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체통신

Search Result 44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Design of a Modified Alford Loop Antenna for On-Body Devices (인체 부착형 기기를 고려한 변형된 Alford 루프 안테나 설계)

  • Park, Joongki;Lee, Juneseok;Choi, Jaehoo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25 no.1
    • /
    • pp.25-31
    • /
    • 2014
  • In this paper, a modified Alford loop antenna for on-body communication system is proposed. The proposed antenna operating in the ISM band is designed with consideration of human body effect. One of advantages of the Alford loop antenna structure is low-profile, however the Alford loop antenna is not suitable for on-body devices since it does not have a ground plane for other electronic part of on-body system and requires balanced feeding structure. To be embedded on on-body devices, the proposed antenna is design with the unbalanced feed structure and ground.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ntenna is simulated and measured when it is placed on the human body phantom to consider the effect of the human body. The proposed antenna a 10 dB return loss bandwidth over the ISM band and monopole-like radiation pattern with low-profile. The antenna has the surface of appropriate for on-body communication environment.

Realization of 3D Human's bone, Alimentary Canal and Cardiovascular system by Internet (인터넷 기반에서의 3차원 시뮬레이션을 위한 인체골격과 내부 장기 및 심장혈관계의 구현)

  • 강득찬;박무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2.05a
    • /
    • pp.181-184
    • /
    • 2002
  • Currently, the lack of equipments for the medical practice and education made it impossible for the people in medical institution to carry out suitable experiments for observing human bodies. In this paper, the authors embodied three dimensional images and moving pictures for the human skeletal structure, digestive organs, cardiovascular system and their processes over the internet framework. The three dimensional images and moving picture made it possible for the general people as well as the specialists to observe and obtain informations with regard to the human body. specially, the authors realized a framework for visualizing the human bodies in three dimensional images, via which a detailed and realistic architecture for the human body and its organs tan be obtained. The system developed in this paper can be used in the practice and education of the people engaged in medical fields.

  • PDF

Improvement Method for Human Body Sensing Module and Managing System (인체 감지 센서 모듈 및 관리 시스템의 개선 방안)

  • Ahn, Tae-Wo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1 no.10
    • /
    • pp.223-227
    • /
    • 2014
  • This paper presents an improvement method for human body sensing module and management system, specifically focused on the human body detection module with ultrasonic sensors to detect the usage of toilets and the management system to control the state of the toilets of the entire building. The proposed human body sensing module consists of the detection sensor to detect the movement of human body and the contact sensor to detect the position in a certain distance. The management system is configured of the control unit to proces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sensors, opening and closing valves according to the sensing signal, and the short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o save the operational status data as well as transmit the data at regular intervals.

Remote Measurement System for Human Exposure to EMF based on Communication Network (통신망 기반의 전자파 인체노출 원격측정시스템)

  • Cho, Kwanh-Yun;Yoon, Jae-Ho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0b
    • /
    • pp.384-385
    • /
    • 2008
  • 본 논문은 전력선이나 무선기지국 처에서 방축된 전자파를 인터넷, 휴대폰 등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측정, 감시할 수 있도록 고안된 전자파 인체노출 원격측정 시스템에 대하여 기술한다. 본 시스템은 측정 자동화 및 무인차 개념이 도입되었으며, 국제규격에서 권고한 측정프로토콜에 따라 측정수행이 되므로 전자파인체노출기준의 적합성 여부론 판단하는 표준측정 시스템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 PDF

인체에 미치는 전자파의 영향을 최소화한 휴대전화 단말기 설계

  • 양희영;황명환;우인성;오학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73-76
    • /
    • 2002
  • 최근 다양해지고 있는 무선통신 이용기술은 시간과 거리를 극복하고 이동성을 최대한 보장해줌으로 말미암아 현대사회에서 중요한 기반기술로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전파이용시설에서 발사되는 전파가 생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불안과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인체나 모든 생물체내에서 생체신호들은 전기적인 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 때문에 전문가들은 전자파에 의해 인체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생체가 강한 전자파에 노출되었을 때 전자파 에너지에 의한 생체 체온의 상승, 신경 및 근육의 흥분 등 생체작용이 발생한다는 사실이 국내외 여러 조사 연구를 통해 발표되고 있다.(중략)

  • PDF

Electromagnetic Field Measurement of Outdoor Telecommunication Facilities (옥외 통신설비의 전자파환경 측정)

  • Oh, Ho-Seok;Park, Tae-Dong;Min, Kyung-Chan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8a
    • /
    • pp.207-210
    • /
    • 2007
  • 최근 전자파에 일반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기업들의 환경경영의 일환으로 전자파환경 관리도 하나의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초고속인터넷서비스 속도개선을 위해 통신장치를 기존의 전화국사내에서 가입자 주택 가까이 또는 주택 건물의 내부로 이동하여 설치하고 있다. 이런 경우 주변 거주자들은 전자파의 인체 유해성에 대한 우려를 하게 되며, 이로 인해 일부 장치설치 곤란하여 서비스제공에 어려움이 발생하기도 한다. 본 논문은 초고속서비스 제공을 위해 가입자 가까이에 설치된 여러 지역의 옥외 통신설비 주변에서 전자파 측정기술을 서술하고 측정된 결과를 국내 기준과 비교 분석하였다. 측정결과 국내 기준보다 매우 낮은 결과를 보였다.

  • PDF

Trend of WBAN Application Service (WBAN 응용서비스 동향)

  • Nam, H.S.;Lee, H.S.;Kim, J.Y.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4 no.5
    • /
    • pp.109-118
    • /
    • 2009
  • WBAN은 사람이 착용하는 옷이나 인체 내부 혹은 외부에 있는 여러 장치들을 상호 연결하여 통신할 수 있는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로서 2005년부터 IEEE 802.15 TG16에서 표준화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WBAN표준은 근거리, 저전력, 고신뢰성 무선통신을 위한 표준화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용도에 따라 전송속도가 수 kbps$\sim$수십 Mbps 범위로서 의료용뿐만 아니라 비의료용 분야에 활용된다. 의료용은 체내에 이식되는 이식형과 인체 주변에 부착되는 착용형 장치에 활용되며, 비의료용은 데이터 전달이나 게임 응용 등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분야에 활용된다. 본 고에서는 IEEE 802.15 TGl6에 제안된 WBAN 응용서비스와 이들 서비스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일반인이 언제 어디서나 이용 가능한 미래의 헬스케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WBAN 구조를 살펴보고자 한다.

A Survey and Trends on 3D Face Reconstruction Technologies (3D 얼굴 복원 기술 분석 및 연구 동향)

  • Yoon, S.U.;Hwang, B.W.;Kim, K.K.;Lim, S.J.;Choi, J.S.;Koo, B.K.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7 no.3
    • /
    • pp.12-21
    • /
    • 2012
  • 최근 3DTV, 입체 모니터, 입체 노트북 등이 출시되고, 3D 영화, 게임 등 3D 관련 산업이 성장하면서 관련 콘텐츠의 요구사항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3D 콘텐츠의 주요 요소 중 하나인 인체는 전통적으로 고가의 3D 스캐너를 이용해 모델링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해 왔다. 하지만 근래에는 광학 기술 및 컴퓨팅 성능의 향상으로 구조광과 같은 능동 센서나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영상을 기반으로 3D 인체 외형을 복원하는 연구가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런 추세에 발맞춰 본고에서는 인체 중에서도 사용자의 민감도가 높은 얼굴의 3D 복원 기술 및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다양한 응용을 목적으로 ETRI에서 개발 중인 3D 얼굴 복원 기술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Technology of Electromagnetic Field Environment (전자파 환경 기술)

  • Choi, H.D.;Lee, A.K.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1 no.4 s.100
    • /
    • pp.80-87
    • /
    • 2006
  • 일상생활에서 전자파의 사용이 급증함에 따라 국민들의 전자파에 대한 건강상의 심각한 잠재적 위험성에 대한 관심과 우려가 증가하고 있고, 다른 기기의 오동작 등 전자파환경 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전자파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막연한 불안감 해소를 위하여 전자파 환경기술에 대해 전자파 장해와 인체영향 분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전자파 장해 관련 기술은 규제 차원의 제도적인 문제와 시험 및 대책을 위한 전자파 측정과 대책 설계 등의 해석 기술을 다루었으며, 전자파 인체영향은 잠재적 위험성에 대한 예방정책의 일환인 인체보호기준과 이에 대한 생물학적 근거, 그리고 전반적인 연구분야에 대해 설명하였다. 끝으로 전자파로부터 안전한 전자기기 이용환경을 실현하기 위한 정책 방향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저전력 고속 OOK 무선 캡슐형 내시경 시스템의 설계 및 제작

  • Lee, Jae-Cheon;Nam, Sang-Uk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5 no.2
    • /
    • pp.41-46
    • /
    • 2008
  • 무선 캡슐형 내시경 시스템 설계를 위하여 인체내부에서 표면까지의 전송손실을 $0.001{\sim}2$ GHz대역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실제 인체구조 모델에 안테나를 적용하여 계산결과를 얻은 기존 연구와 달리 인체내 매질의 평균적 특성을 갖는 균일 매질로 가정하여 안테나의 Q와 효율을 계산하였다. 계산 결과 40MHz의 HPBW(Half-Power Bandwidth), 5mm반경 크기의 송신안테나, 15un거리에 대하여 $400{\sim}600$MHz 사이에서 -58dB가량의 최적 손실이 예상되었다. 분석된 손실 결과를 바탕으로 450MHz에서 무선 캡슐형 내시경 시스템이 설계 및 제작되었고 실제 유사매질용액에서 실험결과 15cm/10cm거리에서 -62/-5ldB의 손실을 보였으며 동물실험에서는 돼지 체내외간 10cm가량의 거리에 대해 약 -56dB의 손실이 측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