적 연결성은 하천 생태계의 생물다양성과 생산성 증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제방에 의하여 제내지 홍수터가 하도와 차단된 우리나라 하천에서 생태적 서비스를 증대하기 위해서 횡적 연결성을 복원하는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횡적 연결성의 복원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우선 하도와 홍수터 사이에 생태적 연결성의 현황을 파악하고 연결성을 저해하는 요인을 진단하는 평가 기술 개발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방에 의하여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에서 수리적, 생태적 횡적 연결성을 평가하고 진단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연결성 회복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 평가는 1)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단된 하천공간을 탐색하고, 2) 탐색된 전체 재내지에서 원격평가에 의하여 간편하게 횡적 연결성 평가를 실시하고, 3) 선정된 특정 제내지 대상지에서 현장평가에 의하여 상세하게 연결성을 평가하는 순서로 수행된다. 차단된 하천공간의 획정은 홍수가 범람할 수 있는 제내지 공간을 잠재적 하천공간으로 정의하고 수치표고모델 (DEM)과 하천기본계획의 30년 빈도 홍수위 자료를 이용하여 제내지 홍수터를 탐색하였다. 제내지 홍수터의 원격 연결성평가는 지리정보시스템에서 수치지도와 토지피복도 등 공간자료를 이용하여 수리 및 서식처 환경성, 제방 차단성과 하도 및 육상 연결성을 평가하고 원격평가 결과를 토대로 현장평가 대상지를 선정하였다. 횡적 연결성의 현장평가를 위하여 크게 하도-홍수터 연결성과 제내지 서식처 보존성으로 평가 항목을 선정하였다. 또한 연결성 평가는 수리연결성과 생물연결성으로, 서식처 보존성 평가는 습지유지율, 습지보존성, 육역지보존성을 세부항목으로 구성하였다. 평가 항목별로 5 등급의 평가 기준에 따라서 평가 점수를 부여하고 평가 총점을 산출하여 최종 연결성 평가 등급을 5 단계로 구분하였다. 현장평가를 위한 MS Access 기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데이터 입력과 관리 및 평가 결과 산출과 비교를 편리하게 하였다. 개발된 제내지 하천환경 평가법을 청미천과 만경강에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개발된 평가법을 바탕으로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에서 연결성 회복에 따른 어류와 식생의 분포를 예측하는 수리생태 결합모델을 개발하였다. 먼저 차단된 제내지에서 연결 수로를 복원하여 유속, 수심 분포를 준이차 수리수문 모델로 예측하였다. 예측된 수리 환경에 따라서 지표어종의 서식처 적합도 지수 (HSI)를 이용하여 서식 분포 확률을 모의하였다. 또한 일반화가법모델 (GAM)을 이용하여 환경구배에 의한 우점식생의 분포를 예측하였다. 차단된 제내지 하천환경의 생태적 연계성 평가 기술을 기반으로 제방제거, 제방후퇴, 제방고 하강, 수문 및 연결수로 개선, 생물이동 저해 장벽 제거 등의 다양한 복원기술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