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용분석

검색결과 892건 처리시간 0.038초

딥러닝 연구동향에 대한 계량서지적 분석 (A bibliometric analysis on deep learning research trends)

  • 이재윤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7년도 제24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14
    • /
    • 2017
  • 딥러닝 연구동향에 대한 계량서지적 분석을 자아 중심 주제 인용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서 Web of Science에서 'deep learning'으로 검색된 인용빈도 상위 15건의 논문을 핵심 논문으로 삼고, 이들 핵심 논문 15편을 인용한 논문 집합을 자아 문헌집합으로 삼았으며, 자아 문헌집합들이 인용한 주요 문헌들을 인용 정체성 문헌집합으로 설정하였다. 인용 정체성 문헌집합에 대해 동시인용분석을 실시하여 주요 문헌, 주요 연구 주제를 파악하고, 영향을 끼친 주요 선행 연구를 파악해보았다.

  • PDF

복수저자기반 동시인용분석을 활용한 지적구조 분석: 경제학 분야를 중심으로 (Domain Analysis on Economics by Utilizing Cocitation Analysis of Multiple Authorship)

  • 곽선영;정은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5-134
    • /
    • 2012
  • 전통적인 저자동시인용분석은 인용색인 데이터베이스가 색인하는 제 1저자만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제1저자 이외의 저자의 기여도가 제외된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제학 분야를 대상으로하여 복수저자기반의 저자동시인용분석을 활용하여 해당 학문분야의 지적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네 가지 실험집단을 구성하였다. (1) 인용된 문헌의 제 1저자만을 고려한 저자동시인용분석, (2) 문헌당 총합 제한 없이 복수저자에게 동일한 인용빈도 부여한 저자동시인용분석, (3) 문헌당 총 합을 제한하여 인용빈도를 부여한 저자동시인용분석, (4) 저자기입 순서를 고려하여 인용빈도를 부여한 저자동시인용분석. 본 연구의 결과는 크게 제 1저자만 고려한 방식과 복수저자를 모두 고려한 방식에 따라 군집형성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복수저자의 인용빈도를 구하는 방식에 따라서 군집의 소속이 달라지는 변화를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공동저작이 증가하는 학문적 추세에 비추어서 학문의 지적구조를 밝히기 위해서는 복수저자가 고려된 저자동시인용분석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전문도서관의 공동수서정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operative Acquisition in Research Library)

  • 이송자;남영준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05년도 제12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05-212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도서관인 공무원교육원 도서관의 공동수서정책을 위해 이용자의 요구를 인용문헌분석을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을 위해 3개 공무원교육원의 주이용자인 장기교육생의 인용문헌을 자료의 유형분석, 자료의 최신성 분석, 인용문헌수 분석, 외국문헌 이용현황과 핵심자료를 파악하고자 하여 공무원교육원 도서관의 공동수서정책에 반영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형태별로는 연구보고서의 인용율이 가장 높았으며, 평균인용건수를 분석한 결과, 교육수료보고서의 1인당 평균인용건수는 29.42권으로 조사되었다. 발행시기별로 분석한 결과, 출판 후2${\sim}$5년 내의 자료를 40.6%로 가장 많이 인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언어별 분석 결과, 국내서로 기술된 문헌의 인용율은 90.1%로 조사되었다. 핵심자료를 파악한 결과 단행본의 최대 피인용문헌빈도(3회 이상)는 155권 이었으며, 학술지는 112종, 통계자료는 34권이었다.

  • PDF

사회연계망 구축을 위한 인용 매칭에서의 인용 필드 분해 영향 분석 (Influence of Citation Field Segmentation on Citation Matching for Social Network Construction)

  • 구희관;강인수;정한민;이승우;성원경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07년도 제19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194-201
    • /
    • 2007
  • 인용 매칭(Citation Matching, CM)은 동일한 논문을 지칭하는 인용레코드(Citation Record)를 군집화하는 것으로 인용 관계를 가진 사회연계망 구축시 필요한 기술의 하나이다. 인용 매칭의 전단계로써, 인용 레코드를 저자, 논문 제목, 게재지명, 발행연도 등의 필드로 구분하는 인용 필드 분해가 고려될 수 있다. 본 논문은 인용 필드 분해(Citation Field Segmentation, CFS)와 인용 매칭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즉, 인용 필드 분해가 인용 매칭에 필수적인 단계인지를 밝히고 개별 인용 필드가 인용 매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실험을 통해 인용 필드 분해를 한 인용 매칭(CFS-based CM)이 인용 필드 분해를 적용하지 않은 인용 매칭(CFS-free CM)에 비해 1% 내외의 성능의 차이를 보이므로, 인용매칭의 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고 보기 어려웠다. 이는 인용 레코드의 서로 다른 필드들 사이에서 어휘 중복 비율이 크게 낮기 때문에 따로 필드를 구별하지 않아도 필드가 구별되는 특성때문이었다.

  • PDF

자아 중심 인용 분석을 응용한 폭소노미 연구 문헌 분석 (Analyzing folksonomy research documents with ego centered citation analysis)

  • 이재윤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2년도 제19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153-156
    • /
    • 2012
  • White가 제안한 자아 중심 인용 분석은 연구자를 대상으로 다면적인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다. 이 연구에서는 자아 중심 인용 분석을 연구자 단위가 아닌 연구 주제에 대한 분석으로 응용하는 자아 중심 주제 인용 분석 기법을 제안하고, 시험적으로 폭소노미 주제의 연구문헌 집단에 응용하여 관련 연구의 핵심 문헌들과 주요 적용 이론을 반영하는 인용 정체성과 인용 이미지를 파악해보았다.

  • PDF

학제적 분야의 정보서비스를 위한 학술지 인용 분석에 관한 연구: Y대학교 생명공학과를 중심으로 (Journal Citation Analysis for Library Services on Interdisciplinary Domains: A Case Study of Department of Biotechnology, Y University)

  • 유소영;이재윤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83-308
    • /
    • 2008
  • 이 연구에서는 자관의 학술지 상호인용 및 동시인용 분석을 통하여 단순 피인용빈도 이상의 학술지 인용 패턴 분석을 시도 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학술지의 중요도 파악에 있어서 자관 인용 네트워크의 구조적 분석이 인용빈도 이상의 자관 인용 패턴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는지와, Web of Science에서 제공하는 JIF 이외의 일반적 인용 지수 서비스들을 고려해야 할 필요성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Y대학교 생명시스템대학 생명공학과 전.현직 교수진이 2006년과 2007년에 발표한 학술논문의 인용 네트워크 분석 및 Web of Science 이외의 일반적 인용 지수들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관의 상호인용 네트워크를 통해 자관의 연구 분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자관의 동시인용 네트워크 지수들은 자관 인용 네트워크의 구조적 속성을 반영하는 인용 패턴의 설명이 가능하며 이는 피인용빈도와 유사하면서도 추가적인 설명력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일반적 인용지수로는 JIF 외에도 합산지향지수, h-index와 같은 다양한 일반적 인용 지수들의 설명력이 다양하므로 이를 이용하여 다각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학술지 평가에서 인용 색인 데이터베이스의 수록범위보다는 지수의 유형에 따른 설명력 차이가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자관의 인용 네트워크 분석은 정보서비스의 여러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용 필드 정규화와 인용매칭의 관계 연구 (Study on the Relation of Field Normalization with Citation Matching)

  • 구희관;강인수;정한민;성원경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08년도 제20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69-74
    • /
    • 2008
  • 본 논문은 인용필드 정규화와 인용매칭의 관계에 대한 분석을 제시한다. 인용매칭은 논문에서 수집된 인용레코드의 인용필드들 간의 비교 결과를 조합하여 동일 논문의 참조여부를 판별하여 인용레코드를 군집화한다. 따라서 인용매칭에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인용필드와 인용매칭 성능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인용필드 정규화 및 필드 별 결합에 의하여 인용매칭 성능이 변화하는 것을 보였다. 또한, 인용매칭 성능을 인용필드 유사도와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앞으로, 인용필드 정규화 및 특성이 인용매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를 넓혀, 이를 인용매칭에 활용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 PDF

핵심정보자원 연계를 통한 국내 특허 인용 정보 생성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thod of citation information generation in Korean Patent Systems by using linking of core information resources)

  • 권오진;노경란;서진이;정의섭;유재영
    • 한국기술혁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기술혁신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689-701
    • /
    • 2005
  • 최근 특허청의 특허정보 활용 확산 정책으로 인하여 특허정보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또한 특허정보를 연구하는 분야에서도 기술혁신 추세 분석, 기술혁신과 기술개발 주체에 대한 관계 분석을 수행하는 특허정보, 전산과학, 문헌정보학을 융합하는 특허정보학 (patinformatics)이라는 분야가 등장하였다. 특허정보를 이용한 최근의 연구동향은 특허 인용정보를 이용하여, 기술 파급효과 분석, 특허 인용지수, 기술영향력 지수, 특허가치 평가등 대부분의 연구가 인용정보를 기반으로 진행퇴고 있다. 기존의 연구 및 분석에 사용된 데이터는 미국특허의 인용정보를 이용하여 수행되고 있다. 한국특허 정보에는 인용정보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한국특허의 분석을 위해서는 미국에 출원된 미국특허 데이터를 수집하여 한국의 연구개발 동향을 분석해야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특허청 심사관의 인용정보 생성에 관한 업무 부하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미국특허의 비 특허 문헌정보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살펴봄으로써 국내에 구축되어 있는 과학기술문헌의 연계를 통한 효과적인 특허인용정보생성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자아 중심 주제 인용분석을 활용한 딥러닝 연구동향 분석 (Deep Learning Research Trends Analysis with Ego Centered Topic Citation Analysis)

  • 이재윤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7-32
    • /
    • 2017
  • 최근 들어 다양한 분야에서 딥러닝이 혁신적인 기계학습 기법으로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딥러닝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자아 중심 주제 인용분석 기법을 변형하여 응용해보았다. 이를 위해 Web of Science에서 'deep learning'으로 탐색하여 검색된 문헌 중 소수의 씨앗 문헌으로부터 인용 관계를 통해 분석 대상 문헌을 확보하는 방법을 시도하였다. 씨앗 문헌을 인용하는 최근 논문들을 딥러닝 분야의 현행 연구를 반영하는 자아 문헌집합으로 설정하였다. 자아 문헌으로부터 빈번히 인용된 선행 연구들은 딥러닝 분야의 연구 주제를 나타내는 인용 정체성 문헌집합으로 설정하였다. 자아 문헌집합에 대해서는 공저 네트워크 분석을 비롯한 정량적 분석을 실시하여 주요 국가와 연구 기관을 파악하였다. 인용 정체성 문헌들에 대해서는 동시인용 분석을 실시하고, 도출된 문헌 군집을 인용하는 주요 키워드인 인용 이미지 키워드를 파악하여 주요 문헌과 주요 연구 주제를 밝혀내었다. 마지막으로 특정 주제에 대한 인용 영향력이 성장하는 추세를 반영하는 인용 성장지수 CGI를 제안하고 측정하여 딥러닝 분야의 선도 연구 주제가 변화하는 동향을 밝혔다.

국내 과학기술 연구자의 한국 학술지 인용패턴 연구 (A Study of Citing Patterns of Korean Scientists on Korean Journals)

  • 최선희;김병규;강무영;류범종;이종욱;박재원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97-115
    • /
    • 2011
  • 국내 과학기술 분야 연구자들의 인용행태를 종합적으로 파악하고 분석하기 위해서는 대규모의 신뢰할 수 있는 인용색인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하다. KISTI는 한국 과학기술 인용색인 데이터베이스인 KSCD를 구축하고 한국과학기술인용보고서(KJCR) 및 한국과학기술인용색인서비스(KSCI)를 제공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핵심 학술지 459종의 학술지를 커버하는 KSCD를 활용하여 국내 과학기술분야 연구자들의 한국 학술지 인용행태를 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범위로는 첫째, 대상 DB 수록 학술지의 통계적 주요 수치정보를, 둘째, 인용문헌의 형태별 분석을, 셋째, 인용문헌의 국내와 해외비율 및 타분야 인용비율을, 넷째, 국내 인용문헌의 즉시인용, 인용절정기, 반감기를 마지막으로 KJCR 인용지표를 통한 학술지의 영향력 분석이다. 국내학술지 인용분석을 통한 연구의 주요 성과로는 국내 인용 학술지의 즉시인용률(평균 2.36%), 인용절정기(평균 1.7년), 반감기(평균 5.2년)의 규명과 모든 주제분야에서 자기학술지 인용률이 평균 50%를 넘는다는 것을 밝힌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과학자들의 국내 학술지 인용행태를 과학기술 전분야에 걸쳐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