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일반주행모드

Search Result 15,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Dual-mode Hybrid Powertrain (듀얼 모드 하이브리드 동력전달계)

  • Yang, Ho-Rim;Kim, Nam-Wook;Ahn, Kuk-Hyun;Cho, Sung-Tae;Im, Won-Sik;Lee, Jang-Mo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6a
    • /
    • pp.543-546
    • /
    • 2006
  • 최근 여러 연구에서 다양한 종류의 멀티 모드 하이브리드 동력 전달계가 제안되고 있다. 멀티모드 동력전달계는 두 개 이상의 다른 유성기어식 하이브리드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클러치를 사용하여 각 상황에 유리한 유성기어 시스템을 사용하여 주행한다. 각 유성기어 시스템의 단점들을 보완할 수 있기 때문에 단일 모드를 사용하여 주행했을 때보다 여러 면에서 높은 성능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유성기어식 하이브리드 시스템은 크게 입력, 출력, 복합 분기식의 세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는데 이 논문에서는 입력 및 복합 분기식 구조의 특징을 분석해 보았다. 또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입력, 복합 분기식 구조를 사용하여 듀얼 모드를 구성하였을 때 단일 모드와 비교하여 어느정도의 성능을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 PDF

The Experimental Study of SOC and Measurement Results on Fuel Economy of the Hybrid Electric Vehicle (하이브리드자동차의 연료소비율 시험 시 초기 SOC와 측정결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 Kim, Kwang-Il;Kwon, Hae-Boung;Lee, Hyun-Woo;Lim, Jong-Soon;Shin, Young-Bok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5a
    • /
    • pp.534-537
    • /
    • 2008
  • 하이브리드자동차의 연료소비율 시험 시 초기 SOC 조건에 따른 SOC와 연비 변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종의 차종을 선택하여 UDDS 모드주행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Strong type 자동차는 주행시작 약 550초 경과 후 SOC 52 $\sim$ 54%로 수렴하였다. 또한 일반 시가지 주행조건에서는 SOC를 50$\sim$55 % 범위에서 제어함을 알 수 있으며, 초기 SOC 조건에 따라 연비는 약 79%의 편차가 나타났다. 이는 저속구간에서 순수 전기자동차 구동이 구현됨으로써 SOC 70%에서 큰 연비 상승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판단 된다. Mild type 자동차는 연비가 초기 SOC 조건에 따라 약 5%의 편차가 나타남을 알 수 있었으며, SOC 변화특성은 배터리 충전상태에 따라 충전량 제어는 이루어지나 가속 시 어시스트만 이루어지는 시스템적 특성상 효율적인 SOC 제어가 이루어지지 않아 연비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Diminution of birdge vibration for high-speed trains (고속철도 교량의 진동저감)

  • Choi Eun-Suk;Chin Won-Jong;Lee Jung-Woo;Kwark Jong-Won;Kang Jae-Yoon;Kim Byung-Su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9 no.1 s.32
    • /
    • pp.125-130
    • /
    • 2006
  • 고속철도 교량구간에 차량(KTS)이 주행할 경우 교량 바닥판에서는 큰 가속도 응답이 계측된다. 이러한 가속도의 원인으로는 큰 단면의 국부 진동, 일정한 간격의 침목의 충격 그리고 차량 자체의 진동 등 여러 가지 원인이 있다. BRDM(Bridge Design manual)에서는 이러한 동적 특성치들에 대한 제한치를 규정하고 있는데, 가속도인 경우는 0.35G이하고 규정하고 있다. 실교량 실험에 의해 계측된 가속도 응답은 규정한 제한치인 0.35G 보다는 작지만, 이러한 가속도 응답치들은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할 경우 안전성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큰 단면에서 과도한 국부 진동을 지배하는 가속도 응답을 줄이기 위해서 진동저감 방법을 연구하였다. 비록 휨이나 비틀림 같은 전체 진동모드에는 효과가 작지만 일반적으로 매우 큰 단면을 가진 고속철도 프리스트레스트 상자형 교량의 국부진동인 날개짓 모드를 감소시키는데 진동저감 장치는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실교량에서 진동저감장치의 실험은 추후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Comparisons of the Particle Emission Characteristics Between GDI and MPI Vehicles (GDI와 MPI 자동차의 미세입자 배출특성 비교)

  • Lee, Jongtae;Kim, Kijoon;Kim, Jeongsoo;Jang, Jihwan;Park, Sungwook
    • Journal of ILASS-Korea
    • /
    • v.19 no.4
    • /
    • pp.182-187
    • /
    • 2014
  • As the regulations for Particulate Matter (PM) and Particle Number (PN) emissions from Gasoline Direct Injection (GDI) Vehicle stringent recently, a lot of studies have been made on the emission characteristics of PM and PN. In this study, PM and PN emission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to GDI and Multi Port Injection (MPI) Vehicles using the Condensation Particle Counter (CPC) measurement equipment. And driving mode is divided into normal driving mode (CVS-75, NEDC, NIER 6, NIER 9) and a constant speed driving mode (10 km/h, 35 km/h, 80 km/h, 110 km/h)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in the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In the results, most of the driving mode, PM and PN were emitted from GDI Vehicle more than MPI Vehicle. However, in the constant speed mode of 110 km/h, PM and PN from MPI Vehicle were also a lot of emission. It is determined to cause a difficulty in the fuel injection control of the MPI Vehicle.

Development of Optimized Driving Model for decreasing Fuel Consumption in the Longitudinal Highway Section (고속도로 종단지형을 고려한 연료 효율적 최적주행전략 모형 개발)

  • Choi, Ji-eun;Bae, Sang-h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4 no.6
    • /
    • pp.14-20
    • /
    • 2015
  • The Korea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set the goal of cutting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the transport sector by 34.3% relative to the business as usual scenario by 2020.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support is being given to education and information regarding eco-driving. As a practical measure, however, a vehicle control strategy for decreasing fuel consumptions and emissions is necessary. Therefore, this paper presents an optimized driving model in order to decrease fuel consumption. Scenarios were established by driving mode. The speed profile for each scenario applied to Comprehensive Modal Emission Model and then each fuel consumption was estimated. Scenarios and speed variation with the least fuel consumption were derived by comparing the fuel consumptions of scenarios. The optimized driving model was developed by the derived the results. The speed profiles of general driver were collected by field test. The speed profile of the developed model and the speed profile of general driver were compared and then fuel consumptions for each speed profile were analyzed. The fuel consumptions for optimized driving were decreased by an average of 11.8%.

Evaluation on Reduction Effect of CO emission by The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Service (실시간교통정보서비스의 일산화탄소 배출저감효과 평가)

  • Kim, Jun-Hyung;Um, Jung-Sup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9a
    • /
    • pp.129-133
    • /
    • 2010
  • 본 논문은 차량의 공회전시 불완전연소로 인한 일산화탄소의 배출량이 최대인 점에 착안하여 일반 네비게이션에서 제공하는 최단거리 모드로 주행했을 시와 '막힘없는 길 안내를 제공' 한다는 최신 공간정보기술인 실시간교통정보서비스를 적용했을 시의 공회전시간 및 일산화탄소 배출량을 비교 평가하여, 실시간교통정보서비스의 일산화탄소 저감효과를 추정해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대구시내의 교통정체구역인 수성구청에서 성서초등학교에 이르는 약 12km의 구간을 선정하여 2주간 동일구간을 요일별 시간대별로 주행함으로써 최단거리 안내서비스 주행시와 실시간교통정보서비스를 적용한 경로주행시의 공회전시간을 기록하고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연료별 배출계수와 평균속도에 따른 일산화탄소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일산화탄소 배출량을 산정하였으며, 측정결과 공회전시간이 약 28%, 일산화탄소 배출량은 약 57%의 감축효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the Follow-up Analysi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xhaust Gas by Standard Mode of Chassis Dynamometer of Gasoline (가솔린 차량의 차대동력계 표준모드 별 추종성 분석 및 배출가스 특성에 관한 연구)

  • Seo, Dong Choon;Park, Sung-Yo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9
    • /
    • pp.29-34
    • /
    • 2019
  • In this study, a gasoline test vehicle was evaluated for drive quality in emissions and fuel economy tests. The measurement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manufacturer's suggested values to evaluate whether the tolerance ranges (fuel efficiency -5%, greenhouse gas +5%) were exceeded. We carried out tests with test subjects based on the SAE J2951 evaluation method. The test vehicle was a 2L gasoline vehicle. The drive following performance was found to increase under deliberate driving conditions and decreased in smooth driving condit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drive following performance, the closer the value is to 1, the more accurate the driving is. (-) indicates harsh conditions, and (+) indicates gentle conditions. The basic data on the driver following between testers was obtained by analysis of the tests. The fuel efficiency correlation with the drive following performance within the target speed range of the fuel consumption mode. In the future, these measurement results can serve as key data for securing an exhaust gas database and fuel efficiency system for each measurement mode.

Traffic Accidents Scenarios Based on Autonomous Vehicle Functional Safety Systems (자율주행차량 기능안전 시스템 기반 사고 시나리오 도출)

  • Heesoo Kim;Yongsik You;Hyorim Han;Min-je Cho;Tai-jin S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2 no.6
    • /
    • pp.264-283
    • /
    • 2023
  • Unlike conventional vehicle traffic accidents, autonomous vehicles traffic accidents can be caused by various factors, including technical problems, the environment, and driver interaction. With the future advances in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new issues are expected to emerge in addition to the existing accident causes, and various scenario-based approaches are needed to respond to them. This study developed autonomous vehicle traffic accident scenarios by collecting autonomous driving accident reports, CA DMV collision reports, autonomous driving mode disengagement reports, and autonomous driving actual accident videos. The scenarios were derived based on the functional safety system failure modes of ISO 26262 and attempted to reflect the various issues of autonomous driving functions. The autonomous vehicle scenarios derived through this study are expected to play an essential role in preventing and preparing for various autonomous vehicle traffic accidents in the future and improving the safety of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Analysis of Autonomous Vehicles Risk Cases for Developing Level 4+ Autonomous Driving Test Scenarios: Focusing on Perceptual Blind (Lv 4+ 자율주행 테스트 시나리오 개발을 위한 자율주행차량 위험 사례 분석: 인지 음영을 중심으로)

  • Seung min Oh;Jae hee Choi;Ki tae Jang;Jin won Yoo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23 no.2
    • /
    • pp.173-188
    • /
    • 2024
  • With the advancement of autonomous vehicle (AV) technology, autonomous driving on real roads has become feasible. However, there are challenges in achieving complete autonomy due to perceptual blind areas, which occur when the AV's sensory range or capabilities are limited or impaired by surrounding objects or environmental factors. This study aims to analyze AV accident patterns and safety issues of perceptual blind area that may occur in urban areas, with the goal of developing test scenarios for Level 4+ autonomous driving. It utilized AV accident data from the California Department of Motor Vehicles (DMV) to compare accident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between AVs and conventional vehicles based on activation status of autonomous mode. It also categorized AV disengagement data to identify types and real-world cases of disengagements caused by perceptual blind areas. The analysis revealed that AVs exhibit different accident types due to their safe driving maneuvers, and three types of perceptual blind area scenarios were identifi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serve as crucial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Level 4+ autonomous driving test scenarios, enabling the design of efficient strategies to mitigate perceptual blind areas in various scenarios. This, in turn,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ffective evaluation and enhancement of AV driving safety on real roads.

A Study on Method of Evaluation for Deck Pavement (교면포장의 평가 방법 고찰)

  • Jo, Shin Haeng;Jo, Nam June;Jang, Jung Soon;Baek, Yu Jin;Kim, Nak Seo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86-86
    • /
    • 2011
  • 토목 기술의 발달로 장대교량이 증가함에 따라 교면 포장도 더 심각한 진동 및 충격, 기상조건에 노출되게 된다. 교면 포장은 차량의 주행의 편리성뿐 아니라 교량 구조물을 보호해야 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하기 때문에 일반 토공부의 포장과 다른 성능을 필요로 한다. 교면 포장의 특수함을 감안하여 교면 포장의 품질을 평가하고, 설계와 적용시 반영 한다면 교량의 내구 연한 및 시공,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교면 포장에 요구되는 성능을 조사하고, 교면 포장 특히, 장대 교량 적용시 교면 포장의 성능 평가를 위한 평가 방법을 고찰하였다. 교면 포장의 가장 큰 구조적 특징은 교량의 진동과 휨에 의해 포장이 받게 되는 휨응력이다. 특히 교량의 장경간화에 따라 더 큰 진동과 변형을 경험하게 되는 교면 포장은 그에 따른 충분한 휨 추종성과 피로 저항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기존 토공부 포장에서는 실험이 간단한 원통형 공시체를 이용한 간접인장강도 모드의 실험으로 피로 성능을 평가하였으나, 교면 포장은 실제 거동 특성과 유사한 빔 피로 시험 모드가 보다 신뢰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빔 피로시험 모드로는 3점, 4점, 5점 휨 피로 시험 모드가 있으며, 각각의 모드는 지지점의 개수, 재하점의 개수에 따라 다른 거동 특성을 평가 할 수 있다. 최근 개발된 5점 휨 시험의 경우 교량에서 발생하는 부(-)모멘트를 모사할 수 있어 보다 현실적인 검증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외에도 실제 크기 모형을 이용하여 윤하중을 가하는 Full-scale 모델의 경우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나 가장 신뢰성이 높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교면 포장은 교량구조부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여야 하며, 특히 해상 교량의 경우의 염분과 겨울철 사용되는 제빙화학제는 콘크리트의 열화와 강구조물의 부식을 발생시키므로 교면 포장의 방수 성능 검토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 토공부 포장과 달리 교면 포장은 하부층이 대기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겨울철에 더 낮은 온도로 포장체의 온도가 내려가게 되고, 온도가 떨어진 포장층은 스티프니스가 증감함에 따라 저온 균열의 발생확율이 높아지며, 휨추종성도 나빠질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저온에서의 균열 저항성 및 스티프니스를 평가하는 것은 교면 포장 재료의 중요한 인자 중 하나이다. 포장과 포장 하부층의 접착은 포장층의 일체화된 거동을 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내구성 향상에 중요하다. 특히 교량과 같이 진동과 변형이 많은 경우에 있어 포장 접착층의 성능은 포장과 교량 구조물의 파손에 더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접착성능은 실내에서의 직접인장모드와 전단접착강도 시험 모드의 실험이 있으며, 현장에서 측정하는 Pull-off 실험 등이 있다. 최근에 교통량과 중차량의 증가와 더불어 교량이 장경간화 되어 가면서 평가방법과 기준을 과거보다 엄격하게 할 필요성이 있다. 하지만 현실은 교면포장에 대한 시방규정이 모호하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 제시한 국내외의 다양한 평가방법을 통해 적절한 교면포장의 성능을 평가하고 교면포장의 거동특성에 대한 이해를 함으로써 보다 발전된 교량기술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