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인력양성 기반

Search Result 326,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 Case Study on Performance Evaluation of IT Human Resource Program in Regional Industry (지역특화 IT 인력양성 프로그램 성과분석 사례연구)

  • Park, Jung-Hwan;Kim, Guk-Boh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19 no.1
    • /
    • pp.79-93
    • /
    • 2014
  • IT industry that main domain is future growth engines and convergence industry is based on national development through convergence others industry. However, shortage of advanced IT workforce is not limited to the region and urban. But, Previous studies is comprehensive research 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Human resource development studies, performance analysis and policy studies, are lacking to achieve the characterization in the region. Accordingly, The need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are appearing for activated regional industry through advanced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IT convergence. in this study, we propose in order to improve institutions through IT sector performance evaluation.

IT기반 융합촉진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방안

  • Hwang, Gyu-Hui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5 no.11
    • /
    • pp.42-47
    • /
    • 2008
  • 나노기술, 정보통신기술, 바이오 기술 등을 중심으로 기술융합이 급속히 진행되는 가운데, 이러한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인력 양성의 필요가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본고에서는 지식형성측면을 중심으로, 이러한 융합기술의 확산에 대응한 융합인력양성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융합기술에 대응한 인력양성 및 활용을 위해서는, 융합기술의 진행에서 지식의 속성이 어떠한 변화를 가지는지, 또한 특정한 속성의 변화가 존재한다면 새로운 속성을 포함한 지식의 생성과 습득은 어떠한 과정을 통해 달성될 수 있는지가 규명되어야 할 것이다. 본고는 IT기반 의공학부문과 양자암호체계에서의 융합연구 사례를 통해, 기술 성격과 지식 습득 전략을 검토하고, 이들 융합기술 수행과정상의 특징으로 부터 인력양성에 대한 함의를 얻고자 한다.

ICT융합 기반 친환경자동차 인력양성 사업단

  • Park, Gyu-Hae;Gang, Hyeon-Uk;Lee, Ji-Geun
    • Journal of the KSME
    • /
    • v.57 no.4
    • /
    • pp.45-49
    • /
    • 2017
  • 이 글에서는 친환경자동차 분야 선진 인력을 양성하는 전남대학교 ICT융합 기반 친환경자동차 인력양성 사업단의 교육비전과 목표 그리고 주요 운영 프로그램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 PDF

IT High-Level HRD Policy in the Framework of National Future Strategy (국가 미래전략 차원의 IT고급인력양성 정책방향)

  • Shin, Joon-Woo;Lee, Jin-Seok;Lee, Jung-Mann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2 no.1
    • /
    • pp.88-112
    • /
    • 2009
  • This study attempts to define IT high-level human resources and to investigate past IT high-level human resources development (HRD) policies in order to promote IT HRD policy efficiently. Benchmarking implications were derived from comparative studies of foreign high-level HRD policies and we suggest IT high-level HRD Policy in the framework of National Future Strateg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rich in implications for implementation of IT HRD related to national R&D road-map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supply spread maintenance and the vision change of high-level HRD to cultivate global competitiveness, IT-based Fusion Technology HRD, and R&D related HRD policies and action plans.

  • PDF

나노기술 인력의 수요 현황 및 예측

  • Jo, Dae-Myeong;So, Dae-Seop;Choe, Gyeong-Hyeon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9.02a
    • /
    • pp.231-244
    • /
    • 2009
  • 21세기의 나노기술은 국가경쟁력을 위한 핵심 학문과 기술로 대두되었다. 우리나라는 2001년 7월에 '나노기술종합발전계획'을 수립하였고, 2002년 12월에는 '나노기술개발측진법'을 제정하여 국가의 전략기술로 범정부 차원에서 집중 투자하고 있음. 그 주요 내용으로 연구개발과 인프라 구축과 인력양성 등을 3대 핵심 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나노기술은 학문간, 기술간 및 산업 분야간 서로의 영역을 공유하는 다학제적 특성을 내포하고 있는 기술로서 미래의 기술혁신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한, IT, BT, ET 등 신산업과 부품, 소재 등 기존 산업의 핵심 기술을 제공할 수 있는 기반기술로서 원천기술적 성격을 동시에 갖고 있다. 그동안 국내 나노기술 인력양성에 관한 조사 또는 연구는 매년 일부 수행되어 왔으나 나노기술 인력양성의 효과적 정책수립을 위한 보다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조사와 분석에는 미흡했던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직접 설문을 통해 국내 나노기술 수요업체의 실태와 인력수요 현황을 조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나노기술의 세부 분야별 향후 인력 수요 전망을 통계적으로 예측한 후 해당 산업의 발전에 비칠 수 있는 영향을 분석하여 나노기술 인력 양성 정책 개발에 기반이 될 수 있는 정보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내용을 포함한다. - 나노기술 수요 업체의 특징 및 현황 - 나노기술 수요 업체의 인력 상황 및 미래 계획에 대한 설문 결과 - 설문 결과의 통계적 분석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미래 상황 예측

  • PDF

Analyzing the Industrial Contribution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Programs in Renewable Energy Sector using Supply-side Input-Output Model (인력공급지장의 측면으로 본 신재생에너지 인력양성의 산업기여도 분석)

  • Lee, You-Ah;Kim, Jin-Soo;Heo, Eun-Nyeong
    • New & Renewable Energy
    • /
    • v.5 no.4
    • /
    • pp.68-73
    • /
    • 2009
  • 국가 에너지 안보 확보와 친환경적이고 지속적인 '저탄소 녹색성장'의 기반을 마련한다는 측면에서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인력양성은 시급하고도 중요한 당면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재생에너지인력양성이 원활하게 공급되지 않았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인력공급지장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산업연관분석의 공급유도모형을 유도하고 2006년 신재생에너지 인력양성사업 배출인원을 기준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공급유도형의 감응도 계수와 영향력계수 분석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관련 사업과 타 산업 간의 전후방연쇄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수행 결과 신재생에너지 관련 산업의 평균 영향력계수는 1.37, 평균 감응도 계수는 0.96으로 최종 수요적 제조업의 성격을 띠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06년 신재생에너지 인력양성사업에 의해 배출된 336명의 인력이 공급되지 않았을 경우 공급지장비용은 총 230억이며, 8개 신재생에너지원 중 태양열과 연료전지에 인력 공급지장비용이 타 에너지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산업분류 기준으로는 일반목적용 기계 산업과 전기기계 장치 산업이 신재생 에너지 인력공급 장애에 따른 지장비용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Forecasting Demand for Human Resource of Spatial Information Systems in Korea (공간정보체계 관련 인력수요 조사 및 분석)

  • Jin, Heui-Chae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5a
    • /
    • pp.141-147
    • /
    • 2005
  • 공간정보체계 관련 구축 사업들이 시작되면서 전문분야별 소요인력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었고,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전문 인력양성을 추진하여 왔다. 초장기 인력 규모의 예측은 사업 규모에 기반하여 예측되어졌고 인력 수요기관의 요구와 특징이 반영되지 못한게 사실이다. 이제는 공간정보체계가 광범위하게 확산되어 산업 현장을 통하여 소요 인력의 예측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인력 소요처들로부터 필요한 인력 규모를 조사하여 소요인력을 예측하고, 인력의 변화 특성들을 파악함으로서 기술수요에 따른 인력 육성분야와 수요량을 기반으로 하는 인력양성에 활용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인력 소요예측은 소요 인력이 활용되는 기업 등을 중심으로 산업적 성장성과 개별 기업의 인력 요구 등을 고려한 공간정보체계의 각 분야별 인력 소요 예측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를 토대로 산업적 특성, 기술적 특성, 소요 인력의 수요 증가 형태 및 특징을 분석하여 종합적인 소요 인력 규모를 산정하고 있다.

  • PDF

벤처 Focus-산업 기술인력 양성과 전략적 활용 절실

  • Korea Venture Business Association
    • Venture DIGEST
    • /
    • s.16
    • /
    • pp.10-11
    • /
    • 2003
  • 바야흐로 본격적인 졸업시즌이다. 모두가 졸업을 축하고 새로운 시작에 격려해야 때이지만 대학을 졸업하고도 취업이 안돼 고민하는 젊은이들이 늘고 있고, 이러한 극심한 취업난은 몇 년째 이어져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아이러니컬하게도 이러한 극심한 청년실업에도 불구하고 산업 기술·기능 인력은 부족해 일선에서는 심각한 인력난을 겪고 있는 것이 우리 사회의 현실이다. 우리 사회는‘과학기술입국’을 내세웠던 1960년대부터 이공계의 전문 인력 양성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여왔고, 그런 노력은 최근까지 이어져 왔다. 이제 본격적인 지식기반 사회로의 진입을 앞두고 기술·기능 인력의 양성을 위한 이공계의 중요성은 다시 강조될 수밖에 없지만 이런 사회적 중요성을 철저하게 외면되고 있고 이의 결과는 기술·기능 인력의 심각한 인력난으로 나타나고 있다.

  • PDF

A Case Study of Human Resource Nurturing Achievements through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산학협력을 통한 인력양성 성과도출 사례 연구)

  • Han, JungSoo
    • Journal of Internet of Things and Convergence
    • /
    • v.8 no.5
    • /
    • pp.41-46
    • /
    • 2022
  • This study analyzed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e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human resource nurturing process based on the I-O model for the Motion Graphics major and the Global Hotelier major in Baek seok University. In this study,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human resources training performance through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in the motion graphics and hotelier fields for 5 years, what kind of efforts were made for successful human resource training, and the level of performance was analyzed and improvement points were suggested. In this study, four strategies were set for successful industry-university-tailored human resource nurturing: student-industry matching through industry participation in education, industry-university integrated education, education quality advancement, and customized education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ustomized human resource training should first be developed through industry demand survey and a mirror-type practice room should be built to fit the corporate environment. Second, it was found that it is possible to be individual only if there is an active participation of industry experts throughout the curriculum such as subjects and non-subjects.

스마트 메카트로닉스 창조인력양성 사업단 - 창원대학교 지방대학 특성화 사업

  • Bae, Dong-Sik
    • Ceramist
    • /
    • v.19 no.4
    • /
    • pp.74-79
    • /
    • 2016
  • 창원대학교 스마트융합 메카트로닉스 인력양성 사업단의 교육 목표는 1) 창조적 교육과정을 통한 지역거점 특성화, 2) 세계적인 수준의 경쟁력을 갖춘 기술 인력 양성, 3) 분석력, 창의력, 적응력 및 설계능력을 갖춘 능동적 기술인력 양성, 4) 시대의 환경변화를 선도하는 진취적 기술인력 양성, 5) 인재공급 및 취업률향상으로 정하였다.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전략은 1) Major전문성(메카트로닉스심화, 공통실험교육 강화), 2) Global국제적감각(팀기반능력, 근접학문이해능력), 3) Creative지속성장 (Capstone Design, 현장적응교육)으로 정하였다. 따라서 메카트로닉스공통융합심화트랙 교육과정으로 기계, 전기전자제어, 신소재분야의 공통트랙으로 이론 30학점, 실험 6학점(16과목, 36학점)을 신설하여 운영하였다. 수강지도를 통한 교차이수권장 학생들의 자율선택기반을 조성하고, 현장적응교육, 캡스톤 디자인 2과목 7학점을 수강하도록 하였다. 학생의 본인주도 학습권을 인정하여 2학년 진학 시 학생본인직접 100% 자기 전공 선택 기회 제공하는 구조조정을 실하고, 타 전공 관련정보 상호교류, 학문간 통합교육, 조직의 유연성확보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교과목(정규/비정규)개편을 통해 개선된 현장 실무 형 내실화 교육의 실시하여 취업률을 향상시켰다. 따라서 창원대학교 신소재공학부는 기계, 전기전자에 관련된 기본소양을 의무적으로 학습하기 때문에 메카트로닉스 분야에서 필요한 신소재공학도를 육성하는 기반을 마련하였다.