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증주택

검색결과 112건 처리시간 0.021초

소형주택의 친환경건축물 인증기준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LEED for Homes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for Detached Houses - Focusing on Comparisons of LEED for Homes -)

  • 김현아;오준걸
    • KIEAE Journal
    • /
    • 제12권6호
    • /
    • pp.49-5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enerate implications for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GBCS) for detached houses, by comparing LEED for homes. Detached houses were added to the GBCS and took an effect this year. They are evaluated by the GBCS under special conditions, because they are designed by small architectural offices with limited budget. In this respect, this paper points out the problems of the GBCS for these detached houses and highlights some areas to be improved. As the first step, the definition of sustainable building and the design method of green building were investigated. By doing so, this study acknowledges the potential analysis methods in making valid comparisons with LEED for homes. Secondly, this study make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GBCS for detached houses and the GBCS for apartment houses, LEED for New Construction(NC) and LEED for houses. Lastly, it identifies the problems and suggests better ways to improve the GBCS for detached houses through integrated analysis of the GBCS and LEED.

친환경 공동주택 인증 심사항목별 득점비율 분석을 통한 개선 필요 항목 도출 (Average Score-to-Allotted Point Ratio Analysis of Each Assessment Item of Green Apartment Complex Certification System)

  • 송승영;이현화;이현우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28권4호
    • /
    • pp.1-9
    • /
    • 2008
  • With an awareness of the fact that influence of building industry on the environment problems is great, many countries have been endeavoring to construct sustainable and environmentally-friendly buildings. In Korea, the GBCS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has been in force since 2002. Total 6 types of buildings are dealt in the GBCS. Especially, it is expected that the number of apartment complexes, which are the most common type of residences in Korea, applying for GBCS has increased continuously. In this study, we aim to pick out the items requiring improvement for the green apartment complex. Existing 12 certified apartment complexes were selected. GBCS assessment results and actual conditions of design and construction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otal 18 items requiring improvement were picked out in accordance with the average score-to-allotted point ratio. Relevant particulars expected to be helpful for the next design works were also presented.

주거시설에 대한 CPTED 평가인증 기준 개선방안 연구 (Improvement of the Checklist for Residential Housing's Crime Prevention Accreditation Assessment)

  • 박현호;김강일;조준택
    • 시큐리티연구
    • /
    • 제55호
    • /
    • pp.117-141
    • /
    • 2018
  • 경찰청이 발간하는 범죄통계에 따르면 주거시설은 노상에 이어 범죄발생이 두 번째로 많은 장소이다. 또한 1인 가구 증가 등 사회적, 환경적 취약점으로 인해 생활의 기본요소이면서 동시에 안전함과 편안함이 핵심이어야 할 주거공간이 침입절도 등 범죄에 빈번하게 노출되고 위협에 시달리고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주거시설 중 상대적으로 취약한 원룸, 다세대, 연립, 도시형생활주택에 대하여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 관점에서 안전을 평가하고 인증하는데 적합한 요소 및 항목을 추출하여 인증평가 지표와 점검항목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평가지표와 점검항목을 기반으로 서울 서초구, 경기 용인시, 충남 아산시에 소재한 원룸, 다세대, 연립, 도시형생활주택을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고 조사결과를 반영한 체크리스트 최종안을 도출하였다. 체크리스트 최종안에 포함된 평가분야는 총 7개 분야 43개 항목이며, 다양한 가점항목을 추가하여 관리자가 취한 특별한 안전조치에 대하여 점수를 획득할 수 있도록 설정하였다. 개발된 체크리스트는 다양한 규모와 유형의 주거시설을 평가할 때 시설별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변형하여 활용될 수 있다. 인증평가의 기본원칙과 관련하여, 범죄예방을 위해 중요한 항목들의 배점은 높게 부여하였고, 정성평가를 통해 차등 배점을 부여하는 방식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체크리스트는 범죄예방전담경찰관(CPO)들이 관할지역 내 주거시설을 평가하고 범죄안전 수준이 높은 우수시설을 인증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신도시 공동주택 거주자 대상의 녹색건축 인증제도 인식도 조사 및 분석 (A Study on the Recognition of 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G-SEED) from the Survey of Multi-complex Residents in Newtown)

  • 목선수;박아름;조동우
    • KIEAE Journal
    • /
    • 제13권6호
    • /
    • pp.23-28
    • /
    • 2013
  • Green Standard for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G-SEED) has been used for environmental friendly building certification since 2002. The certification criteria initialed with multi-residential building and now it expands to 10 criteria for new and existing building typ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current recognition of G-SEED from the survey of multi-complex residences in newtown. From the general question, 75.2% of responders answered the period of living term between 1~3 years, 58.6% lived in $102.48{\sim}132.23m^2$ residential area and 65.2% owned their residences. The 43.2% of respondents recognized that their residences gained G-SEED certification by G-SEED emblem(31.6%). This is the significant meaning to understand public recognition of G-SEED and how to approach the strategy for raising the G-SEED recognition. The responders expected positive influence for economical value from G-SEED and also 75.3% of responders agreed with that G-SEED would be a decision make to buy and rent their residences. Second, residents responded that the consideration issue for green building is energy & preven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27.7%) which carries equal concern in G-SEED criteria category. The result of this survey verifies that the current level recognition of G-SEED of the responder's perspectives still is not well-known but it confirmed they have a positive expectation. Therefore, from this result, G-SEED needs to draw road map with detail plans for developing G-SEED with public participation.

IFC-BIM을 활용한 실내공기질 인증 요구정보 생성 자동화 (Automation of Information Extraction from IFC-BIM for Indoor Air Quality Certification)

  • 홍심희;여창재;유정호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63-73
    • /
    • 2017
  • 실내에서 보내는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쾌적한 실내환경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또한, 새집증후군과 같은 문제들에 관심이 집중되면서 실내공기질에 관한 요구 역시 증가되고 있다. 정부에서는 이러한 요구에 따라 실내환경을 관리하기 위하여 다양한 정책 및 제도를 제정하였으며, 공공건물에서의 친환경제도 인증을 필수화하였다. 실내공기질과 관련된 인증제도는 크게 3가지로 도면기반으로 인증을 평가하는 건강친화형 주택건설기준과 녹색건축인증 그리고 측정정보 기반으로 인증을 평가하는 실내공기질 인증이 있다. 이중 도면기반으로 인증을 평가는 제도들을 업무의 비중 대비 과도한 업무량이 요구된다. 친환경인증업무를 수행하는 한 회사의 인터뷰 결과 평균 업무비중보다 2배 이상의 소요시간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2D기반의 작업환경에서 면적에 관한 정보들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측정하여 필요이상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D기반의 BIM모델을 이용한 실내공기질 평가 자동화 프로세스를 제시한다. 국제표준 포맷인 IFC 파일을 이용하여 필요한 면적정보 및 자재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하고 이를 모델에 적용하여 자동화하는 과정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인증을 위해 필요한 업무시간을 단축하고 업무효율성을 높이는 것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기후변화에 따른 녹색건축인증제도의 외부환경 평가항목 개선방향 연구 (Improving Assessment of External Environment for Green Standard for Energy & Environmental Design Certification according to Climate Change)

  • 김지현;권혁삼;김정곤;송옥희
    • 토지주택연구
    • /
    • 제8권3호
    • /
    • pp.171-180
    • /
    • 2017
  • In 1990s, as the extreme weather events according to the global warming climate change are occurred frequently all around the world and the scale of the damage increases, the developed countries are promoting various policies for reducing greenhouse gas emissions setting the goal of greenhouse gas reduction with the level of State and local government. Especially for the greenhouse gas reduction of buildings and the inducement of eco-friendly design, the green certification system is strengthened with the assessment of energy and greenhouse management, and recently, according to the policy change of climate and energy, the certification system expanded from the buildings to the level of city and district is piloted. So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main contents and the assessment system of domestic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implemented in March 2013 in response to the policy change of climate and energy and to suggest the basic data for the improvement of present domestic greenhouse certification standard through the analysis of actual certification and the main case analysis of international green certification system. Recently in developed countries, in 1990s, for the reduction of building's greenhouse gas emission and the inducement of eco-friendly design, from the building of LEED, BREEAM, DGNB to the level of city and district such as LEED Neighborhood Development, BREEAM Communities, DGNB Stadtquartiere, the system is expanded and piloted. On the contrary, as for the domestic standard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the distribution ratio according to the assessment items in each category consists of the assessment system based on the buildings, and just the simple adjustment of some items and the improvement of weighted value are performed. Actually, as a result of selecting the 30 districts of apartment housing with the most certification performance by use among the 49 buildings certified by Institute of Land & Housing from December 2014 to July 2016 and analyzing the assessment score, the certification level is determined by the sectors of high distribution like indoor environment and energy not by the ineffective sector of external environment with low distribution so this system has a limitation to perform the practical means for the policy change of climate and energy. Thus for the national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tandards, the assessment system in the sector of external environment is to complemented and furthermore, reflecting domestic reality, through the introduction of certification system and the assessment system with the level of city and district, this system should be improved to meet the international certification standard.

딥러닝 기반 이용한 공동주택현관문의 출입자 식별 시스템 설계 (Design of an Visitor Identification system for the Front Door of an Apartment using Deep learning)

  • 이민혜;문형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45-51
    • /
    • 2022
  • COVID-19와 같은 전염병의 확산 방지로 인해 접촉에 대한 두려움이 존재한다. 아파트의 공동주택현관문은 거주민이 현관문에 부착된 도어락의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거주민의 허락을 득한 경우에 출입이 가능하다. 출입을 위해서는 공동현관문의 도어락에 동호수와 비밀번호를 직접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COVID-19로 인해 비접촉 출입 요구가 있다. 최근에는 정보통신기술 및 인공지능의 발달함에 따라 안면인식 및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하여 쉽게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다. 제안 기법은 공동현관문에 부착된 CCTV 나 카메라를 통해 방문자의 얼굴을 감지하고, 안면을 인식하여 등록된 거주민으로 식별한 후, 거주자의 등록된 정보를 기반으로 서버에서 엘리베이터와 연동하여 비접촉으로도 운행이 가능하다. 특히, 모자나 마스크 등으로 안면인식에 실패할 경우 음성으로 화자 식별하거나 음성 메시지를 기반으로 방문자의 추가적인 인증을 수행하여 공동주택현관문 출입 시 비접촉 기능 및 지문정보를 남기지 않고 출입의 불편함이 없이 전염성 확산을 차단할 수 있다.

방송공동수신설비의 광전환 산업동향 (Industry Trend for Optical Switching of Broadcasting Common Reception System)

  • 김영철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3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27-228
    • /
    • 2013
  • 본 논문은 2012년도 12월 31일 새벽 4시를 기하여 아날로그 지상파텔레비전이 디지털 지상파텔레비전으로 완전 전환되어짐에 따라 초고속정보통신건물인증에서 "특등급"건물도 필수적으로 광장비(광수신기)가 댁내의 세대단자함에 들어가야 함으로서 현재의 산업적 보급 현황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방송공동수신설비에서 가장 중요한 설비로서 세대단자함에 광수신기가 들어가야 하지만, 최근의 경기침체로 인하여 건설경기도 침체됨으로서 구내통신설비에도 영향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2009년 11월에 개정된 "방송공동수신설비의 설치기준에 관한 고시"와 초고속정보통신건물인증업무 처리지침 개정에 따라 특등급의 공동주택은 광선로 및 광 장비가 도입되어야 하나 초기 품질의 안정화나 장비의 활성화가 안되는 상황에서 고가의 장비가 일반적이었으나, 현재는 일부 대단히 단지가 조성됨으로서 추가적인 인하요건이 발생하고, 향후 1~2년 안에 점진적으로 가격과 품질이 안정화가 이루질 것으로 예상된다.

  • PDF

구내통신선로설비 표준화 연구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customer premises facilities)

  • 이영환;조평동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362-365
    • /
    • 2004
  • 국간망과 가입자망의 초고속화가 이루어지더라도 구내망이 이를 뒷받침하지 않으면 초고속망 서비스의 제공은 이루어질 수 없다. 따라서 구내망의 구내통신선로설비는 구내의 인프라 구축에 매우 중요한 시설물이다. 이를 위해 국내에서는 초고속정보통신의 활성화를 위하여 1999년부터 초고속정보통신건물인증제도를 시행하고 있으며, 2004년1월1일부터는 공동주택의 특등급을 신설하여 세대내 광케이블이 시설되도록 요구하고 있다. 또한 국내의 구내통신선로설비에 대한 표준화는 한국통신기술협회에서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25개의 표준이 개발되었다. 주거용 건축물에 대한 표준을 2003년 12월에 개정하였으며 현재는 업무용 건축물에 대한 표준화 개정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는 TIA를 통하여 자국내의 표준화 연구를 활발히 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내용을 근거로 국제표준화 연구를 진행하는 ISO에 제안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구내통신에 대하여 국제표준화와 미국을 중심으로 최근 표준화 동향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에서 제정하려고 하는 기술표준에 기여하고, 초고속정보통신건물인증제도와 국내 기술기준을 비교 분석을 통한 기술기준 개정방향을 기술하고자 한다.

  • PDF

친환경건축물 인증제도 평가 항목 보완에 관한 기초 연구 -오픈하우징 관련 항목을 중심으로- (The Basic Study on the Complementation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in Consideration of Open Housing -Focus on the Related Items of the Open Housing-)

  • 황은경;임석호;이상호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141-151
    • /
    • 2003
  • Recently, the housing market in Korea has been changed from new construction to building-stocks, and focusing on supplier to focusing on users. Open housing is a design method not only content to users' various needs but also to the means of sustainable development by adapted to longevity of buildings. There are some indicators for Open Housing related to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which were worked by Mock & ME. But those indicators are limited to flexible design methods. This is a basic study for the selecting of Open Housing indicators for complementation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by the analysis of SI housing in Japan, domestic Green Building Labelling and those of other count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