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인양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37초

굴삭기 안전 관리를 위한 인양작업에 관한 기초연구 (The Fundamental Research on Lifting-Work for Excavator Safety Management)

  • 이용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6D호
    • /
    • pp.811-818
    • /
    • 2011
  • 굴삭기는 삽날(shovel)을 이용해서 토공작업을 하는 장비로 분류되어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굴착을 한 후 물체를 인양하여 옮기는 작업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인양력은 굴삭기의 주요성능으로 분류될 필요가 있으며, 정확한 성능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국내 현실은 아직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켜 주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 외국의 굴삭기 인양력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국내 도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2) 인양력에 대한 정보 없이 국내에서 사용중인 굴삭기에 적용할 수 있는 인양력 산정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검증해 보았다. 3) 인양 가능한 구간을 인양안전구간과 인양주의구간으로 나누어 제공할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굴삭기의 인양력 정보와 인양구간에 관한 정보는 작업계획 및 안전관리업무에 객관적이고 실질적인 기저정보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등부표 인양점검에 따른 위치패턴 분석 연구

  • 문범식;김태균;송재욱;김영진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88-189
    • /
    • 2023
  • 등부표의 위치변화는 외력에 의한 변화가 가장 크다. 등부표는 2년을 주기로 인양점검하고 작업자에의해 고시된 위치에 다시 정치된다. 본 연구는 등부표 인양점검을 기준으로 위치패턴변화를 분석하여 향후 등부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있다. 분석결과 등부표의 위치는 인양점검 위치에 따라 위치패턴의 변동이 있었다.

  • PDF

부유식 인양크레인의 운동응답특성과 구조응답 평가 (A Structural Response Estimation and Response Amplitude Operator of Floating Type Salvage Crane)

  • 오영철;김옥석;이경우;고재용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32-133
    • /
    • 2013
  • 선박 인양크레인은 선박을 안전하게 인양하기 위한 장비로서 이러한 형태의 크레인은 조선소의 대형 선박이나 항만 컨테이너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인양크레인은 육상에 설치되어 운용되고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항만시설이 구축되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부유식 인양크레인의 운동응답특성과 파 강제력을 산출하고 부유식 인양크레인의 구조응답 평가를 수행하였다.

  • PDF

공동주택 전용 갱폼 인양 자동화 기술의 개발 - 구조적 안정성 및 타워크레인 양중부하 분석 - (Development of an Automated Gangform Climbing System for Apartment Housing Construction - Structural Stability and Tower Crane Lifting Load Analysis -)

  • 이정호;양상훈;김영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48-59
    • /
    • 2012
  • 갱폼(Gangform)은 기준층 설치 후 반복사용이 가능하여 기존 합판 거푸집에 비해 공기단축이 가능하고 높은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시스템 거푸집이다. 또한 거푸집의 처짐량이 작고 외력에 대한 안정성이 높은 장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갱폼의 운반 및 인양작업은 타워크레인의 동력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으며, 갱폼 인양작업을 위해 공동주택 골조공사 6~7일 사이클 중 1일의 공기를 차지하는 등 전체 골조 공기에 있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외 관련 업계를 중심으로 갱폼 인양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 및 기술개발 노력이 수행되어 왔다. 특히, '공동주택 전용 갱폼 인양 자동화 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는 타워크레인의 동력원에 의존하지 않고 별도의 인양장치에 의해 갱폼의 인양작업을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개념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이에 대한 후속 연구로써 본 연구에서는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선행 연구를 통해 제안된 갱폼 인양 자동화 기술의 구조적 안정성을 해석하고, 실제 공동주택 건설현장의 공정데이터를 적용하여 갱폼 인양 자동화 기술 적용 시 기존 타워크레인의 양중부하 감소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제안된 공동주택 전용 갱폼 인양 자동화 기술의 기술적 타당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부산종합운동장 주경기장 지붕구조물의 시공 (Construction of Roof Structure for Pusan Main Stadium)

  • 이주영;유상현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1년도 학술대회지
    • /
    • pp.228-231
    • /
    • 2001
  • 부산종합운동장 주경기장 지붕구조는 케이블현수구조로 그 시공은 VSL 리프팅시스템을 사용한 인양공법을 채택하여 이루어 졌다. 본 지붕구조물의 시공은 크게 5단계 공정으로 이루어 졌고, 상기 공정 중 인양작업은 상부케이블과 하부케이블로 나누어 1차 인양작업과 2차 인양작업으로 이루어 졌다. 본 지붕구조물의 경우 각 케이블의 정착단은 조정이 불가능한 개방소켓으로 되어 있어 설계시 각 케이블의 길이 계산이 잘못될 경우에는 케이블이 구조부재로써 소정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인장응력의 도입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구조물의 인양이 완료된 상태에서 계측된 각 케이블의 장력에 의하면 평균 $4\%$정도의 정확도를 보이고 있어 설계뿐만 아니라 지붕구조와 관련된 모든 공정의 시공이 치밀하게 이루어 졌음을 보여 주고 있다.

  • PDF

인양홀을 이용한 외부 강선 보강 철근 콘크리트 보의 거동 특성 (Structural Behavior of RC Beam Strengthened with External Tendons Using Lifting Hole Anchorage System)

  • 이석훈;홍성남;한경봉;박선규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98-106
    • /
    • 2008
  • 인양홀을 이용한 정착장치는 손상된 구조물에 내하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되어지며, 시공이 간편하고 보강효율이 좋은 경제적인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구조물에 손상을 입히지 않으면서 충분한 보강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 인양홀 이용 정착장치를 선정하여 그에 대한 적용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실무에서 시공빈도가 높은 인양홀 이용 단부 정착 장치가 적용된 3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였고, 이에 대한 휨 실험을 수행하여 처짐, 변형률 및 파괴양상을 분석하였다. 인양홀 이용 정착장치가 구비된 철근 콘크리트 보의 보강 성능을 실험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각 실험체의 균열하중, 항복하중, 극한하중, 강선의 응력 증가량, 처짐 및 연성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공동주택 전용 갱폼 인양 자동화 기술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utomated Gangform Climbing System for Apartment Housing Construction)

  • 양상훈;조재용;조지원;이정호;김영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3권1호
    • /
    • pp.53-66
    • /
    • 2012
  • 갱폼은 기존 목재 및 철재 거푸집과 비교하여 매 사용 시 작은 부재의 조립/해체를 반복하지 않고 대형화, 단순화를 통해 한 번에 설치하고 해체할 수 있는 시스템화 된 거푸집이다. 그러나 ACS(Auto Climbing System)와 같은 첨단 거푸집에 비해 경제성을 제외한 다른 측면(생산성, 안전성, 품질 등)에 있어서는 1) 타워크레인 양중부하 증가, 2) 갱폼 인양 중 안전사고 증가, 3) 갱폼 박리 작업 생산성 저하, 4) 기후 영향으로 인한 작업 중지, 5) 생산성, 노무비, 품질 저하 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타워크레인의 부하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인양 속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작업 생산성 향상 및 노무자 안전성 확보, 콘크리트 구조체의 품질 등을 향상시켜 공동주택 건설 현장에서 범용적으로 사용가능한 공동주택 전용 갱폼 인양 자동화 장비의 개념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헌 분석 및 건설 현장관리자와의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공동주택 전용 갱폼 인양 자동화 기술 개발 시 요구되는 고려요소 도출 및 효용성 분석 등을 통해 '공동주택 전용 갱폼 인양 자동화 장비의 개념 모델'을 제시하였다.

연안 수역 및 연근해 어장 등의 해양폐기물 정화사업 추진실적

  • 황승택
    • 어항어장
    • /
    • 통권75호
    • /
    • pp.35-43
    • /
    • 2006
  • 어업인들이 대부분 정부에서 수산자원 회복을 위하여 시급하게 하여야 할 사업으로 침체어망 인양사업 등을 요구하고 있으며 수거에 따른 경제성을 고려해 볼 때 침체어망 인양사업과 해양폐기물 수거사업을 확대 운영하여야 한다.

  • PDF

수중안전을 위한 인체 위치추적 모니터링 장치 구현 (Implementation of Human Positioning Monitoring Device for Underwater Safety)

  • 윤종화;윤달환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225-233
    • /
    • 2023
  • 본 논문은 해양사고 시 인체 인양정보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을 구현한다. 모니터링 시스템은 수중환경 정보를 송신하는 인양기구제어기를 통하여 초음파 통신을 수행하며, 수상에서는 관제센터 또는 모선까지 10 km내 GPS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LoRa 통신을 수행한다. 수중 인양제어기는 공압 센서, 자이로 센서 및 온도센서 정보를 전송한다. 수중조건은 수심 10m 마다 수압 1기압씩 높아지고, 기구의 공기양은 육상에 비해서 1/2씩 줄어드는 환경에서 60 kg 수중 마네킹을 모델을 사용한다. 인양기구 SMB(Surface Marker Buoy)에 38g의 CO2 카트리지 1개를 사용하여 10 sec 이내에 수면 상승 조건을 기반으로 인양기구 출수 시험을 한다. 수중 통신은 수심 40m에서 100m까지 2,400bps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데이터 전송환경을 구성한다. 모니터링 신호는 수심, 수온, 방향각 등을 수면 위의 구조요원에게 제공함으로써 인양작업자의 안전과 안전한 인체 구조를 목표로 한다.

단층 래티스 돔의 Erection 중 거동 및 좌굴 특성 (A Study on the Behavior & Buckling Characteristics of Single-Layer Latticed Domes in the Erection Process)

  • 정환목;김철환;황동규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45-51
    • /
    • 2008
  • 단층 래티스 돔은 경량이면서도 높은 강성을 가지므로 대공간 구조물로서 유리하며, 이 구조물은 기둥 없이 널은 공간을 확보해야하는 구조적 특성으로 인하여 시공시 불안정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현재 국내에서 대공간 지붕구조물의 설치 방법으로 가장 많이 도입되고 있는 Erection공법은 Block공법이며, 이 공법은 지상에서 조립한 대공간 지붕 골조를 크레인 등으로 소정의 위치까지 들어 올려 지붕구조를 완성해 가는 설치 공법이다. Block 공법에 있어서 인양할 포인트를 선정하는 작업은 대단히 중요하다. 즉, 인양 시 골조의 변형과 좌굴 등에 대해서 가장 안전하고 경제적인 절점을 인양 포인트로 선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장 안전하고 경제적인 Erection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삼각형 네트워크를 갖는 단층 래티스 돔의 Erection 시 인양 포인트에 따른 구조물의 거동 및 좌굴 특성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얻어진 결론은 1) 돔의 높이 H가 작을수록 인양위치에 따른 좌굴내력의 영향이 큰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반대로 돔의 높이 H가 클수록 인양위치에 따른 좌굴내력의 영향은 미미한 것을 알 수 있었다. 2) 인양 위치에 관계없이 인양로프 길이에 따른 좌굴내력의 영향은 크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