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지자극

Search Result 540,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The Effect of Community-Based Cognitive Stimulation Program on Cognitive Fincion and Subject Memory in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지역사회기반 인지자극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과 주관적 기억에 미치는 영향)

  • Mi Young Kim;Woo Kuon Park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2
    • /
    • pp.67-71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community-based cognitive stimulation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and subjective memory in the elderly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This study was applied by selecting 15 users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helter program for more than 3 months from April 2019 to August 2019 at the D Dementia Center in G located, Gyeonggi-do. The program consisted of a total of 36 cognitive stimulation programs 3 times a week a total of 3 months. Cognitive stimulation program stimulates cognitive function through various activities such as orientation reinforcement, cognitive training, recall, music, art, and physical play, and is us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social function. It consists of folk songs, percussion instruments, national gymnastics, dance, games, and traditional games. As a result of the cognitive stimulation program, the average cognitive function increased by 2.13 points from 26.33 points before implementation to 28.46 points after implementation,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was obtained (p=0.000). Subjective memory decreased by 3.53 points from the average of 7.13 points before the cognitive stimulation program was implemented to 3.60 points after the implementation,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 was obtained (p=0.000). It can be confirmed that this works. Dementia is leading to a cost burden, and congnitive function decreases the aqulity of life. It brings various burdens. It is necessary to study cognitive stimulation programs applied to various environments in the future.

Effects of Self-Explanation and Prompts Depend on the Students' Need for Cognition (인지욕구와 자기설명이 학습 수행에 미치는 영향)

  • Lee, Hyo-Hee;Do, Ky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10.05a
    • /
    • pp.25-30
    • /
    • 2010
  • 자기설명이 학습을 촉진시키려면 무엇을 설명해야 하는지 판단해야 하고, 그에 대해 적절한 설명을 산출해내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촉진자극(propmpt)를 제공해서 무엇을 설명해야 하는지에 대해 도움을 주면 자기설명 효과가 얻어지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자기설명과 촉진 자극의 효과가 학습자의 인지욕구(need for cognition)와 상호작용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인지욕구 수준을 상하로 나누어 3 요인 실험을 실시하였다. 촉진자극과 자기설명의 효과는 과제와 학습자의 인지욕구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기억검사에서는 인지욕구가 낮은 학습자에게서만, 자기설명의 효과와 촉진자극의 효과가 관찰되었다. 반면에 이해검사에서는 인지욕구의주효과가 유의하였고, 3 요인상호작용 효과가 경향을 보였다. 즉 촉진 자극을 제공하는 것은 인지욕구가 높은 학습자에게서만 학습을 향상시켰다. 이 결과는 인지부하가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 PDF

The Effects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and 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Therapy on the Current Perception Threshold of Orofacial Region (구강안면영역에서의 경피성 신경자극과 전기침자극요법이 전류인지역치에 미치는 영향)

  • Chung, Jin-Woo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4 no.3
    • /
    • pp.301-313
    • /
    • 1999
  • 구강안면동통 환자의 치료법으로 널리 쓰이는 전기요법은 연조직과 신경계 구조물에 대한 치료 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저자는 현재 구강안면동통의 치료법으로 널리 쓰이고 있는 전기요법들 중 경피성 신경자극(Transcutaneous electric nerve stimulation)과 전기침자극요법(Electroacupuncture stimulation therapy)이 각각의 신경섬유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정상 성인 남녀 29명에게 경피성 신경자극 및 전기침자극을 시행하고 시행 전 및 시행 후 삼차신경 영역의 3가지 종류($A{\beta}$, $A{\delta}$, C fiber)의 신경섬유의 전류인지역치(CPT) 변화를 측정하여 그 차이점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경피성 신경자극 및 전기침자극 모두에서 대조군에 비해 삼차신경 영역의 모든 신경섬유에 걸쳐 고른 전류인지역치의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경피성 신경자극과 전기침자극 후의 전류인지역치 변화량은 서로 유의할만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는 경피성 신경자극 과 전기침자극 모두 3가지 종류($A{\beta}$, $A{\delta}$, C fiber)의 감각신경섬유의 전류인지역치에 영향을 미치며, 구강안면동통의 감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Automatic cognitive processing of korean written language as indexed by visual MMN(vMMN) (시각적 MMN(vMMN)의 분석을 통한 한국어 글말의 무의식적인 인지과정 연구)

  • Lee, Sung E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9.10a
    • /
    • pp.67-72
    • /
    • 2009
  • ERP의 일종인 MMN(Mismatch Negativity)은 언어의 청각 인지정보 처리과정(central auditory processing)을 규명하는 데 유용한 수단으로 이용되어 왔다. 그런데, 최근의 연구들은 이러한 MMN이 청각 자극뿐만 아니라 시각 자극에 의해서도 검출될 수 있음을 밝혀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각적 MMN을 이용하여 뇌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 화자의 무의식적인 한국어 문자 정보처리과정을 규명하려고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의 글말 최소쌍 '므'/'모'와 '므'/'무', 이에 대응되는 비언어자극 '+ㅡ'/'+ㅗ'와 '+ㅡ'/'+ㅜ'(+표시의 아래에 모음을 붙여서 만든 인공문자, 그림1 참고)를 수동적(passive) Oddball paradigm으로 제시하고 언어 자극에 대한 EEG를 비언어자극과 비교 하에 측정,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언어자극과 비언어자극 모두에서 시각적 MMN이 검출되었다. 하지만, 언어자극의 시각적 MMN이 비언어자극의 시각적 MMN보다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이는 한국어 모국어화자들이 무의식적인 인지과정에서 언어자극이 갖는 물리적인 시각 정보뿐만 아니라 한국어 문자의 언어적 정보도 함께 처리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한국어 글말의 무의식적인 인지처리과정을 밝혀주는 한편, 한국어 문자가 인지과학에서 갖는 중요한 지위를 보여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ffects of Home-Visit Program with Cognitive-Stimulating Activities on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Self-efficacy of an Elderly with Dementia Special Rating : Single Subject (가정방문 인지자극 활동이 치매특별등급(5등급) 노인의 인지기능 및 기억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개별대상연구)

  • Son, Bo-Young;Bang, Yo-Soon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3 no.5
    • /
    • pp.247-262
    • /
    • 2019
  • This study involved the effects of home-visit program with cognitive-stimulating activities on cognitive function and memory self-efficacy of an elderly with dementia special rating(5rate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11 to April 26, 2019 using a 65-year old woman residing in G Metropolitan City. The individual subject study used an A-B-A design. The subject performed activities that required thinking and resolving in order to stimulate both her body and cognition. The activities chosen were easily accessible to those having a form of mild dementia, rates 5 dementia special rating, and repetitively stimulated the subject's intellectual capacity in an attempt to increase her degraded cognitive functioning. Specifically, the activities exercised both short-term memory and recollection using familiar letters, numbers, and bodily movements frequently encountered in daily life. The program positively affected the subject's memory and concentration. In addition, the program was found to be feasible for home use by those with mild dementia, obviating the need to travel to a location like a welfare center. The author presents specific activities for stimulating cognition that can effectively intervene to positively influence the cognitive functioning and memory of those with rates 5 dementia special rating.

Recent Research Trend in Soft Tactile Sensor for Electronic Skin (전자피부(E-Skin)용 유연 촉각센서 연구동향)

  • Jee, Eunsong;Kim, Joo Sung;Kim, Do Hwan
    • Prospectives of Industrial Chemistry
    • /
    • v.21 no.1
    • /
    • pp.3-18
    • /
    • 2018
  • 전자피부(Electronic skin)는 외부 환경과의 상호작용하는 인간 피부의 기능을 대체하여 외부 자극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센서들로 이루어진 인공피부로써, 최근 인간과 전자기기 간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이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피부의 주된 기능인 외부 물리적 자극을 인지하는 촉각을 모방하는 촉각센서는 많은 발전을 거쳐 왔으며, 한계를 극복하고자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촉각센서는 압력, 인장, 굽힘과 같은 물리적 자극에 반응하며, 물리적 자극 신호를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인지하는 연구들이 폭넓게 개발되고 있다. 또한, 소자의 구조에 따라 물리적 자극을 전달하는 다양한 변환 방식들이 있으며, 최근에는 각 신호 변환 방식의 민감도, 반응속도, 자극 인지 범위 등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소재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소재의 변형을 주거나 생체의 기관 구조 및 외부 자극 인지 원리 등을 모사한 연구들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본 기고에서는 이러한 촉각센서의 물리적 자극 신호 변환 방식과 소재 변형 및 생체 모사를 통한 다양한 연구들을 소개하고자 하며, 이를 통하여 촉각센서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effect of color and attention on the perception of 2D coherent motion (2차원 운동지각에 미치는 색채와 주의의 영향)

  • 이형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5a
    • /
    • pp.19-24
    • /
    • 2000
  • 색채에 따른 목표자극과 방해자극의 분리가 2차원 운동지각을 향상시킨다는 연구결과(Stoner & Albright, 1997)와 색채에 따른 목표자극과 방해자극의 분리가 2차원 운동지각을 향상시키지 못한다는 상반된 연구결과(Edwards & Badcock, 1996)의 모순을 해결하고, 선택적 주의에 따른 목표자극과 방해자극의 분리가 2차원 운동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하여 일련의 실험이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문제에 대한 이형철(1999)의 연구가 있었지만, 이형철의 연구는 단지 숙련된 2명의 피험자의 결과에 의존했다는 점, 그리고 선택적 주의에 사용된 자극에서 목표자극과 방해자극이 색채에 의해 완벽하게 분리되지 않을 때와 목표자극과 방해자극이 색채정보에 의해서만 분리되고 그 외의 다른 정보에 의하여 분리되지 않을 때와 목표자극과 방해자극이 그 어떤 정보에 의해서도 분리되지 않을 때, 피험자들의 2차원 운동지각 수행은 비슷하였다. 하지만, 목표자극과 방해자극이 색채정보에 의하여 분리되고 피험자들이 목표자극을 구성하는 색채에 선택적 주의를 기울일 때, 피험자들의 2차원 운동지각 수행은 향상되었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선택적 주의가 개입되지 않는 한 인간의 운동지각체계는 자극 구성요소들을 운동정보분석을 위해 색채에 따라 자동적으로 grouping 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 PDF

The Effect of Multi-Sensory Stimulation Training on Cognitive Function and Balance Skill of the Community Resident Elderly (다감각 자극훈련이 노인의 인지기능 및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 Choi, Ji-Hyon;Yoo, Doo-Han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 /
    • v.6 no.2
    • /
    • pp.1-10
    • /
    • 2016
  •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ulti-sensory stimulation training on cognitive function and balance skill of the community resident elderly. Methods : 10 participants who is over aged 65 years carry out multisensory stimulation training program for 12weeks, once a week for 60minutes. The multisensory stimulation training program is consisted of total 12 topic based on body schema, gross muscle and tactile stimulation. The result was measured using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and Berg Balance Scale to evaluate before and after of cognitive function and balance skill. And after intervention, the satisfaction of the program was investigated. Wilcoxon matched-pair signed rank test was used to compare pre- post difference of cognitive function and balance skill. Results :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ognitive function and balance skill(p<.05) and the satisfaction is positive at the end of the program. Conclusion : The multisensory stimulation training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cognitive function and balance skill for elderly. And the satisfaction is positive at the end of the program. The multisensory stimulation training program can enhance the satisfaction to elderly in the aging society. So, additional studies is needed for efficient use.

The Effects of a Cognitive Stimulation Activity Program on the Mild Cognitive Impairment Elderly's Cognitive Function, Self-Efficacy, and Depression (인지자극 활동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자기효능감, 우울에 미치는 영향)

  • Bang, Ju-Hee;Bang, Yo-Soon;Son, Bo-Young;Oh, Eun-Ju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3 no.3
    • /
    • pp.231-24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lement a cognitive stimulation activity program and examine its effects elderly people who is capable of daily life and community activities but suffering from per sistent cognitive decline on the elderly's cognitive function, self-efficacy, and depre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elderly people who is capable of daily life and community activities but suffering from persistent cognitive decline improve their ability to perform and adapt to activity-based tasks incorporating a variety of actions of different subdomains and difficulty levels, ac 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nd cognitive levels. The aim of the program created was to systemati cally improve the subdomains of cognitive functions and eventually preventing these conditions develo ping into dementia in those affected. This study also enabled the subjects to improve their self-effica cy through newly gained positive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 their own abilities by successfully expressing their experience or thoughts about circumstantially and relationally meaningful events and memories, and performing activities that promote sensory stimulations. The group activities conducted as part of the study helped the subjects reduce their symptoms of depression not only by expressing their thoughts and emotions, but also by encouraging empathy with, understanding of, and caring for others. Given that this study confirmed the potential of the cognitive stimulation program designed fo r it as a clinical intervention for elderly people with cognitive impairment, it is suggested as a useful preventive program for early stage dementia.

Event-Related Potentials of a Monosyllabic Word (단음절 단어의 사건 관련 전위)

  • Min, Byoung-Kyong;Kim, Myung-Sun;Yoon, Tak;Kim, Jae-Jin;Kwon, Ju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2.05a
    • /
    • pp.211-215
    • /
    • 2002
  • 본 실험은 종합적 인지과정을 추론할 수 있는 결합 문제(binding problem)를 언어적인지 과정을 통해 알아 본 실험으로, 총 10 명(남:61여:4, 평균나이:24.40 $\pm$ 1.35)의 정상군을 대상으로, 4개의 음소로 이루어진 단음절 명사를 목표 자극(target stimulus)으로 하고, 4개 음소의 임의적인 조합으로서 글자를 이루지 못하는 비목표 자극(non-target stimulus)을, 각각 200 회와 800 회씩 시각적으로 0.5초씩 무작위로 제시하여 128 채널 고밀도 사건관련전위(ERP)를 측정하였다. 이번 실험 결과의 주요 특징은 글자가 아닌 비목표 자극보다 글자인 목표 자극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 두정엽 부근의 P500 과 N900 이라고 할 수 있다. 자극 제시 비율의 차이에서 오는 oddball 효과로 인한 기존 P300 의 인지적 의미를 이번 결과의 P500 이 함축한다고 볼 수 있으며, 단음절 단어를 인지할 때, 글자임을 인식하는 순간은 의미적인지 과정이 진행되었다기보다 그 글자의 형태만으로 낯익은 글자인지를 분간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 경우 기존 언어 실험에 자주 등장하던 의미론적 peak 인 N400 은 보이지 않고, 곧바로 형태적이고, 통사적(syntactic)인 인지 처리 과정인 P500이 나타났다고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이번 실험에서는 N400 대신에 N900 이 나타났다. 이 결과는 이번 ERP 실험과 병행된 프로토콜 분석을 통해, 피험자가 자극 제시 후, 약 900ms 정도에, 이미 제시되고 사라진 글자 자극을 다시 한번 떠올리는 인지 과정이 일어난다는 점과 관련 지어 해석하면, 기존에 의미적(semantic) 인지 과정으로만 해석했던 negative-peak 를 생각(thinking)과 같은 내재적인지 과정(internal cognitive process)으로 확장하여 일반화하는 추론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요컨대, 언어인지를 통한 이번 실험을 통해, 뇌파에서 검출되는 negative-peak 은 internal cognitive process로 추측되고, positive-peak 는 external cognitive process 라고 생각된다. 덧붙여, 유의해서 볼 점은 각 peak-topology 에서 Cz 의 진폭이 Fz 보다 크게 나온 점과, 일반적으로 언어 기능을 담당한다는 좌측 측두엽(T7)이 우측(T8)보다 통계적으로 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는 점등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