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일과의 심리적 분리

Search Result 12,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The Effects of Leisure Experiences on Emotional Exhaustion: Focus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Detachment (여가경험이 정서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분리의 매개효과)

  • Jaehee Lee;Kwangsu Moon;Yejin Lee;Shezeen Oah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19 no.3
    • /
    • pp.409-433
    • /
    • 2013
  • Despite leisure has been well-studied as an influence in coping with stress, psychological process of leisure experience have not examined.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leisure experience on emotional exhaustion. Also, we attempted to find out whether psychological detachment from work has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experience and emotional exhaus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215 workers employed in a variety of organizations. We divided leisure experience into perceived competence, social relation, nature relation, and control nature based on factor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only perceived competence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emotional exhaustion. Further, psychological detachment partially mediated this relation. This result presented that perceived competence is most important factor in leisure experience for psychological recovery.

  • PDF

The effect of techno-overload and techno-invasion on work-family conflict: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detachment and moderating effect of leader-member exchange (테크노 과중과 테크노 침해가 일-가정 갈등에 미치는 영향: 일로부터의 심리적 분리의 매개 효과 및 상사-부하 교환관계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 Se-Hwan An ;Dong-Gun Park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23 no.2
    • /
    • pp.97-129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echno-overload and techno-invasion on work-family conflict and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detachment from work to techno-overload and techno-invasion.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role of leader-member exchan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overload, techno-invasion and psychological detachment from work. The results from 306 participants provided evidence that (1) techono-invas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psychological detachment from work, (2) psychological detachment from work was negatively related to work-family conflict, (3) psychological detachment from work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invasion and work-family conflict (4) leader-member exchang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chno-invasion and psychological detachment from work.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were dicussed in general discussion.

Surrogate and Shared Medical Decision Making for Unrepresented Patients (의료행위에 대한 동의에서 환자 보호자의 법적 지위와 역할 - 대행결정권과 공동의사결정을 중심으로 -)

  • Kim, SooJeong
    • The Korean Society of Law and Medicine
    • /
    • v.20 no.2
    • /
    • pp.43-82
    • /
    • 2019
  • In Korea surrogate medical decision makings happen without legal ground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search the issues in preparing policies for decision-making on behalf of unrepresented patients. As aspects of comparative law, there are two approaches. One of them is to regulate default surrogate list. If no agent or guardian has been appointed, some legislatures provide that members of patient's family who is reasonably available, in descending order of priority of not, may act as surrogate: (1) the spouse, unless legally separated; (2) an adult child; (3) a parent; or (4) an adult brother or sister. If none of them is eligible to act as surrogate, some legislatures allow close friends to make health-care decisions for adult individuals who lack capacity. On the other hand there are other legislatures which provide no surrogate decision maker list but oblige the responsible authority to determine with advice of family members or friends of the patient. In the end the first approach can not guarantee that the surrogate decision maker like family members or friends will determine in the best interest of the patient.

Effects of Nodus Nelumbinis Rhizomatis Extracts on Sociopsychological Stress in Mice (연근(蓮根) 추출물이 생쥐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Kim, Su-Yeon;Kim, Eun-Jeong;Lee, Dong-Won;Won, Ho-Young
    • Journal of Oriental Neuropsychiatry
    • /
    • v.15 no.2
    • /
    • pp.149-158
    • /
    • 2004
  • 만성적이거나 반복적인 스트레스는 우울중이나 심신병 등의 발병 기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전기적 자극(electric foot shock), 한랭 자극, 속박(immobilization), 투쟁(fighting), 에테르 노출 등과 같은 심한 스트레스 자극이 뇌 조직의 시상 및 시상하부, 편도체 등에서의 노르아드레날린(noradrenalin) 방출을 유의 하게 감소시키는 동시에 혈청 corticosterone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의학에서는 스트레스 인자에 대한 신체반응을 기(氣)의 변화로 인식하고 있고, 이러한 자극요인들은 신체에 대하여 병적 요인을 제공하여 제반 질환을 야기한다. 또한 질병 발생에 대한 근거로 정기(正氣)와 사기(邪氣)의 상호 관계 위주로 인식하는데, 내부의 기(氣)의 변조(變調)는 질병의 발생을 야기하는 기초가 된다. 실험에 사용된 연근(蓮根)은 연꽃과에 속한 수생초본인 연꽃의 뿌리부분으로 우(藕) 또는 우절(藕節)이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 성미(性味)는 감(甘) 삽(澁) 평(平) 무독(無毒)하고 폐(肺) 위(胃) 간경(肝經)으로 들어가며 수렴지혈(收斂止血) 화어(化瘀)의 효능이 있어 토혈(吐血) 객혈(喀血) 뇨혈(尿血) 편혈(便血) 등의 각종 출혈 증상에 사용되어져 왔다. 최근 연꽃의 부위별 추출물이 흰쥐의 지질 과산화 생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연근(蓮根)에 대한 다양한 약리 효능의 검색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연꽃의 씨앗인 연자육(蓮子肉)이 양심안신(養心安神)의 효능이 있어 스트레스성 질환에 많이 응용되고 있는 것에 착안하여 본 연구를 착수하였다. 실험 동물은 ICR계 마우스를 이용하였으며,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는 옆쪽 cage에서 다른 마우스의 신체에 가해지는 전기 충격을 하루 1시간 동안 지켜보게 하는 것으로 유발하였으며 이 상태에서 약물을 투여한 그룹을 실험군, 그렇지 않은 그룹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정상군은 아무런 자극 없이 하루 1시간 동안 일정 공간에 가두어 두는 것으로 하였다. 실험 결과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를 받은 경우에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연근 추출물을 100mg/kg/day 용량으로 5 일간 투여한 실험군에서 혈청 중 corticosterone 함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므로 매우 효과적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뇌세포 중에서 신경전달물질로 분비되는 노르아드레날린의 분비량은 전반적으로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신체적 또는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가 간 조직 내 지질의 과산화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근 추출물이 이 결과에는 영향을 주지 못하였다. 사회 심리적 스트레스로 인하여 간 조직 내 지질과산화 정도가 증가하였으므로 혈청 내 ALT 함량도 따라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이에 대한 연근 추출물 경구 투여가 간 조직을 보호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분리한 혈청으로부터 ALT 함량을 측정한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또한 연근 추출물이 혈청 내 지질 과산화물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면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추정할 수 있으므로 그 생성량을 측정하여 보았으나 대조군과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하여 보면 스트레스가 부하된 5일 동안 연근(蓮根) 추출물을 함께 투여한 결과 혈청 corticosterone 함량을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뇌 조직내 noradrenaline 함량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어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또한 혈청 내 ALT 함량을 유의하게 감소시켜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는 간 기능의 손상도 어느 정도 억제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앞으로 연근(蓮根)의 이러한 작용에 대한 보다 자세한 연구들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Social Changes and Changes of the meaning of leisure in Korea (한국의 사회변동과 여가의 의미변화: '놀고 있네'에서 '신바람'으로)

  • Sokho Choe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17 no.1
    • /
    • pp.115-130
    • /
    • 2011
  • As Korean society was changed from the traditional into the modern and once again is transforming into high modern society, meanings of leisure also are changing. However there were not many researches on changes of the two and even those were rarely found that leisure studies are based on theories in Korean academic context. The study provides changes of meanings of leisure from the theory of civilizing process and a detailed and critical examination of crises of Korean national identities in globalising society. As such reminds us that at a time changing structure of psyche and society delivers a new approach to our evaluation and appreciation of leisure. During the modernizing of Korean society work was a top priority and leisure could not take any priority over all other social institutions. However in a globalising world leisure has been taking as a vital sources of Korean dynamics.

  • PDF

A study of Spiritual Well-Being in Nursing Students (간호대학생의 영적안녕에 관한 연구)

  • Lee, Yeong-Eun;Park, Hye-Seon;Gang, Yang-Hui
    • Korean Journal of Hospice Care
    • /
    • v.7 no.1
    • /
    • pp.5-14
    • /
    • 2007
  • Objective :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status of Spiritual Well-Being in Nursing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related various characteristics and Spiritual Well-Being and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ride school-life and development of Spiritual-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Method : The data was collected from 188 christian Nursing students by using questionary method. they are all all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ir Spiritual Well-Being were measured using Spiritual Well-Being scale developed by Paloutzian & Ellison(1983) and translated by Choi(1990) and reversed by Kang(1996). Results :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PC+12.0. The summary of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Spiritual Well-Being were $63.95\pm10.256$(range from 20-80)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ade(F=6.101, p= .001), type of religion(F= 17.703, p= .000), In Christian, the level of devotee(F=8.194, p= .000), duration of church attendance(F=7.947, p= .000), regular attendance of chapel(F=4.242, p= .000), regular reading(study) of Bible and prayer (F=5.863, p= .001=0). perceived personal encounter with Jesus(F=4.160, p= .000), religion of parent(F=9.320, p= .000), perceived attitude of parenting(F=4.146, p= .000), hope to admit/transfer to other course or not(F=-2.050, p= .050). Conclusion : Our results were valuable to provide basic guidelines for ride school-life and for the development of Spiritual-education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 PDF

A PSYCHIATRIC STUDY ON THE CHILDREN WITH RECURRENT ABDOMINAL PAIN (반복적 복통 환아의 정신과적 연구(反復的 腹痛 患兒의 精神科的 硏究))

  • Choi, Jin-Sook;Hong, Kang-E;Seo, Jeong-Kee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v.1 no.1
    • /
    • pp.117-129
    • /
    • 1990
  • 35 children(17 boys, 18 girls) with Recurrent Abdominal pain(RAP) without apparent organic causes, referrd from pediatric department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were studied during 1988. 7. 1 ${\sim}$ 1989. 2. 28.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with RAP, to find possible factors influencing the onset and the course of the disorder, to evaluate the psychological status and the relationship with psychiatric diagnoses. The study subjects were compared with the age and sex matched control subjects on measures of social and school functioning, family-environment, behavior traits by CBCL and parent-environment rating scale. All patients and their mothers were interviewed by a child psychiatris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bdominal pain was found to be more frequent when with a care taker, and related with traumatic life stresses such as separation from parents, death of family members. 2) Family members of the patients with RAP also had a high rate of a history of gastrointestinal dysfunctions with could not be attributed to organic etiologies. 3) Among 35 patients with RAP, 16 were diagnosed as psychiatric disorders. They were adjustment disorders (4), overanxious disorders (4), depression (2), tic disorders (2), attention deficit disorders (2), separation anxiety disorders (1), enuresis (1). 4) On CBCL, the patients with RAP were more internalized, socially less competent and less active compared with the control subjects. 5) According to the parent-environment rating scale, the patients with RAP had more conflicts with their parents about control issues. Family members of the patients with RAP were socially less competent and less abjustable. The parents of the patients with RAP were more affectionate and spent more time with their children but they were unfair and vague on instruction and discipline.

  • PDF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IC INPATIENTS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입원한 전반적발달장애 소아청소년의 임상특성)

  • Pyo, Kyung-Sik;Bahn, Geon-Ho;Hong, Kang-E;Park, Tae-Wo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v.9 no.2
    • /
    • pp.237-246
    • /
    • 1998
  • Objectives and Methods:This study investigated clinical characteristics, treatment modality, outcome of 57 children and adolescent inpatients(male 53, female 4) who were diagnosed as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PDD) by DSM-Ⅳ criteria recent five years. Results:1) The mean age at admission was $96{\pm}28.2$ months, and the mean age at which they first visited treatment facility was $52{\pm}26.6$ months. The mean hospitalization period was $43.7{\pm}31.3$ days. 2) Diagnosis:Twenty-seven(47.4%) of subjects met DSM-Ⅳ criteria for PDD NOS. Fifteen (26.3%) met for autistic disorder, nine(15.8%) met for Asperger's syndrome, and two(3.5%) met for childhood disintegrative disorder. 3) Comorbid diagnosis:The most common comorbid dignosis was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23.8%). 4) IQ test:IQ test for twenty-eight subjects was possible. The Average of the subjects was $70{\pm}27.5$. Fifteen(53.6%) of the subjects were approximate or under 70. 5) Neurology Abnormality:EEG findings of eleven(21.2%) subjects were abnormal, brain CT or MRI findings of eight subjects(21.6%) were abnormal. 6) Family Hx:Depressive disorder were found in Eight mothers(14%). Familial loading was found in twenty families(35.1%), and familial loading of PDD was found in three(5.3%). Conclusion:The most important thing for the management of PDD is early detection and early treatment. To do so, multidisciplinary team approach should be emphasized.

  • PDF

Cafeteria Users' Preference for an Indoor Green-wall in a University Dining Hall (실내 벽면녹화 공간 이용자 행태연구 - 대학구내식당 녹화 칸막이 선호를 중심으로 -)

  • Kim, Hae-Ryung;Ahn, Tong-Mah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3 no.6
    • /
    • pp.62-72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t aspects in which users positively identify with indoor green walls and the influences that it has on usage behaviors. Under the hypothesis that public space users prefer locations with green walls, the effect on their behavior was observed. After installing indoor green walls, behavioral observations and questionnaires were carried out to analyze green wall preferences. The observation experiment was carried out for a total of 8 days in order to see what influences the preferences for of indoor green walls had on usage behaviors and compare a control group with an experimental group that experienced a green wall. The usage time data were put into an SPSS statistics program and used to run an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questionnaire was carried out for two days from March 1st to 2nd 2014 after the observation was completed, and was done by 224 users of the two areas. The results from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 First, comparisons between the total usage time of seats adjoined to partitions in both the green walled area and the partitioned area showed that there was no preference for indoor green walls. Second, the results appeared to show a higher percentage of women users in the green walled area, compared to the original partitioned area. Third, it showed that partitions and plants did not have any influence on seat choices. Fourth, the questionnaire showed preferences for indoor green walls. Out of the 94 people who sat in the partitioned area, 11.7% answered that they wanted to sit in the green walled area, they couldn't due to the lack of available seats. Furthermore, out of the 130 people who sat in the green walled area, 24.6% said they chose the seat because of their preference for the green wall. Although 64.3% of users of the two areas said that they would choose the green walled area if under the same circumstances, the behavior observation did not reflect this.

Entre l' espace sculptural et, l' espace architectural (조각공간과 건축공간의 관계)

  • Lee Bong-Soon
    • Journal of Science of Art and Design
    • /
    • v.5
    • /
    • pp.175-216
    • /
    • 2003
  • 시각이 아닌 오감체계에 관계하는 때문에 현대미술은 외관만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곧 예술 작품들은 하나의 장소를 관객에게 제공하여, 심리적, 물리적, 또는 예술이 존재여부에 관한 갖가지 질문들을 제기한다. 모든 예술 작품은 메시지를 담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개념 또는 아이디어에 우선하는 현대미술은 그들의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우리의 사회적 배경과 보편성을 간과할 수 없다. 우리의 물체 인식은 결국 우리의 경험체계를 통해서 이루어진다고 간주하면, 현대미술의 새로운 형태는 보편적 특질들이 그 특질들 이상의 상태로 보여지도록 유도한다. 이러한 창조 행위의 시작은 현대인간의 문화 읽기이며 문화는 인간과 자연의 긴밀한 관계 속에서 이루어진다. 역사는 지나간 시간을 기록한 것이며, 이 또한 우리의 지식과 정보 체계에 속한다. 회화가 평면에 입체감을 표현하는 것과는 달리 조각은 자연 속, 즉 실재공간 속에 있는 모든 것을 표현하기 때문에 시각(visible) 이외에도 촉각(tangible)이 관여하게 된다. 조각의 특수성은 촉각(tangible)이 우선하는 것이다. 그러나 시각과 촉각은 매우 적극적으로 미학적 경험에 참여하는 감각으로 이들을 서로 분리하여 생각하기가 무척 힘들다. 왜냐하면 어떤 경험에 있어서 기억연합 또는 감각 연합에 의해 하나의 감각이 다른 여러 감각을 촉발하여 연쇄반응 혹은 '형태 Gestalt'를 이루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근대 조각 작품들은 조각대 위에 고정되어 있는 구상 형태를 지녔기 때문에 조각작품 자체가 지닌 외적 형태와 그 자체내의 공간이 더욱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말하자면 미로의 비너스 조각은 대리석과 비너스 형태의 결합이다. 때문에 관객은 그 주변을 돌면서 우리 신체의 내적 공간과 시각에 의존하면서 그 작품의 중량감, 양감, 형태 등의 특질과 만나게 된다. 그러나 현대 추상조각과 개념조각은 이보다 좀 더 확장된 공간을 제시한다. 이것은 현대조각이 건축개념을 수용한 때문이며, 그것이 때로는 안 쪽에서 때로는 바깥 쪽에서 그 형태를 결정하며, 보고 듣고 느끼고 만져지고 왕래하는 등의 인식 영역인 관객의 오감체계에 직접적으로 관계하기 때문이다. 우리는 건축 공간에서, 시각 외에도 청각이나 촉각을 통해 지각한다. 대강 요약하자면 공간은 객관적 상태이기보다는 인식영역의 주관성을 통해 받아들여진 우리가 지나쳐온 것들이나 체험된 공간이다. 여기서 '받아들여지는' 일은 과거 경험들의 주체들, 언어와 문화에 의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건물, 즉 둘러싸고 있는 공간은 중앙이 아니다. 중앙은 바로 나, 둘러싸여진 나이다 나는 나의 동작에 따라 그 공간의 시스템을 변화시킬 수 있는 유동적인 중심이다 (이때의 나는 위치의 축을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그들을 탐색하는 것이다). 작품이 대형화되면서 이러한 건축공간개념이 현대 조각가들의 작품개념에 이용되었다고 본다. 현대미술에서 In situ작업과 특정한 장소를 위한 기획되어진 최근의 프로젝트 작업들은 대형화되어있으며, 건축에서처럼 특정한 장소를 만들어낸다. 로잘린드 크라우스(Rosalind Krauss)는 또한 '조각영역의 확장 (La sculpture dans le champ elargi)'에서 현대조각이 건축과 환경의 영역을 침범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그녀에 의하면, 1960년대 이후의 현대조각은 이러한 탈 귀속성과 조각의 자율성을 획득함으로써 조각은 건축물이 아니면서 건축물 주변에 위치하거나 풍경이 아니면서 풍경 안에 자리잡게 되었다. 이와 같이 현대의 대형조각 작품들 - 예를 들어 대형화된 미니별 조각이나 개념미술, 또는 대지예술 등 -은 풍경의 실재가 아니기 때문에 환경으로부터 구분된다고 언급하고 있다. 이들 조각은 더 이상 만져지는 실체이거나 점유하는 공간의 상징언어를 지닌 조각의 범주에 한정되지 않게 된다. 조각과 건축의 공간인식을 인체의 크기와 관련하여 보면, 메를로 퐁티(Merleau-Ponty)의 '지각의 현상학' 은 우리가 논하는 작품의 공간체계를 분석하는데 지침표가 되어준다. 메를로 퐁티가 말하는 지각은 정신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며, 몸과 함께 이루어지는 현상이다. 지각은 우리가 부단히 눈을 움직이고 만지고 냄새를 맡고 주변을 돌아 다니면서 세계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이루어 진다. 몸의 움직임을 통하여 나타나는 신체적 표현은 몸 자체가 원천적으로 지향적 활동의 주체로서 파악되는 한 이미 항상(恒常, constant) 의미 현상을 지니다. 우리의 지각이 움직이는 몸의 지향 활동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것은 우리의 몸의 지향활동이 의식에 선행함을 의미한다. 몸의 움직임은 의식의 의도를 표현할 때에만 의미를 나타내는 기호가 되는 것이 아니라, 이미 그 자체가 살아있는 표현이다. 우리의 몸짓, 표정은 우리 의식이 의도하기 전에 이미 의미가 담겨있다. 몸은 그 자체가 기호(Signe)적이다. 결국. 메를로 퐁티에게서 세상(le monde entier)은 그 자신이 주체가 되어 인식한다, 그리고 이 인식 구조에는 우리의 몸이 구심점(le point centripete)이 된다. 만약 우리가 이러한 메를로 퐁티의 개념을 염두에 둔다면, 예술작품의 특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재료와 크기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