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지적 문제해결능력

Search Result 231,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Cognitive Components Definition of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in Informatics Education (정보 교육에서 요구되는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의 인지적 요소 정의)

  • Kim, JongHye;Jeong, HoiGang;Kim, HanSung;Kim, HyeonCheol;Lee, WonGyu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1 no.2
    • /
    • pp.1-12
    • /
    • 2008
  •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hrough subject matter education. Especially, Informatics education is important to improve the problem-solving ability by using computer as well as the general problem-solving ability. This paper identifies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which is required in Informatics education. The cognitive components of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re organized as the result of crossing the problem-solving ability and the creativity. This paper investigated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as judged by a panel of experts. The cognitive components of creativity are the elaboration, sensitivity, and reorganization in the step of 'Understanding and Analysis the Problem'. Also, The cognitive components of creativity are the fluency, flexibility, and originality in the step of the 'Exploring the Problem Solutions'. The cognitive components of creativity are elaboration in the step of the 'Design the Problem Solution' and 'Implementation'. Finally, the cognitive components of creativity are the flexibility and elaboration in the step of the 'Evaluation'.

  • PDF

Mediation Effect of Pla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leep Habits and Cognitive Problem-Solving in Toddlers (유아기 아동의 수면 습관과 인지적 문제해결 능력의 관계에서 놀이의 매개효과 )

  • Lee, Minkyu;Jin, Yeonju;Oh, Seungjae;Hong, Ickpyo
    • Therapeutic Science for Rehabilitation
    • /
    • v.12 no.4
    • /
    • pp.97-109
    • /
    • 2023
  •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pla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oddlers' sleep habits and problem-solving. Methods : In total, 1,734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the 3rd wave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was utiliz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oddlers' play, sleep habits, and problem-solving, as well 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play. Results : The monthly age of the study participants ranged from 23 to 32 months, with 885 (51.0%) boys and 849 (49.0%) girls. The indirect effects of play on problem-solving skills (β = 0.137, p = .006)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direct effects of sleep habits on problem-solving skills (β = -.015, p = .871) and the total effect (β = 0.122, p = .057) were not significant. Conclusion : This study indicated that sleep habits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problem-solving ability, but that the indirect effects were significant and fully mediated by play. Incorrect sleep habits can negatively affect lifelong development. Therefore, parents would need to be aware of whether their child is developing good sleep habits during the toddler ag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iate Athletes' Communication and Problem-Solving Capacity: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대학 운동선수들의 의사소통과 문제해결능력의 관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 Choi, Youngjun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v.58 no.3
    • /
    • pp.67-7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adaptive-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problem-solving capacity. Subjects were 189 male collegiate athlet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ir communication competenc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problem-solving capacity, and their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problem-solving capacity. But the mal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communication competence or problem-solving capacity.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customized adap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re necessary to improve the problem-solving capacity of collegiate athletes.

A Study o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the Metacognitive ability with Scratch Programming (스크래치 EPL교육을 통한 상위인지능력 향상 방안 연구)

  • Jo, Moon-Hyun;Sohn, Won-Sung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1a
    • /
    • pp.31-35
    • /
    • 2010
  • 현대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중시하는 시대적 요구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교육을 통하여 학생들의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상위인지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존의 여러 교육용 프로그래밍 교육은 그 자체의 기능을 익히는데 너무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어 정작 프로그래밍 교육을 통해 얻고자 하는 것을 얻기에는 부족함이 많이 있었다. 하지만 최근 개발된 교육용 프로그램 스크래치는 기존에 교육용 프로그램이 갖고 있던 여러 가지 단점을 보완하고 보다 쉬운 프로그래밍 교육을 통해 논리력이나 문제해결력 같은 고인지 사고능력을 길러줄 수 있다. 자신의 인지상태를 탐색하고 학습 혹은 문제 해결 과정에 필요한 인지적 자원을 분석하며 능동적으로 조정하는 인지적 상호작용의 총합인 상위인지능력의 향상에 중점을 둔 스크래치 프로그래밍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상위인지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ocial Anxiety in Nursing Students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과 사회불안)

  • Cha, Kyeong-Sook;Jun, Won-Hee;Hong, Sung-Si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7
    • /
    • pp.324-333
    • /
    • 201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social anxiety in nursing students. A total of 227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ie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with SPSS WIN 18.0. The mean scores for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ocial anxiety were at the intermediate level. Problem solving ability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anxiety.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social anxiety included cognitive reaction within the seven problem solving ability subscales and perceiv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regression model explained 22.6% of social anxiety. As a result, to decrease social anxiety in nursing students, nursing educators should develop educational intervention programs to change cognitive distortions presented in unfamiliar social situations and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bility.

평가문제 제시를 통한 메타인지 능력에 대한 연구

  • Go, Sang-Suk;Park, Hye-Seon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9 no.1 s.21
    • /
    • pp.15-24
    • /
    • 2005
  • 오늘날 제 7차 교육과정은 학습자의 사고과정과 능력을 다양한 평가방식으로 실시하도록 권유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수학과 평가는 교수-학습에 유용한 평가, 과정 중심의 평가,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는 평가가 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학습자로 하여금 스스로 학습하도록 가정하는 인식론적 변화에 바탕을 둔 최근의 평가 동향과 맥을 같이 하고 있다. 평가에서 학생의 수학활동 역시 특히 인지적 영역의 다양성을 지닌 개인에 의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학 평가는 단편적인 정형화된 지식이 아닌 문제 해결의 전략이나 발견술과 같은 요소에서 강조되고 있는 비정형의 문제들을 통한 메타인지적인 발달과정을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이 준개방형 평가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이 얼마나 알고 있는가를 인식하며 자신의 문제 해결 전략을 점검하고 평가하는 인지적 능력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지금 현재 연구가 진행 중이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 논문집에 발표할 예정이다.

  • PDF

Analysis on Cognitive Strategies of Scientific Predicting according to 6th Graders' Predicting Skills Based on Eye Movement (초등학교 6학년들의 예상 능력에 따른 과학적 예상의 인지전략 분석 - 안구운동을 중심으로 -)

  • Kim, Yeram;Shin, Donghoon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33 no.4
    • /
    • pp.751-761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적 예상 과정에서 초등학생의 안구운동을 분석하여 과학적 예상의 인지전략을 발견하는 것이다. 예상은 관찰, 측정, 추론과 같은 기초 탐구 과정들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탐구 능력이다. 6학년 초등학생 40명이 자발적으로 이 연구에 참여했으며, 과학적 예상 두 과제를 해결하였다. 예상 과제는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모형의 다음 모양을 예상하는 것과 14일 간의 기온 그래프를 보고 다음 5일간의 기온을 예상하는 과제였다. 과학적 예상 과정에서 참가자들의 안구 운동을 기록하기 위해 SMI사의 안구운동 추적기를 사용하였다. 40명의 참가자들 중 15명(그룹 A)은 두 과제를 모두 해결하였으며, 17명(그룹 B)은 하나의 과제만 해결하였고, 8명(그룹 C)은 두 과제 모두 해결하지 못했다. 예상 능력이 높은 학생과 낮은 학생의 인지 전략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그룹 A와 그룹 C의 안구운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룹 A는 짧은 시간 동안 문제를 읽고 문제의 주요어에 집중했으며, 단서들을 비교하고 경향성을 찾고 답을 재확인하는 활발한 움직임을 보였다. 그룹 C는 문제 자체를 이해하는데 긴 시간이 걸렸으며, 주요어와 단서를 찾지 못하고, 무의미한 짧고 빠른 도약 안구 운동을 보였다. 둘째, 그룹 A와 C의 안구 운동의 고정, 도약, 시선 경로를 분석한 결과, 6가지의 안구 운동 패턴이 나타났다. 셋째, 안구운동 분석결과를 토대로 참가자들의 인지 전략을 유동전략과 고착전략의 두 가지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 규명한 과학적 예상의 인지전략은 교사들이 과학적 예상의 문제 해결 단계에서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을 이해하고, 예상 능력을 향상시키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에 도움이 될 것이다.

Analysis on cognitive variables affecting proportion problem solving ability with different level of structuredness (비례 문제 해결에 영향을 주는 인지적 변인 분석)

  • Sung, Chang-Geun;Lee, Kwang-Ho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22 no.3
    • /
    • pp.331-352
    • /
    • 2012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verify what cognitive variables have significant effect on proportional problem solving. For this aim, the study classified proportional problem into well-structured, moderately-structured, ill-structured problem by the level of structuredness, then classified the cognitive variables as well into factual algorithm knowledge, conceptual knowledge, knowledge of problem type, quantity change recognition and meta-cognition(meta-regulation and meta-knowledge). Then, it verified what cognitive variable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6th graders' proportional problem solving abilities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echniqu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different cognitive variables effect on solving proportional problem classified by the level of structuredness. Through the results, the study suggest how to teach and assess proportional reasoning and problem solving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

  • PDF

A Study on the Cases of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Metacognitive Thinking (초등수학영재들의 메타인지적 사고 과정 사례 분석)

  • Shin, Eun-Ju;Shin, Sun-Hwa;Song, Sang-Hun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17 no.3
    • /
    • pp.201-220
    • /
    • 2007
  •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analyze the metacognitive thinking that mathematically gifted elementary students use to solve problems, study the effects of the metacognitive function on the problem-solving process, and finally, present how to activate their metacognitive thinking. Research conclusion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went through three main pathways such as ARE, RE, and AERE, in the metacognitive thinking process. Second, different metacognitive pathways were applied, depending on the degree of problem difficulty. Third, even though students who solved the problems through the same pathway applied the same metacognitive thinking, they produced different results, depending on their capability in metacognition. Fourth, students who were well aware of metacognitive knowledge and competent in metacognitive regulation and evaluation, more effectively controlled problem-solving processes. And we gave 3 suggestions to activate their metacognitive thinking.

  • PDF

The Effect of Learning Programming on the Creativity and Problem-Solving Skill using Dolittle (두리틀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수업이창의성, 문제해결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 Yu, Jeong-Su;Lee, Min-Hee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8a
    • /
    • pp.53-59
    • /
    • 2009
  • 21세기 지식정보사회에서는 창의력, 문제해결력 등의 고등인지사고능력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두리틀을 이용한 프로그래밍 수업을 통해 아동의 창의력과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아동의 프로그래밍 활동을 능동적으로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주되, 교사가 문제해결 과정에 따라 학습진행 과정을 모니터링하여 학생들의 문제해결 능력을 신장시켜주는 안내된 발견식 수업 모형을 적용하였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의 과정에 필요한 인지적 요구사항을 토론이나 소크라테스식 질문을 통하여 반드시 거치도록 안내하였다. 초등학교 5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두리틀을 이용하여 안내된 발견식 수업모형을 적용 한 결과 창의성과 문제해결력 측면에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